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방법
2. 측정값
3. 실험결과
4. 결과에 대한 논의
5. 결론
6. 참고 문헌 및 출처
2. 측정값
3. 실험결과
4. 결과에 대한 논의
5. 결론
6. 참고 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결과 책에서는 이론적으로 나와야하는 전기장이나 등전위선의 형태를 알고 그 형태대로 그리는 것과 달리 우리는 전류를 흘려보낸 후 멀티미터를 통해 손으로 직접 점을 눌러가며 전위차가 0 또는 최대가 되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러다보니 0이 되는 지점을 멀티미터로 확인하는 순간에도 손의 미세한 떨림이나 흔들림으로 인해 놓치는 경우가 많았고 그러다보니 그 주변에 값이 유사한 장소를 측정해서 선으로 잇다보니 선이 삐뚤삐뚤한 그림이 나오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5. 결론
등전위선이란 한 점을 중심으로 했을 때 그 점과 전위가 같은 점들의 집합을 말한다. 전기장의 경우는 (+) 부분이 전위가 크고 (-)가 낮으므로 (+)에서 (-) 로 흐르게 된다.
등전위선을 그릴 때 이러한 기본적인 부분을 알지 못해 실험 초반에 실수를 한 점에 대해 다시 용어의 개념을 정리해야 할 필요성을 스스로 느꼈다. 또한 이번 실험에서는 전극 모양의 2개만을 가지고 했는데 기회가 된다면 나머지 제시된 4가지 방법 또한 이용하여서 등전위선과 전기장이 규칙적인 방식으로 형성되는지에 대해 확인해보고 싶다.
6. 참고 문헌 및 출처
일반물리학실험 , 부산대학교 물리학 교재편찬위원회, 청문각
5. 결론
등전위선이란 한 점을 중심으로 했을 때 그 점과 전위가 같은 점들의 집합을 말한다. 전기장의 경우는 (+) 부분이 전위가 크고 (-)가 낮으므로 (+)에서 (-) 로 흐르게 된다.
등전위선을 그릴 때 이러한 기본적인 부분을 알지 못해 실험 초반에 실수를 한 점에 대해 다시 용어의 개념을 정리해야 할 필요성을 스스로 느꼈다. 또한 이번 실험에서는 전극 모양의 2개만을 가지고 했는데 기회가 된다면 나머지 제시된 4가지 방법 또한 이용하여서 등전위선과 전기장이 규칙적인 방식으로 형성되는지에 대해 확인해보고 싶다.
6. 참고 문헌 및 출처
일반물리학실험 , 부산대학교 물리학 교재편찬위원회, 청문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