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김사량의 봇똘이 군복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작가 김사량의 봇똘이 군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평화적 건설 시기의 연극 <봇똘이 군복>
2. 작가 김사량 소개
3. 구체적인 줄거리
4. 인물 소개(연구문제 1번 - 봇똘이의 의식 변화)
5. 플 롯
6. 갈등의 구조(연구문제 2번. 봇똘이를 중심으로)
7. 소리기능
8. 주 제(연구문제 5번)

본문내용

어 간다. 배우는 자유로운 공간을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특정 공간에 속박되거나 묶여 있어서 그 공간 속에서만 관객의 환상을 유도하는 자극을 전달하려 한다.
작품이 무대 위에 제시되는 형식도 한정되어 있으며, 무대 위에는 관객의 반응을 최대한 일으킬 수 있는 최대한의 장치가 설치되며, 그 장치도 추상적인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것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럴 경우 작품은 무대 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무대 위에만 머물러 있으며, 작품 자체가 오직 스스로의 세계만을 만들어 간다.
p.97의 (취성 “암, 그러면 그렇지 ~~”, 소리 “쉬- 군대 비밀을 그리 ~~”)
현재 무대 위에는 이뿐이와 서분네가 있고 박첨지와 가네다는 무대 위로 오고 있는 상황이므로 음성만을 들리게 한 것이다.
p.99의 (소리 “역시 오긴 왔다~~”,“서분네야, 부를 게 있니?~~”)
칠성이가 우물 뒤 밭도랑에 숨어 있으므로 그 음성만을 들리게 한 것이다.
p.102 (소리 “알었다, 응. 어서 들어가거라!)
칠성이가 헌병대를 피해서 도망가고 있는 상황이므로 음성만 들리게 한 것이다.
p.104 (소리 “주재소 불이야! 불이야!”)
p.105 (소리 “불이야!불이야!”)
서분네가 주재소에 불을 질렀으나, 무대 위에는 그 장면을 표현할 수 없으므로 ‘소리’로 표현을 한 것이다.
그래서 ‘소리’는 연극 무대 위의 공간에 표현해 낼 수 있는 장소에 제한이 따르는 것을 만회하기 위한 장치로 볼 수 있다.
8. 주 제(연구문제 5번)
봇똘이를 중심으로 마을 사람들의 변화되는 모습을 통해 민족 의식을 고양시키고 항일 투쟁의식을 느끼게 함.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05.27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00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