빛의 반사과 굴절 실험 (결과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빛의 반사과 굴절 실험 (결과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빛의 반사와 굴절 실험 결과보고서

-실험목적

-관련 이론

-실험장치 및 기구

-결과분석 및 토의

-결론

본문내용

따라 거울 면의 중앙에 오도록 미세 조정한다.
4. 빛 판을 10˚ 간격으로 10회 회전시킨 후, 빛 판 위의 각도계를 이용하여 입사각과 굴절각(전반사각)을 읽는다.
5. 렌즈의 가운데 부분을 광원에서 나오는 빛과 마주보게 해야 한다.
-실험 결과
<반사>
반사 실험의 이미지
1. 평면거울의 반사
입사각( )
반사각( )
10
10
20
20
30
30
40
40
2. 오목거울의 반사
입사각( )
반사각( )
10
9
20
18
30
28
40
38
3. 볼록거울의 반사
입사각( )
반사각( )
10
9
20
17
30
27
40
37
<굴절>
굴절실험의 이미지
4. 소한 곳에서 밀 한 곳
입사각( )
굴절각( )
0
0
10
6
20
13
30
20
40
26
50
31
60
36
70
39
80
42
90
전반사(90)
5. 밀 한 곳에서 소한 곳
입사각( )
굴절각( )
0
0
10
15
20
30
30
47
40
73
50
전반사
60
전반사
70
전반사
80
전반사
90
전반사
전반사 일 때는 입사각 = 굴절각이다.
초점거리 : 4.8cm
곡률반경 : 9.6cm
초점거리가 곡률반경의 반이됨을 알 수 있다!
-결과분석 및 토의
빛의 반사 실험의 결과분석.
평평한 거울을 이용 하였을 때는 항상 입사각 = 반사각 이었다.
오목한 거울이나 볼록한 거울을 이용 하였을 때에는 입사각 > 반사각 이었다.
빛의 굴절 실험의 결과 분석
평평한 렌즈가 광원을 바라보게 한 실험인 소한 곳에서 밀 한 곳으로 빛이 갈 땐 입사각의크기 > 굴절각의 크기 이었다.
볼록한 렌즈가 광원을 바라보게 한 실험인 밀 한 곳에서 소한 곳으로 빛이 갈 땐 입사각의크기 < 굴절각의크기 이었다.
사인그래프는
이와 같은 모양으로
우리가 한 실험은 모두 각도가 90도를 넘지 않는 실험이다.
그러므로 각도에 대응하는 사인의 값은 이와 같이 비례하는 곡선을 그린다.
⇒ 그래프
실험 3의 그래프
실험 4의 그래프
실험 4의 그래프에서 입사각이 40까지밖에 없는 이유 : 50도부터는 전반사가 일어나기 때문에
-결론
빛의 반사 실험의 결론,
평면거울의 실험에서는 입사각과 반사각이 항상 같음을 알 수 있다.
오목거울과 볼록거울의 실험에서는 입사각에 비해서 반사각이 더 작아지며, 작아지는 정도는 두 거울에서 비슷하였다.
그리하여 빛의 반사법칙이 성립함을 확인할 수 있다.
빛의 굴절 실험에서는,
이론에 쓰여 있듯이 소한 곳에서 밀 한곳으로 갈 때 굴절각이 작아지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볼록한 렌즈를 이용하면 입사각이 반사각보다 더 큼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굴절과 반사에 대한 자료 http://blog.naver.com/nate37?Redirect=Log&logNo=10153221949(misaka의 블로그) 12. 11. 30 게시한 자료
사인그래프 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07832&mobile&categoryId=200000451 (네이버 지식백과에 사인곡선을 검색)
  • 가격8,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4.24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49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