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재료] 열처리 - 뜨임(Tempering), 풀림(Annealing), 담금질(Quenching), 불림(Normalizing)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계재료] 열처리 - 뜨임(Tempering), 풀림(Annealing), 담금질(Quenching), 불림(Normalizing)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 뜨임(Tempering)
1. 뜨임 처리의 목적
2. 뜨임 처리의 방법

B. 풀림(Annealing)
1. 풀림 처리의 목적
2. 풀림 처리의 방법
3.풀림 처리 전후의 재료 조직의 변화내용

C. 담금질(Quenching)
1. 담금질 처리의 목적
2. 담금질 처리의 방법
3. 담금질 처리 전후의 재료 조직의 변화내용

D. 불림(Normalizing)
1. 불림 처리의 목적
2.불림 처리의 방법


오스테나이트

◎1. 열처리 개요
◎ SR 균열(Stress Relief Cracking)

본문내용

자수가 적어지므로 페라이트의 연속성은 더욱 좋아진다. 따라서 경도는 저하되고 소성가공이나 절삭가공이 용이해진다. 즉, 구상화 풀림에 의해 과공석강은 절삭성이 향상되고, 아공석강에서는 냉간단조성 등의 소성가공성이 좋아지게 되는 것이다.
④. 응력제거풀림
통상 재결정온도(450℃) 이상 A1 변태점 이하에서 행한다. 이 온도에서 두께 25㎜당 1시간 유지하고, 두께 25㎜당 200℃/h로 서냉시킨다. 일반적으로 가열온도가 높아질수록 재료는 연해지고, 잔류응력에 의해 소성변형이 일어나므로 응력이 완화제거된다. 일반적으로 탄소량이 많은 강일수록 잔류응력이 많고, 또 제거하기가 어렵다. 잔류응력제거와 함께 결정립의 미세화나 조직의 조절도 동시에 하고자 할 경우에는 완전풀림이나 노멀라이징을 한다.
⑤. 연화풀림
대부분의 금속 및 합금은 냉간가공을 하면 가공경화에 의하여 강도가 증가되고 취약해져서 이 때문에 어느 가공도 이상으로 가공할 수 없게 된다. 특히 강에서는 탄소량이 많을수록 가공경화도가 커진다. 이렇게 경화된 것을 절삭가공을 한다든지, 또는 더 많은 냉간가공을 하고자 할 때에는 강을 일단 연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여 가공조직을 완전히 회복시키거나 재결정 및 결정립 성장을 시켜야 한다.
⑥. 확산풀림
가열온도는 합금의 종류나 편석 정도에 따라서 다르며, 주괴편석 제거를 위해서는 1200∼1300℃, 고탄소강에서는 1100∼1200℃, 단조나 압연재의 섬유상 편석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900∼1200℃ 범위에서 열처리하는 것이 적당하다. 확산풀림을 할 때 풀림온도가 높을수록 균질화는 빠르게 일어나지만 결정립이 조대화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3.풀림 처리 전후의 재료 조직의 변화내용
망상시멘타이트(networkcementite) 풀림 온도가 점차 높아지면 망상시멘타이트에 싸여진 오스테나티으의 립은 성%장하고 조화한다, 이조직은 오스테나이트 입도의 평가법에 이용된다. 탄소함유량이 0.77%이상의 강을 과공석강이라 하며, 풀림의 냉각 과정에서 시멘타이트는 오스테나이트의 입계에 망상으로 석출하고, 오스테나이트 기지는 펄라이트가 된다. 탄소량이 증가와 함께 시멘타이트가 증대하기 때문에 경도, 인장강도는 증가하지만 연신율, 충격지는 감소한다. 탄소 함유량이 0.9%-1%에 이르면 망상 시멘타이트는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으나 1.2%이상이 되면 100배 정도의 저배율로 확실히 나타난다. 탄소량이 0.6~0.8% 정도인 탄소강의 풀림 조직에서 망상으로 보이는 페라이트와 분별하는데는 피크린산소다액에서 가열하면 좋다. 망상 시멘타이트는 흑색으로 착색되지만 페라이트는 착색되지 않는다, 이조직의 강재에서는 A1 점보다 어느 정도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 펄라이트는 오스테나이트가 되지만 망상 시멘타이트는 그대로 입계에 남기 쉽고 이 상태에서 급냉하면 급냉 균열들의 결함이 생기기 쉽다.이를 예방하기 위해 구상화 풀림을 하여 시멘타이트를 구상화한다. Acm점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하면 시멘타이트는 전부 오스테나이트에 용해되어 침투하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은 조대화되며, 조재화 된 것은 충격치가 낮다.
C. 담금질(Quenching)
1. 담금질 처리의 목적
◎강의 내마모성을 증가시키는 데에 가장 큰 목적이 있으며 또한 강도를 올리는데 있다. 그 목적은 강의 종류는 2가지인데하나는 공구강의 경우인데, 이것은 다른 금속재료를 절삭가공하기 위해 되도록 단단하거나 내마모성이 커야 하므로 고탄소 마르텐사이트의 특징인 큰 경도를 그대로 이용한다. 따라서 많은 공구강에서는 템퍼링온도를 150∼200℃의 비교적 낮은 온도로 하거나, 고합금강에서처럼 500∼600℃로 템퍼링을 하더라도

키워드

  • 가격6,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06.01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11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