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어샤크(Wireshark)를 이용하여 HTTP와 DNS를 설명 - HTTP 및 DNS 프로토콜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와이어샤크(Wireshark)를 이용하여 HTTP와 DNS를 설명 - HTTP 및 DNS 프로토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r\\n
#메소드 종류
-GET : 클라이언트가 서버로부터 어떤 웹문서를 받기를 원할 때 사용된다. 서버는 응답 메시지의 바디 부분에 웹 문서의 내용을 담아서 클라이언트에게 보낸다.
-HEAD : 클라이언트가 어떤 웹 문서의 부분적인 내용을 보고 싶을 때 사용된다. GET 메소드와 유사하나 응답 메시지에는 바디 부분이 포함되지 않는다.
-POST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어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PUT : URL에 명시된 웹 문서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거나 새 문서로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PATCH : PUT과 유사하나 요청 메시지에는 패치 목록만을 포함하고있다.
-COPY : 요청 라인의 URL에 위치한 파일을 헤더에 명시한 위치로 복사한다.
-LINK : 요청 라인의 URL에 위치한 파일을 헤더에 명시한 위치로 연결한다.
#URL : ann/2009-09-09/static/amazon/iframeproxy-39.html
#Version : HTTP 버전 (HTMP/1.1 )
2.요청 해더라인(노랑네모)
- User-Agent : 사용자 웹 브라우저 종류 및 버전 정보
- Accept :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
- Accept-Languge : 사용 언어
- Cookie : HTTP 프로토콜 자체가 세션을 유지하지 않은 State-Less(접속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방식이기 때문에 로그인 인증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기억하려고 만든 인위적인 값
- Referer : 어떤 사이트를 경유했는지를 알려주는 도메인 혹은 URL 정보
- Host : 사용자가 요청한 도메인 정보(URL)
- Connection : 지속 연결의 사용 여부
3.빈칸(초록네모)
\\r\\n
4.요청 바디라인(파란네모)
요청에 필요한 내용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HTML Form Tag 안에 입력된 값들인 parameter 정보를 의미함
(2)HTTP 응답 메시지
서버는 프로토콜 버전, 성공 또는 오류 코드 번호, 서버 정보, 데이터 정보, 사용자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응답메시지를 보낸다.
응답메시지는 상태라인과 헤더로 구성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바디를 포함하기도 한다.
1.상태라인(빨간네모)
상태라인은 응답메시지의 상태를 나타내며 HTTP버전, 상태코드(Status Code), 상태표현(Statuse phrase)로 이루어 진다.
HTTP/1.1 200 OK \\r\\n
#HTTP버전
요청 라인 필드와 같은 HTTP의 버전을 표시한다.
#상태 코드
코드 범위 100은 Continue와 Switching과 같은 정보(informational)를 나타내고, 코드범위 200은 성공적인 요청을 의미한다. 코드범위 300은 클라이언트에게 다른 URL응 재지정해주고, 코드범위 400은 클라이언트 측에서 발생한 오류정보를 알려준다, 마지막으로 코드범위 500은 서버측에서 발생한 오류정보를 알려준다..
#상태표현
상태코드에 대해 사용자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텍스트로 표현한 필드이다.
2.응답 헤더라인(노란네모)
응답 처리 날짜, encoding type, Request Server 정보 등과 같은 추가 정보
- Date : 현재 일시의 시간
- Sever : 현재 웹 서버의 종류
- Content-type : 읽을 수 있는 형태
- Last-Modified : 마지막으로 수정된 시간
3.빈칸(초록네모)
\\r\\n
4.응답 바디라인(파란네모)
응답에 필요한 내용을 갖는다. 일반적은 HTML 문서이다.
DNS(Domain Name System)
DNS란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시켜주는 거대 규모의 분산 네이밍 시스템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구글의 IP주소 (3.3.3.3)을 모를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04.27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52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