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정위탁보호서비스
1) 가정위탁서비스의 개념
2) 가정위탁서비스의 목적과 실천원칙
2. 입양서비스
1)입양의 개념과 목적
2) 입양제도 발달과정
3) 입양현황
4)입양의 기본방향과 조건
5)입양아동 및 가족을 위한 지원서비스
1) 가정위탁서비스의 개념
2) 가정위탁서비스의 목적과 실천원칙
2. 입양서비스
1)입양의 개념과 목적
2) 입양제도 발달과정
3) 입양현황
4)입양의 기본방향과 조건
5)입양아동 및 가족을 위한 지원서비스
본문내용
입양을 단계적으로 축소하도록 하였다. 정부에서 해외입양을 줄이기 위해 12개의 과제와 세부추진과제를 선정하여 추진하였다.
영역
과제
세부과제
미혼모
발생예방
체계구축
예방교육체계의
네트워크 구축
●학교중심, 지역사회중심의 예방교육 내실화
●학교와 지역사회 간 유기적 네트워크 구축
상담의 내실화 및
접근성 제고
●종합적, 체계적인 예방, 치료적 상담서비스
●다양한 통로의 상담 활성화
미혼모예방치료의
통합적 접근 강화
●지역사회 청소년 사회안전망확충으로 미혼모발생예방, 통합적 조치 강화
미혼모의 자립
및
양육강화
미혼모의 연령 통합형
자립자활 프로그램 확충
●미혼모의 기본생활보장
●미혼모의 심리 정서적 지원
미혼모의 연령 맞춤형
자립자활 프로그램 확충
●학생미혼모의 학습권 보장
●맞춤형 취업, 창원지원
미혼모자녀양욱의
사회적 책임강화
●양육미혼모의 자녀 양육비 실효성 확보
●양육미혼모의 자녀양육서비스 확대
국내입양제도의
선진화 방안
입양아동 권익보호를 위한법, 제도적 기반마련
●입양보모의 자격 및 입양파양절차 강화
●입양 사후관리 기간확대 및 입양인의 정보접근성 보장
●입양숙려제 도입 및국내입양우선추진제 법제화
입양가정의 경제적 부담완화
및 건강성 제고
●입양과족의 양육지원확대
●입양인 사후관리서비스의 체계적 통합적 관리
입양발굴 및
입양이 어려운
아동의 인센티브 도입확대
●남아, 연장아 및 장애아의 인센티브 도입확대
●입양가족 발굴
입양서비스의
효울성 제고를
위한 인프라 간화
●입양수행허브기관으로서 중앙입양정보원 기능강화
●입양살무자의 전문성 강화 및 처우개선
요보호 아동예방
및 연대 책임
인식증대
미혼모예방 및 편견해소를
위한 사회적 인식개선
●사전 사후적 단계별 홍보 및 캠폐인 전개
●대출매체를 활용한 미혼모의 자립양육 롤 모델 사례발굴 홍보
입양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수용성 제고방안
●생애주기별 입양교육과 홍보실시
●체계적 지속적 홍보를 위한 인프라 구축 운영
3) 입양현황
요보호아동을 위한 보호 형태로 입양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0년 25.6%이었고, 그 중에서 국내입양은 59.1%,국외입양은 40.9%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16.9% 시설보호에 비하여 1/3의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국내입양의 경우 99.4%가 비장애입양, 0.6%가 장애입양인 반면 국외입양의 경우 비장애입양이 76.2%,장애입양이 23.8%인 것으로 나타났다.
4)입양의 기본방향과 조건
(1)입양의 기본
영역
과제
세부과제
미혼모
발생예방
체계구축
예방교육체계의
네트워크 구축
●학교중심, 지역사회중심의 예방교육 내실화
●학교와 지역사회 간 유기적 네트워크 구축
상담의 내실화 및
접근성 제고
●종합적, 체계적인 예방, 치료적 상담서비스
●다양한 통로의 상담 활성화
미혼모예방치료의
통합적 접근 강화
●지역사회 청소년 사회안전망확충으로 미혼모발생예방, 통합적 조치 강화
미혼모의 자립
및
양육강화
미혼모의 연령 통합형
자립자활 프로그램 확충
●미혼모의 기본생활보장
●미혼모의 심리 정서적 지원
미혼모의 연령 맞춤형
자립자활 프로그램 확충
●학생미혼모의 학습권 보장
●맞춤형 취업, 창원지원
미혼모자녀양욱의
사회적 책임강화
●양육미혼모의 자녀 양육비 실효성 확보
●양육미혼모의 자녀양육서비스 확대
국내입양제도의
선진화 방안
입양아동 권익보호를 위한법, 제도적 기반마련
●입양보모의 자격 및 입양파양절차 강화
●입양 사후관리 기간확대 및 입양인의 정보접근성 보장
●입양숙려제 도입 및국내입양우선추진제 법제화
입양가정의 경제적 부담완화
및 건강성 제고
●입양과족의 양육지원확대
●입양인 사후관리서비스의 체계적 통합적 관리
입양발굴 및
입양이 어려운
아동의 인센티브 도입확대
●남아, 연장아 및 장애아의 인센티브 도입확대
●입양가족 발굴
입양서비스의
효울성 제고를
위한 인프라 간화
●입양수행허브기관으로서 중앙입양정보원 기능강화
●입양살무자의 전문성 강화 및 처우개선
요보호 아동예방
및 연대 책임
인식증대
미혼모예방 및 편견해소를
위한 사회적 인식개선
●사전 사후적 단계별 홍보 및 캠폐인 전개
●대출매체를 활용한 미혼모의 자립양육 롤 모델 사례발굴 홍보
입양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수용성 제고방안
●생애주기별 입양교육과 홍보실시
●체계적 지속적 홍보를 위한 인프라 구축 운영
3) 입양현황
요보호아동을 위한 보호 형태로 입양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0년 25.6%이었고, 그 중에서 국내입양은 59.1%,국외입양은 40.9%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16.9% 시설보호에 비하여 1/3의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국내입양의 경우 99.4%가 비장애입양, 0.6%가 장애입양인 반면 국외입양의 경우 비장애입양이 76.2%,장애입양이 23.8%인 것으로 나타났다.
4)입양의 기본방향과 조건
(1)입양의 기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