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종파의 사이비 규정과 생존 -문선명의 통일교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흥종파의 사이비 규정과 생존 -문선명의 통일교를 중심으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1. 서론
 2. 문제제기와 가설 수정
 3. 개념어 사용의 문제
 4. 연구 대상의 선정

2. 본론
 1. 통일교가 성장할 수 있었던 사회적 조건
 2. 통일교는 무엇인가
 3. 통일교의 사회에로의 통합노력

3. 결론

본문내용

이상 절대적인 윤리적 기준이 아니라 자신의 기호에 맞는 것을 찾아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기독교적인 이분법에 의한 이단 시비는 더 이상 세인의 관심을 끌지 못하게 되었다. 개인이 어떠한 종교를 믿든 그것은 개인의 선택이며, 종교는 더 이상 타인에 의해 강요되거나 선택되어지는 것이 아니다. 다만 개인의 기호나 경향성에 따라 사람들이 종교를 자유롭게 결정하는 방향으로 사회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흘러가고 있다.
3. 결론
이상에서 통일교가 나타나게 된 배경과 그 사이비성에 대한 기성 교단과의 갈등 요인, 그리고 생존 및 성장을 위한 그들의 전략들을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논의를 통해 우리는 통일교가 발생한 후 성장하는 데 있어서 해방공간이라는 사회적 여건이 크게 작용했으며, 그 규모가 확장되고 사회적 영향력이 커가면서 기존 개신교 종단과의 갈등을 빚어오는 중에도 끊임없이 국내외에서 교육문화언론정치적인 활동들을 벌이면서 사회로의 안정적인 진입을 시도했고, 그 시도는 무척 유효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통일교 측의 전략과 노력뿐만이 아니라 그것이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사회적인 여건들에도 기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사회와 정치의 흐름을 잘 읽어내고 거기에 발맞추어 적절한 전략을 활용하였기 때문에 통일교가 지금과 같은 거대한 집단으로 성장할 수 있었고, 단순한 하나의 이단 종파가 아닌 신흥종교로까지 인정될 수 있는 암묵적인 동의를 얻어낼 수 있었다고 보이는 것이다. 만약 해방 이후 한국 사회가 지금의 그것과는 다른 길을 걸어왔다면 통일교가 선택했을 전략과 그 효과 역시 지금과 판이하게 달랐을 것이라는 생각을 할 수 있었다. 또한 우리의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바와 같이 그들이 주장하는 교리나 관련한 의식 등에서 지금의 보편적인 기준에 견주어 잘 납득이 가지 않는 것들을 찾아볼 수도 있었으나, 통일교 측에서는 문화운동적(정치경제사회교육 등의 부문을 아우르는)인 측면을 강조하면서 상대적으로 그러한 ‘문제적’ 사안들에 대한 비판이나 비난을 피해가려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었다. 통일교의 홈페이지(www.tongil.or.kr)에서도 이러한 경향을 읽을 수 있었다.
'세계 기독교 통일 신령협회’에서 ‘세계평화 통일 가정연합’으로 명칭을 변경한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즉, 신흥종교 또는 기독교의 사이비종교라는 이미지보다는 사회 전반에 관련한 문화운동 단체적인 성격을 부각시키면서 사회 성원들의 거부감을 완화하려는 이미지전략을 구사하고 있다고 보인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종교가 언제까지나 단일한 하나의 교리를 공유한 하나의 종교로 남아있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하나의 종교단체의 규모가 양적으로 증가하게 되면 내적으로나 외적으로 많은 동인(動因)들에 의해서 교리의 발전과 생성, 그리고 대립적인 교리들 가운데서의 선택의 방향이 결정되며, 결국 오늘의 종교는 어제의 종교와는 다른 모습을 가지게 된다. 종교집단 내에서는 당연히 어제의 모습을 회복하려는 무리와 오늘의 모습을 고수하려는 무리, 그리고 또 다른 모습을 주장하는 무리들이 갈등을 빚으며 내일의 모습을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갈등과 분열의 역사를 종교는 오늘까지 계속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회가 다원화하면서 하나의 가치나 규범만을 강요하지 않게 되었고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없는’ 행동이나 집단에 대해서 강제를 가하는 일이 적어졌으며 그러한 판단기준 역시 완화하였다.
이러한 것들은 통일교에 관해서도 역시 적용될 수 있는 것이어서 우리가 연구 과정에서 참조한 많은 개신교 입장의 자료에서는 통일교 교리의 이단성에 대해 비판을 가하고 있지만 객관성을 최대한 유지하려 한 우리의 입장에서는 그것은 단지 교리의 생산과 해석에 관한 문제일 뿐이었고, 사회적으로 이미 통일교는 ‘별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신흥종교로 인정되고 있다고 보았다. 그런 교리적인 면에서의 극명한 대립에도 불구하고 통일교가 지금의 모습을 가질 수 있었던 데에는 사회적인 여건의 영향이 있었으며, 또한 그것을 잘 읽고 활용한 통일교 측의 전략과 노력이 매우 유효했을 것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통일교의 예를 통해 신흥 종파가 생겨나 기성교단과 마찰을 빚어내게 되더라도 그 종파가 가진 이단성만이 그 종파의 흥망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회적인 여건과 분위기가 그 생존과 성장에 걸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일반적 합의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자료------------------------------------
기독교 입장에서 본 통일교의 교리적 오류
구 분
통일교의 주장
성경적 입장
타 락
천사와 인간이 간음을 해서 타락했다.
인간이 하나님을 떠나서 타락했다. (롬 5:14-19)
기 독 론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영적 구원만 이루시고 육체 구원은 이루지 못했다.
십자가에서 완전한 구원을 이루었다. (히 9:12)
구 원
문선명이 육적 구원을 이룬다.
예수님께서 다 이루셨다.(요 19:30)
계 시
『원리 강론』
신구약 성경66권 (계 22:18-19)
재 림 주
문 선 명
예수 그리스도 (계1:17)
참고문헌------------------------------------
강만길(1994), 고쳐쓴 한국 현대사, 창작과 비평사
노치준, 강인철(1997), 「해방 후 한국 종교의 특성과 변화」, 한국 현대사와 사회 변동, 문학과 지성사
심창섭 김도빈 오영호 박영관(2000), 기독교의 이단들,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윤승웅(1997), 현대 한국종교문화의 이해, 한울 아카데미
윤이흠(1991), 한국 종교 연구 2, 집문당
이대복(1997), 통일교 원리 비판과 문선명의 정체, 기독교 이단문제 연구소
이대복(2000), 이단 종합 연구, 큰샘출판사
이원규(1997), 종교사회학의 이해, 사회비평사
李載錫(1981), 改新敎와 統一敎, 成和社
정행업(1999), 한국교회사에 나타난 이단논쟁, 한국장로교출판사
최장집(2002),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탁명환(1986), 기독교 이단 연구, 국제 종교문제 연구소
황필호(2000), 통일교의 종교철학, 생각하는 백성
Eric, Hobsbawn(1997), 극단의 시대, 까치
  • 가격2,6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5.05.31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07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