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법상 권리규제 (권리구제의 개념과 의의, 권리규제의 절차)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법상 권리규제 (권리구제의 개념과 의의, 권리규제의 절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권리구제의 개념과 의의
1.개념
2.권리구제의 유형

Ⅱ.권리규제의 절차
1.절차의 개요
2.절차기관
3.권리규제의절차


출처

본문내용

-공단의 처분에 이의가 있는 자와 이의 신청 또는 심사청구에 대한 결정에 불복이 있는자는 「행정소송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2)공공부조법
①국민기초생활보장법
-수급자나 급여 또는 급여변경의 신청을 한 자가 시장/군수/구청장의 처분에 대하여 이의가 있는 경우에 그 결정의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60일 이내 당해 기관을 거쳐 시/도지사에게 서면 또는 구두로 이의신청 가능
-이의신청을 받은 시장/군수/구청장은 다시 10일 이내에 의견서와 관계서류를 첨부하여 시/도지사에게 송부, 시/도지사는 30일 이내 결정, 그 내용을 신청인과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서명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이 처분에 대하여 이의가 있을 경우에는 처분의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60일 이내 시/도지사를 거쳐 보건복지가족부장관에게 사면 또는 구두로 이의 신청 가능, 이의신청을 받은 시/도지사는 다시 10일 이내에 의견서와 관계서류를 첨부하여 보건복지가족부장관에게 송부,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은 30일 이내 결정(재결)하고, 그 내용을 신청인과 시/도지사에게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출처
한국사회복지법제론 [제5판], 현외성/ 양서원
사회복지법제강좌론, 김경우 / MJ미디어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5.05.17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78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