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도날드 (Mcdonald`s) 기업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맥도날드 (Mcdonald`s) 기업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맥도날드의 연혁을 통한 소개

(2) 맥도날드의 기업정신

(3) 맥도날드의 성공 요인

(4) 맥도날드의 마케팅 전략

본문내용

피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저가 커피와 비교하는 것 자체가 무리라는 입장이다. 상당수 바리스타들이 노동부·스타벅스커피코리아 공인 커피전문가라는 주장이다.
2008년 원두커피 시장 점유율 33%로 1위였던 스타벅스 측은 2009년 들어서도 매장을 15개 늘렸다. 스타벅스커피코리아 관계자는 "커피 한 잔을 고급스럽게 제조할 뿐 아니라 편안한 공간에서 커피를 마실 수 있도록 매장 관리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고 강조했다.
원조 나라인 미국에서는 스타벅스와 맥도날드 간 광고전이 점입가경이다. 맥도날드는 "당신의 하루를 맥카페하세요"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대대적인 광고전에 나섰고, 스타벅스는 5월 초부터 뉴욕타임스 등에 "싸구려 커피를 조심하세요"라는 광고를 내보내면서 맞불을 놓았다.
불황에 싼 가격을 내세운 맥도날드의 도전으로 스타벅스의 아성이 흔들리는 가운데 국내 업체들도 매장 늘리기, 메뉴 다양화 등으로 경쟁에 가세하고 있다. 할리스는 2009년 매장 12개를 늘려 195개를 운영 중이다. 2008년 말에는 4000원대 유자 음료도 내놓았다. 엔제리너스도 5월 초 5300원짜리 홍시 음료를 출시했다. 2) 프라이드 마케팅 소비자에게 품질로 배짱을 부리는 먹을거리 기업의 ‘프라이드 마케팅’이 각광받고 있다. 불경기 속에서도 자사 제품에 대한 자부심을 바탕으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침으로써 고객이 사지 않을 수 없게끔 만드는 것이다. 100% 환불보장을 내세우는가 하면 일부 수량 한정판매를 하는 등 품질 자신감을 내세우는 전략이다.한국맥도날드는 2008년 남녀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자사 커피브랜드 ‘맥카페’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과감하게 CF에 삽입했다. 블라인드 테스트 방식으로 진행된 실험에서 맥카페는 소비자들이 가장 구매하고 싶은 커피로 선정됐으며 현실감 넘치는 이 광고로 맥도날드 커피매출은 2008년 같은 기간보다 약 62% 증가했다.3) 현지화 마케팅 패밀리 레스토랑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와 패스트푸드 업체 맥도날드는 미국에서 물 건너온 외국계 기업이라는 것 외에 별다른 공통점이 없어 보인다.
두 회사는 2010년으로 각각 한국 진출 16년과 22년을 맞았다. 때로는 반미(反美)정서 때문에 소비자에게 외면당하기도 했었다. 그러나 2010년 현재 아웃백은 국내 패밀리 레스토랑 업계 1위, 맥도날드는 외국계 패스트푸드 업체 중에서 1위를 달리고 있다.
두 회사에게 대체 어떤 공통점이 있길래 한국 토종 기업들을 밀어내고 꾸준히 성장할 수 있었을까.
답은 아웃백과 맥도날드에 가면 '잇(it) 제품'이 있기 때문이다.
두 회사는 외국계 기업으로서 한국에 뿌리 내리기 위해 '현지화 마케팅'을 철저히 실행했다. 다른 대륙에 가면 없지만 아시아 국가인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토종 메뉴'를 만든 것이다.아웃백은 한국식 갈비 양념이나 떡갈비, 김치볶음밥 등 한국적인 맛을 살린 재료와 조리법을 적극 활용, 한국 고객들의 입맛을 공략해 왔다. 이 회사의 한국 본사에는 한국에서만 특화된 메뉴를 개발하는 전담팀이 있을 정도다.
'카카두 그릴러'와 '카카두 갈비'는 한국식 갈비 양념으로 조리해 그릴에 살짝 볶거나 석쇠에 구워 제공되는 쇠고기 요리로, 패밀리 레스토랑을 낯설어 하는 중장년층에게도 인기가 많다는 게 아웃백의 설명이다.
닭 가슴살과 새우를 얹은 매콤한 김치볶음밥인 '스파이시 치킨 & 쉬림프 라이스'와 전통 한국식 조리법으로 만든 '떡갈비 스테이크'는 한국식 풍미를 느끼게 해 다양한 연령대의 고객이 꾸준히 찾고 있는 메뉴다.맥도날드도 1988년 한국 진출 이래 한국 고객의 입맛에 맞는 다양한 메뉴를 개발해 선보여 왔다. 타 외국계 패스트푸트 업체는 전 세계에서 동일한 제품만을 제공하는 데 반해, 맥도날드는 세계 어느 나라에서나 같은 맛을 가진 음식을 제공하면서도 추가로 '한국인만을 위한' 제품을 따로 제공해 왔다.
한국 대표 음식인 불고기를 넣어 만든 '불고기버거', 한국인이 좋아하는 매운 맛을 살린 '상하이 스파이스 치킨버거', 웰빙을 중요시하는 한국인을 위한 '베이컨 토마토 디럭스 버거' 등이 그 예다. 녹차를 좋아하는 한국인을 위한 음료 '맥플러리 그린티'도 출시 이래 꾸준히 팔리고 있는 메뉴다.
'크레이지 핫 치킨 폴더', '오곡쉐이크', '검은콩·미숫가루 쉐이크', '삼각파이' 등도 한 때 한국인 입맛을 공략해 판매된 바 있다.
이처럼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통해 한국에 깊게 뿌리 내린 아웃백과 맥도날드는 건실한 기업으로 성장하게된 것이다.
  • 가격3,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05.19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83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