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흠과 결함의 정의와 결함의 유해성에 대해 기술하시오.
2. 아래의 재료에서 주로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의 종류와 최적 비파괴 검사의 적용 예에 대해 기술하시오
3. 보수검사에서 볼 수 있는 결함 중 열응력피로균열
4. 참고자료
2. 아래의 재료에서 주로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의 종류와 최적 비파괴 검사의 적용 예에 대해 기술하시오
3. 보수검사에서 볼 수 있는 결함 중 열응력피로균열
4. 참고자료
본문내용
정도까지는 허용될 수 있는 결함으로 인식되어 있지만 그 형상이 예리한 각을 갖거나 부분적으로 고리가 있는 얇은 균열형의 슬래그 혼입이나 개재물을 수반하는 경우에는 균열과 동일하게 유해한 인자로 작용한다.
2. 아래의 재료에서 주로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의 종류와 최적 비파괴 검사의 적용 예에 대해 기술하시오
(1) 강판
① 라미네이션
- 라미네이션은 압연방향으로 얇은 층이 발생하는 내부결함으로, 강괴 내에 수축공, 기공, 슬래그 또는 내화물이 잔유하여 미압착 부분이 생기게 되고 이것이 분리되어 중공 부분이 형성된 것이다.
= 초음파 탐상 시험을 통해 알아 낼 수 있다.
② 비금속 개재물
- 비금속 개재물은 강괴 제조시 슬래그, 탈산생성물 등의 불순물이 들어간 것으로, 이는 미세한 크기로 존재한다. 이들 미세한 비금속 개재물은 존재위치, 크기, 밀도 등에 따라서 용점결함의 발생원인이 되기도 하고 기계적 성질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강재의 용도에 따라 유해성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개념으로 양부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 방사선 투과 시험을 통해 알아 낼 수 있다.
③ 표면결함
- 표면결함에는 부풀음, 각종 균열, 강괴 제조시의 스플랏슈나 기공이 존재하는 경우에 발행하는 scrab, macro-streak flaw 등이 있다.
= 자분탐상 시험을 통해 알아 낼 수 있다.
(2) 주강품
① 균열
- 균열에는 열간균열과 냉간균열이 있다. 열간균열은 응고 직후에 생기는데, 결정입계에 존재하는 불순물이 미약하여 결정입간에 인장력이 장용하면 생긴다. 냉간균열은 금속의 냉각 도중에 주형 강도의 과대 등으로부터 자유수축이 방해를 받아 주물의 응고 중 수축응력이 과대해져서 생긴다.
= 초음파 탐상 시험으로 알아 낼 수 있다.
② 수축기공
- 수축기공은 압탕, 주형, 냉금 등의 설계불량에 의해 주물 본체 속에 수축공이 생긴 것이다.
= 방사선 투과 시험으로 알아 낼 수 있다.
③ 모래혼입 및 개재물
- 모래혼입은 사형의 탈락에 의해 모래입자가 주물 속에 혼입되어 발생하는 것이고, 개재물은 슬래그가 탕구로부터 혼입되어 주물의 표면 및 내부에 나타나는 것이다.
= 방사선 투과 시험으로 알아 낼 수 있다.
④ 기공
- 용강의 탈산, 탈수소가 불충분한 경우, 주물사의 수분이 많은 겨우, 또는 주형의 불량 등으로 응고 시 강중의 가스가 빠져나가지 못하는 경우에 생긴다.
= 방사선 투과 시험으로 알아 낼 수 있다.
(3) 단강품
①
2. 아래의 재료에서 주로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의 종류와 최적 비파괴 검사의 적용 예에 대해 기술하시오
(1) 강판
① 라미네이션
- 라미네이션은 압연방향으로 얇은 층이 발생하는 내부결함으로, 강괴 내에 수축공, 기공, 슬래그 또는 내화물이 잔유하여 미압착 부분이 생기게 되고 이것이 분리되어 중공 부분이 형성된 것이다.
= 초음파 탐상 시험을 통해 알아 낼 수 있다.
② 비금속 개재물
- 비금속 개재물은 강괴 제조시 슬래그, 탈산생성물 등의 불순물이 들어간 것으로, 이는 미세한 크기로 존재한다. 이들 미세한 비금속 개재물은 존재위치, 크기, 밀도 등에 따라서 용점결함의 발생원인이 되기도 하고 기계적 성질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강재의 용도에 따라 유해성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개념으로 양부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 방사선 투과 시험을 통해 알아 낼 수 있다.
③ 표면결함
- 표면결함에는 부풀음, 각종 균열, 강괴 제조시의 스플랏슈나 기공이 존재하는 경우에 발행하는 scrab, macro-streak flaw 등이 있다.
= 자분탐상 시험을 통해 알아 낼 수 있다.
(2) 주강품
① 균열
- 균열에는 열간균열과 냉간균열이 있다. 열간균열은 응고 직후에 생기는데, 결정입계에 존재하는 불순물이 미약하여 결정입간에 인장력이 장용하면 생긴다. 냉간균열은 금속의 냉각 도중에 주형 강도의 과대 등으로부터 자유수축이 방해를 받아 주물의 응고 중 수축응력이 과대해져서 생긴다.
= 초음파 탐상 시험으로 알아 낼 수 있다.
② 수축기공
- 수축기공은 압탕, 주형, 냉금 등의 설계불량에 의해 주물 본체 속에 수축공이 생긴 것이다.
= 방사선 투과 시험으로 알아 낼 수 있다.
③ 모래혼입 및 개재물
- 모래혼입은 사형의 탈락에 의해 모래입자가 주물 속에 혼입되어 발생하는 것이고, 개재물은 슬래그가 탕구로부터 혼입되어 주물의 표면 및 내부에 나타나는 것이다.
= 방사선 투과 시험으로 알아 낼 수 있다.
④ 기공
- 용강의 탈산, 탈수소가 불충분한 경우, 주물사의 수분이 많은 겨우, 또는 주형의 불량 등으로 응고 시 강중의 가스가 빠져나가지 못하는 경우에 생긴다.
= 방사선 투과 시험으로 알아 낼 수 있다.
(3) 단강품
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