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아동과학교육 진행시 주의사항
2. 과학활동계획안 예시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아동과학교육 진행시 주의사항
2. 과학활동계획안 예시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해서 움직일 수 있어요. 뭘까요?
C: 모르겠어요.
T: 짠! 이게 뭘까요?
C: 자석이요.
T: 우와! 우리○○반 정말 똑똑하다.
2. 자석을 대보면서 철가루에 움직임을 관찰한다.
T: 선생님이 자석을 대면 철가루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보자.
C: 네.
(실험을 한다.) C: 우와~ 신기하다.
C: 선생님이 움직이는 대로 철가루가 따라간다.
T: 철가루가 왜 자석을 따라 갈까요?
C: 자석에 붙어서요.
C: 자석이 힘이 세서요.
T: 맞아요. 자석은 이렇게 철가루나 쇠와 같은 물건을 자기 몸에 붙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요.
C: 아! 그렇구나.
3. 철가루로 머리카락과 수염을 꾸며 볼 수 있는 활동을 소개한다.
T: 선생님이 아빠얼굴을 준비했어요.
C: 아! 웃기게 생겼다.
C: 아빠가 대머리야.
T: 이 얼굴위에 철가루를 뿌려 놓아 볼까요?
(철가루를 얼굴위에 뿌리고 활동 방법을 보여준다.)
C: 네.
<마무리>
T: ○○반 오늘 아빠 얼굴 꾸미기 어땠어요?
C: 재미있었어요.
주의사항
1. 아이들이 철가루를 먹지 못하도록 주의 시킨다.
2. 아이들이 철가루를 만진 손으로 눈을 비비지 않도록 주의 시킨다.
3. 아이들이 철가루를 가지고 서로 장난치거나 뿌리지 않도록 주의 시킨다.
평가방법
1. 철가루가 자석에 붙는 성질을 아이들이 이해했는지 확인해 본다.
2. 철가루를 이용하여 얼굴을 어떻게 꾸몄는지 이야기 나눠본다.
교사역할
1. 교사는 과학교육 활동에 있어 아이들이 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발문을 하여, 과학교육 활동의 목표가 온전히 이행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교육가치
철가루를 이용한 가족얼굴 만들기를 통하여, 아이들은 철가루는 자석에 붙을 수 있다는 지구과학적 원리를 이해하게 된다.
경험담
과거 본인 또한 어릴적 철가루를 이용한 놀이활동을 해 본 경험이 있으며, 이러한 지구과학 활동은 아이들의 과학적 소양을 증진시킴은 물론, 아이들의 지구과학에 대한 흥미 또한 증진시킬 것이라 생각해 보았다.
결론
과학교육에 있어 아동은 자율적으로 학습의 주체자가 되어야 한다. 즉 아동중심의 열린교육을 지향하는 것으로 이러한 과학교육은 과거 우리시대의 주입식교육의 폐단을 맏는 거의 유일한 대책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보았고, 오늘날 아동들의 능동적 참여와 자율성을 중시하는 보육사상과도 일치한다고 생각해 보았다.
참고자료
영유아 수 과학 교육 한유미 저 | 창지사 | 2015.03.14.
C: 모르겠어요.
T: 짠! 이게 뭘까요?
C: 자석이요.
T: 우와! 우리○○반 정말 똑똑하다.
2. 자석을 대보면서 철가루에 움직임을 관찰한다.
T: 선생님이 자석을 대면 철가루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보자.
C: 네.
(실험을 한다.) C: 우와~ 신기하다.
C: 선생님이 움직이는 대로 철가루가 따라간다.
T: 철가루가 왜 자석을 따라 갈까요?
C: 자석에 붙어서요.
C: 자석이 힘이 세서요.
T: 맞아요. 자석은 이렇게 철가루나 쇠와 같은 물건을 자기 몸에 붙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요.
C: 아! 그렇구나.
3. 철가루로 머리카락과 수염을 꾸며 볼 수 있는 활동을 소개한다.
T: 선생님이 아빠얼굴을 준비했어요.
C: 아! 웃기게 생겼다.
C: 아빠가 대머리야.
T: 이 얼굴위에 철가루를 뿌려 놓아 볼까요?
(철가루를 얼굴위에 뿌리고 활동 방법을 보여준다.)
C: 네.
<마무리>
T: ○○반 오늘 아빠 얼굴 꾸미기 어땠어요?
C: 재미있었어요.
주의사항
1. 아이들이 철가루를 먹지 못하도록 주의 시킨다.
2. 아이들이 철가루를 만진 손으로 눈을 비비지 않도록 주의 시킨다.
3. 아이들이 철가루를 가지고 서로 장난치거나 뿌리지 않도록 주의 시킨다.
평가방법
1. 철가루가 자석에 붙는 성질을 아이들이 이해했는지 확인해 본다.
2. 철가루를 이용하여 얼굴을 어떻게 꾸몄는지 이야기 나눠본다.
교사역할
1. 교사는 과학교육 활동에 있어 아이들이 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발문을 하여, 과학교육 활동의 목표가 온전히 이행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교육가치
철가루를 이용한 가족얼굴 만들기를 통하여, 아이들은 철가루는 자석에 붙을 수 있다는 지구과학적 원리를 이해하게 된다.
경험담
과거 본인 또한 어릴적 철가루를 이용한 놀이활동을 해 본 경험이 있으며, 이러한 지구과학 활동은 아이들의 과학적 소양을 증진시킴은 물론, 아이들의 지구과학에 대한 흥미 또한 증진시킬 것이라 생각해 보았다.
결론
과학교육에 있어 아동은 자율적으로 학습의 주체자가 되어야 한다. 즉 아동중심의 열린교육을 지향하는 것으로 이러한 과학교육은 과거 우리시대의 주입식교육의 폐단을 맏는 거의 유일한 대책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보았고, 오늘날 아동들의 능동적 참여와 자율성을 중시하는 보육사상과도 일치한다고 생각해 보았다.
참고자료
영유아 수 과학 교육 한유미 저 | 창지사 | 2015.03.14.
추천자료
외국의 초등과학교육과정
과학과교육과정(과학교육과정)의 성격과 목적, 과학과교육과정(과학교육과정)의 설정배경, 과...
수학과 과학 활동의 하위 내용들에 대한 다양한 예들을 통해 수, 과학교육을 할 수 있는 실제...
영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체계적인 수과학교육을 위한 영역의 구성 원리에 대해서 설명.
게임 활동을 통한 수·과학교육 접근의 교육적 의의와 과정 및 실제 (게임 활동안 모음포함)
유아과학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아동과학교육을 위한 철학의 변화과정에 대해 서술하시오.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상호작용적 교수법을 설명하고 구체적인 수업안을 작성. - 햇빛
[아동과학지도] 유아과학교육의 평가방법인 관찰, 수행평가, 포트폴리오 평가가 어떤 점에...
영유아 수과학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에 대해 설명.
영유아 과학교육 평가에 있어 6가지의 평가유형을 제시한 후, 본인이 평가에 가장 적합하게 ...
아동과학교육에 있어서의 교사 평가의 필요성에 대하여 근거를 들어 자기의 주장을 논리적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