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화장술의 역사-개요*
1.화장이란?
2.화장의 유래
3.화장을 하려면-피부에 대하여 알아보자!
(1)피부의 생리
(2)피부의 생리작용
①분비작용
②보호 작용
③ 지각작용
④흡수작용
⑤ 체온조절작용
(3)피부의 연령
(4)아름다운 피부의 특징
(5)피부타입 체크 포인트
4.우리나라의 화장술의 역사
(1) 삼국시대
①고구려
② 백제
③신라
(2)고려시대
(3)조선시대
(4) 개화기 이후의 메이크업
(5) 1900~1930년대
(6) 1940년대
(7) 1950년대
(8)1960년대
(9)1970년대
(10)1980년대
(11)1990년대
(12)현대
5.서양의 화장 문화사
(1)이집트
(2)그리스
(3)로마
(4)비잔틴
(5)중세중기(로마네스크)
(6)중세말기(고딕)
(7)르네상스
(8)바로크
(9)18C-로코코시대
(10)19C-근대(부흥시기)
(11)20C~현대
6.결론
1.화장이란?
2.화장의 유래
3.화장을 하려면-피부에 대하여 알아보자!
(1)피부의 생리
(2)피부의 생리작용
①분비작용
②보호 작용
③ 지각작용
④흡수작용
⑤ 체온조절작용
(3)피부의 연령
(4)아름다운 피부의 특징
(5)피부타입 체크 포인트
4.우리나라의 화장술의 역사
(1) 삼국시대
①고구려
② 백제
③신라
(2)고려시대
(3)조선시대
(4) 개화기 이후의 메이크업
(5) 1900~1930년대
(6) 1940년대
(7) 1950년대
(8)1960년대
(9)1970년대
(10)1980년대
(11)1990년대
(12)현대
5.서양의 화장 문화사
(1)이집트
(2)그리스
(3)로마
(4)비잔틴
(5)중세중기(로마네스크)
(6)중세말기(고딕)
(7)르네상스
(8)바로크
(9)18C-로코코시대
(10)19C-근대(부흥시기)
(11)20C~현대
6.결론
본문내용
56년 처음으로 블란서 \'코디\'사와 기술 제휴로 신제품을 개발하면서 코디분이 국산화되어 품질을 혁신했다.
(8) 1960년대
1960년대로 들어오면서 화장품 시장은 성숙기를 맞이하게 된다. 영국 영화의 상영으로 오드리 햅번 등 영화 스타의 모방이 헤어, 화장, 복식에 유행했다.
정부의 국산 화장품 보호정책에 따라 화장품 산업은 정상적인 궤도에 진입하고 색조화장품을 생산했다. 부자연스러운 하얀분 화장에서 자연스런 피부표현으로 바뀌고, 기초 화장을 중심으로 한 피부 표현에 역점을 두고 수정 화장이 더해져 세련된 느낌을 주긴 했으나 인조 속눈썹의 사용으로 꾸민 듯한 느낌을 주었다.
(9) 1970년대
화장품 회사의 주도하에 메이크업 캠페인으로 색채 화장에 대한 거부인식을 불식시키고 입체 화장이 생활화되었다.
샴푸, 보디제품, 팩 제품 등 화장품 시장의 급성장, 의상에 맞추어 화장하는 토털코디네이션이라는 말이 등장하였다.
1976 년에는 패션과 함께 동양무드가 가미된 화장이 선보였고, 색상은 부드러우면서도 침착한 색조 올리브 그린, 크림 베이지, 브라운, 오렌지, 블루, 더블, 핑크색이 주류를 이루었다.
1978 년부터 미용 캠페인의 영향으로 메이크업이 토탈 패션의 한 부분으로 조화되어야 한다는 의식이 생겼으며 계절별로 봄의 입술화장, 여름은 자외선 차단, 가을은 눈 화장, 겨울은 기초 피부손질에 중점을 둔 T.O.P 미용법이 정착되었다.
(10) 1980년대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브룩실즈로 대표되는 자연적인 굵은 눈썹으로 자신감 있고 활동적인 여성상을 표현했다. 색조 화장은 더욱 세련되어지고 다양해졌으며 동양인의 오클계 피부에 잘 조화되는 코랄색상(핑크와 오렌지의 중간)이 유행하고 갈색을 주조색으로 황금색 펄과 벽돌색의 조화로 세련되고 매혹적인 분위기의 색조화장이 유행했다.
1980 년대에 들어와서 교복 자율화와 88올림픽을 기점으로 더욱 개성적인 자기표현과 과감한 연출이 두드러졌고, 컬러 TV의 대량보급과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색상 사용이 다양해지고 뚜렷해졌다.
1980 년대 후반부터는 유럽의 메이크업 관련 정보가 많이 유입되어 일본보다는 유럽의 영향을 많이 받기 시작하였는데 아이섀도우 화장의 더블패턴(아이홀 화장)으로 평면적인 동양인의 얼굴에 입체감을 주고자 했다.
(11) 1990년대
1990 년대에도 패션의 흐름과 더불어 메이크업도 유행을 창출하고 선도하는가 하면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이성보다는 감성을 중요하게 여기고 패션성을 요구하고 있다. 사회 전반에 걸친 에콜로지의 경향으로 에 대한 건강관심과 자연보호에 대한 의식이 고조되면서 베이지, 오렌지, 브라운 계열을 중심으로 한 자연스러운 색조가 강세를 보였다.
이 시기에 특히 특이한 현상은 각 브랜드에서 시즌마다 컬러를 제시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유행을 선도해 나가는 현상을 들 수 있다.
각자의 개성이 강조되고 자유로움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특징이 화장품 회사 주도하에서 소비자가 선택하는 시대가 시작되었다.
또한 혼합되는 색의 강약에 따라 얻을 수 있는 무수한 색감을 참조하여 다양한 색채 예술의 감각으로 눈, 볼, 입술 화장을 표현했다.
1990년대 후반에 들어 패션경향은 어두운 무채색 계열로 몸의 곡선을 가린 미스틱하고 퇴폐적인 분위기와 함께 국내에서 오리엔탈리즘과 결합되어 풍부하고 깊이감 있게 표현하고 있다.
한국의 디자이너들은 오리엔탈 패션테마에 맞추어 한국적인 것을 모던하게 표현하게 되었는데 의상과 함께 창백한 피부톤, 가는 아치형의 검은 눈썹, 붉은 립스틱 메이크업도 나타났다.
또한 다른 한편의 메이크업은 전체적으로 어둡고 깊은 컬러의 주류가 예상된다. 우주공간의 어두운 색채들은 금이나 구리 등의 금속적인 광택과 혼합되어 깊이감을 더해주거나 스모키한 느낌의 다소 음침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파우더를 뿌려놓은 투명한 피부 표현으로 어두운 색조화장과 병행될 때 냉철하고 지적인 세련미를 표현하고 있다.
또한 화장 연령이 저하되어 젊은이 대상의 화장품 시장이 점차 확대되어 눈부신 발전을 하였다.
(12) 현대
기초화장과 메이크업(마무리화장)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메이크업은 목적·시간·장소에 따라 분류된다.
① 내추럴(natural) 메이크업(자연스러운 화장):데이 타임 메이크업(주간)·애프터 눈 메이크업(오후)·나이트타임 메이크업·포인트 메이크업(부분을 강조하는 방법) 등이 있다.
② 엑스트림(extreme) 메이크업(극단적인 화장):포토 메이크업(사진촬영용)·무비 메이크업(영화촬영용)·스테이지 메이크업(무대용)·캐릭터 리스틱 메이크업(특수한 개성을 내기 위한 것) 등이 있다.
현대의 화장은 예전에 비해 품질 면뿐만 아니라 메이크업 방법 면에서의 변화도 뚜렷하다. 그것은 과거에 있어서의 화장이 단지 단순한 건강미 또는 퇴폐미(頹廢美) 등을 목표로 한 데 대하여 현대의 화장은 피부색과의 전체미에 바탕을 둔 색의 조화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과거에 있어서의 분은 흰색, 루즈는 빨강, 눈썹은 검은색이었던 것이 각각 단일색에서 벗어나 십수 색에서 수십 색이라는 다채로운 상품구성이 되었다.
이렇게 메이크업은 패션의 일부가 되고 분위기에 따라 색조를 변화하게 되었다. 이들 화장을 보다 효과적으로 살리기 위해 피부는 맨살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으며, 파운데이션이나 분류도 모두 투명감을 가지게 되었다.
현대의 화장은 화장품의 발달과 매스미디어의 발달에 의하여 예전과 같은 화장술의 격차가 없어지고, 화장으로 짐작할 수 있었던 직업이나 지역차, 계층이나 연령 등을 알 수 있는 의미의 표현이 없어지고 개성표현의 요소가 많아졌기 때문에 개인의 기호·지성·교양 등을 알 수 있게 되었다.
5.서양화장 문화사
(1)이집트
약 7천년 전 제1왕조의 묘에서 지방에 향을 넣은 화장수와 화장경이 발견됨으로써 인류의 화장기원으로 추정되며 초기 화장의 발달은 시체에 향유나 연고, 방부제를 바르는 등 그들의 영생을 믿는 종교관에서 비롯된다.
고온 다습한 기후로 태양열로부터 피부의 노화방지를 위해 연고를 발랐으며 향수를 많이 사용한다. 계급과 성별에 관계없이 화장이 보편화되었고 검은색 아이라인을 짙게 칠해 마귀를
(8) 1960년대
1960년대로 들어오면서 화장품 시장은 성숙기를 맞이하게 된다. 영국 영화의 상영으로 오드리 햅번 등 영화 스타의 모방이 헤어, 화장, 복식에 유행했다.
정부의 국산 화장품 보호정책에 따라 화장품 산업은 정상적인 궤도에 진입하고 색조화장품을 생산했다. 부자연스러운 하얀분 화장에서 자연스런 피부표현으로 바뀌고, 기초 화장을 중심으로 한 피부 표현에 역점을 두고 수정 화장이 더해져 세련된 느낌을 주긴 했으나 인조 속눈썹의 사용으로 꾸민 듯한 느낌을 주었다.
(9) 1970년대
화장품 회사의 주도하에 메이크업 캠페인으로 색채 화장에 대한 거부인식을 불식시키고 입체 화장이 생활화되었다.
샴푸, 보디제품, 팩 제품 등 화장품 시장의 급성장, 의상에 맞추어 화장하는 토털코디네이션이라는 말이 등장하였다.
1976 년에는 패션과 함께 동양무드가 가미된 화장이 선보였고, 색상은 부드러우면서도 침착한 색조 올리브 그린, 크림 베이지, 브라운, 오렌지, 블루, 더블, 핑크색이 주류를 이루었다.
1978 년부터 미용 캠페인의 영향으로 메이크업이 토탈 패션의 한 부분으로 조화되어야 한다는 의식이 생겼으며 계절별로 봄의 입술화장, 여름은 자외선 차단, 가을은 눈 화장, 겨울은 기초 피부손질에 중점을 둔 T.O.P 미용법이 정착되었다.
(10) 1980년대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브룩실즈로 대표되는 자연적인 굵은 눈썹으로 자신감 있고 활동적인 여성상을 표현했다. 색조 화장은 더욱 세련되어지고 다양해졌으며 동양인의 오클계 피부에 잘 조화되는 코랄색상(핑크와 오렌지의 중간)이 유행하고 갈색을 주조색으로 황금색 펄과 벽돌색의 조화로 세련되고 매혹적인 분위기의 색조화장이 유행했다.
1980 년대에 들어와서 교복 자율화와 88올림픽을 기점으로 더욱 개성적인 자기표현과 과감한 연출이 두드러졌고, 컬러 TV의 대량보급과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색상 사용이 다양해지고 뚜렷해졌다.
1980 년대 후반부터는 유럽의 메이크업 관련 정보가 많이 유입되어 일본보다는 유럽의 영향을 많이 받기 시작하였는데 아이섀도우 화장의 더블패턴(아이홀 화장)으로 평면적인 동양인의 얼굴에 입체감을 주고자 했다.
(11) 1990년대
1990 년대에도 패션의 흐름과 더불어 메이크업도 유행을 창출하고 선도하는가 하면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이성보다는 감성을 중요하게 여기고 패션성을 요구하고 있다. 사회 전반에 걸친 에콜로지의 경향으로 에 대한 건강관심과 자연보호에 대한 의식이 고조되면서 베이지, 오렌지, 브라운 계열을 중심으로 한 자연스러운 색조가 강세를 보였다.
이 시기에 특히 특이한 현상은 각 브랜드에서 시즌마다 컬러를 제시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유행을 선도해 나가는 현상을 들 수 있다.
각자의 개성이 강조되고 자유로움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특징이 화장품 회사 주도하에서 소비자가 선택하는 시대가 시작되었다.
또한 혼합되는 색의 강약에 따라 얻을 수 있는 무수한 색감을 참조하여 다양한 색채 예술의 감각으로 눈, 볼, 입술 화장을 표현했다.
1990년대 후반에 들어 패션경향은 어두운 무채색 계열로 몸의 곡선을 가린 미스틱하고 퇴폐적인 분위기와 함께 국내에서 오리엔탈리즘과 결합되어 풍부하고 깊이감 있게 표현하고 있다.
한국의 디자이너들은 오리엔탈 패션테마에 맞추어 한국적인 것을 모던하게 표현하게 되었는데 의상과 함께 창백한 피부톤, 가는 아치형의 검은 눈썹, 붉은 립스틱 메이크업도 나타났다.
또한 다른 한편의 메이크업은 전체적으로 어둡고 깊은 컬러의 주류가 예상된다. 우주공간의 어두운 색채들은 금이나 구리 등의 금속적인 광택과 혼합되어 깊이감을 더해주거나 스모키한 느낌의 다소 음침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파우더를 뿌려놓은 투명한 피부 표현으로 어두운 색조화장과 병행될 때 냉철하고 지적인 세련미를 표현하고 있다.
또한 화장 연령이 저하되어 젊은이 대상의 화장품 시장이 점차 확대되어 눈부신 발전을 하였다.
(12) 현대
기초화장과 메이크업(마무리화장)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메이크업은 목적·시간·장소에 따라 분류된다.
① 내추럴(natural) 메이크업(자연스러운 화장):데이 타임 메이크업(주간)·애프터 눈 메이크업(오후)·나이트타임 메이크업·포인트 메이크업(부분을 강조하는 방법) 등이 있다.
② 엑스트림(extreme) 메이크업(극단적인 화장):포토 메이크업(사진촬영용)·무비 메이크업(영화촬영용)·스테이지 메이크업(무대용)·캐릭터 리스틱 메이크업(특수한 개성을 내기 위한 것) 등이 있다.
현대의 화장은 예전에 비해 품질 면뿐만 아니라 메이크업 방법 면에서의 변화도 뚜렷하다. 그것은 과거에 있어서의 화장이 단지 단순한 건강미 또는 퇴폐미(頹廢美) 등을 목표로 한 데 대하여 현대의 화장은 피부색과의 전체미에 바탕을 둔 색의 조화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과거에 있어서의 분은 흰색, 루즈는 빨강, 눈썹은 검은색이었던 것이 각각 단일색에서 벗어나 십수 색에서 수십 색이라는 다채로운 상품구성이 되었다.
이렇게 메이크업은 패션의 일부가 되고 분위기에 따라 색조를 변화하게 되었다. 이들 화장을 보다 효과적으로 살리기 위해 피부는 맨살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으며, 파운데이션이나 분류도 모두 투명감을 가지게 되었다.
현대의 화장은 화장품의 발달과 매스미디어의 발달에 의하여 예전과 같은 화장술의 격차가 없어지고, 화장으로 짐작할 수 있었던 직업이나 지역차, 계층이나 연령 등을 알 수 있는 의미의 표현이 없어지고 개성표현의 요소가 많아졌기 때문에 개인의 기호·지성·교양 등을 알 수 있게 되었다.
5.서양화장 문화사
(1)이집트
약 7천년 전 제1왕조의 묘에서 지방에 향을 넣은 화장수와 화장경이 발견됨으로써 인류의 화장기원으로 추정되며 초기 화장의 발달은 시체에 향유나 연고, 방부제를 바르는 등 그들의 영생을 믿는 종교관에서 비롯된다.
고온 다습한 기후로 태양열로부터 피부의 노화방지를 위해 연고를 발랐으며 향수를 많이 사용한다. 계급과 성별에 관계없이 화장이 보편화되었고 검은색 아이라인을 짙게 칠해 마귀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