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직비디오music video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락(Rock)밴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뮤직비디오music video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락(Rock)밴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Ok Go 결성 이전의 삶
-초기의 활동들과 창조적 도약 직전의 상황
-뮤직비디오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건설하다
-아티스트로서의 창조적 도약
1. Here It Goes Again(2006.11)
2.WTF?
3.This Too Shall Pass
4.End Love
5.White Knuckles
6.Last Leap
7.All Is Not Los
8.Needing/Getting
-참고자료

본문내용

더 창의적인 행보를 보여주고 있다. 그들이 진정으로 추구하는 것은 돈, 명예, 유명세가 아니기 때문에 그들이 더 자유롭게 그들의 철학과 그들만의 예술세계를 여유롭게 추구할 수 있는 것 같다.
2. 능동주의 태도
그들이 아이디어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얻을 수 있었던 태도이다. 그들은 저예산을 극복하기 위해 괜찮은 아이디어를 갖게 되면 누군가가 그들이 원하는 작품을 제안해주기 까지 가만히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먼저 기업이나 단체에 찾아가서 같이 일하기를 권유한다. ‘DIY(Do It Yourself) 벤드’라는 애칭을 가지고 있는 Ok Go는 노래의 작곡부터 시작하여 뮤직비디오의 기획부터 제작단계까지 모든 단계에 걸쳐서 하나의 뮤직비디오를 완성시킨다. 이러한 능동적인 태도로 인하여 더 남들에 의해 가공되어지지 않은 그들만의 스타일을 추구할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3. 경계없는 사고
이들은 시카고에서 결성된 벤드이지만, 데뷔 후 미국의 할리우드 주류음악의 중심지인 켈리포니아 LA로 그 근거지를 옮겼다. 그러나 그들의 주 활동 무대가 LA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자신들을 종종 시카고 벤드라고 소개한다. 그 이유는 그들의 주된 예술관이 시카고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한 인터뷰에서 그들은 시카고에 대해 이렇게 소개했다 ‘시카고에 관해서 가장 멋진 것은 이곳은 사람들이 경험하고 도전하기 위한 장소라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만큼은 얼마나 많은 앨범과 티켓을 팔았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얼마나 아이디어가 멋진지, 얼마나 그것을 끔찍이 원하는지가 중요하다.’ 이들의 순수한 예술에의 추구에 기반을 둔 도전정신과 실험정신 그리고 아이디어에 관한 욕심은 시카고에 뿌리를 둔 벤드로서 당연한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또한 이들은 데뷔 전부터 버스콕스, 티렉스, 데이빗 보위, 비틀즈, 큐어 그리고 스톤로지스와 같은 영국뮤지션들을 좋아하여 이들의 음악을 자주 들었다고 한다. 하지만 픽시스, 시프링, 카아스, 프린스 같은 미국 아티스트들의 영향도 많이 받았다. 이들은 영·미 간에는 원래 음악적 교류가 활발하다는 것을 이유로 들어 스스로를 영국과 미국 중간쯤에 있는 벤드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경계성 때문에 이들은 미국 스타일도, 영국 스타일도 아닌 그들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추구할 수 있었다. 심지어 그들은 2집 촬영을 스웨덴에서 했다는 것을 빌미로 스웨덴 밴드가 아니냐는 오명을 얻었었다.
감정표현에 있어서 경계를 두지 않고 심각함과 발랄함을 넘나드는 감정표현은 그들이 더 자유로운 예술표현을 하도록 하였다.
4.독창적 발상
독창적 발상은 어쩌면 이 그룹의 창의적인 면모에 전반적으로 해당되는 요인인지도 모르겠다. 뮤직비디오를 통한 그들의 행보 모두가 독창적이라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먼저 그들은 뮤직비디오를 또 다른 창의성이 발휘될 수 있는 하나의 예술분야로 본 선구적인 뮤지션이다. 이에 대해 애플의 현 마케팅부서의 책임자는 ‘Ok Go는 인터넷을 상업수단이 아닌 예술의 매개체로 사용한 첫 번째 밴드’ 라고 평했다.
또한 그들은 인터넷 속에서 매세지 상으로 그들의 팬들과 대화하는 것을 넘어서 뮤직비디오를 통해 팬들과 소통할 수 있는 길을 발명한 그룹이다. A Million Ways의 안무영상이 유투브에 올라와 전 세계의 팬들로부터 커버댄스를 선사받은 것이 2004년인 것을 감안하면, 매우 이른 시기이기 때문이다.
인물 선정 배경과 나의 평가
내가 처음에 창의적 인물 사례발표에 원래 하기로 했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박웅현씨 대신에 “락 밴드”를 하겠다고 동기들에게 말했을 때에 하나같이 다 시큰둥한 반응이었다. 작사 작곡은 요즘 같은 때에는 평범한 가수들도 다 하고 있는데 뭐가 더 창의적이겠냐면서 그냥 원래하기로 한 인물을 발표하는 것이 어떻겠냐는 말도 들었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이 밴드를 더 발표하고 싶었다. 내가 소개하고 싶은 이유가 바로 이들은 그저 작사 작곡하고 놀라운 가창력과 악기 다루는 솜씨로 청중의 귀를 휘어잡는 뮤지션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전혀 색다른 방식으로 자신들의 예술의 길을 독고다이로 걸어가는 뮤지션이었다. 내가 이 밴드를 알게 된 것은 고등학교 2학년 때이다. 고등학생 때부터 창의적인 영상들을 보는 것을 좋아해서 유투브에 자주 들어가 인기 있는 동영상 중 내 이목을 끄는 것을 많이 찾아보았다. 그러던 중 알게 된 것이 Ok Go이다. 나는 수많은 동영상을 보았지만 지금껏 이처럼 재기발랄하고 창의적이며 완성도가 높은 뮤직비디오를 본 적이 없다. 좀 창의적이다 싶으면 완성도가 너무 떨어지거나 내가 공감할 수 있는 범위에서 한참 벗어나 점점 이상하게 보일 뿐이었고, 완성도가 높은 비디오는 창의적이지 않고 정갈하게 세상에서 정해놓은 틀에 들어가 있었다. 나는 매번 다른 콘셉트로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Ok Go가 너무 멋지다고 생각한다. 만약 그들이 인기를 위해서, 앨범을 한 장이라도 더 팔기위해서 노력했더라면 이렇게 자유롭게 그들만의 스타일을 추구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나는 창의적인 인물이라면 무언가 자신만의 철학으로 그 사람이 속한 분야의 주류에서 이탈하여 또 다른 세계를 만들고, 그 곳에서 주류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Ok Go가 그렇다. 평범한 뮤지션이, 대중들이 생각하는 뮤직비디오의 역할을 예술의 표현 분야로 바꾸었고, 선구자가 되었다. 그들은 대중들에게 전하려는 매시지를 음악뿐만 아니라 퍼포먼스를 통해서도 전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었다.
참고자료
- \"사운드·멜로디 벽 넘는 음악 작곡하고 싶다.“,<세계 일보>, 2010.2.18. ,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0/02/18/20100218004025.html
- 네이버 블로그, okgo 멜론쥬스 인터뷰, 게다츠, 2007.8.14. ,
http://blog.naver.com/yuiop9326?Redirect=Log&logNo=40983661
- [SMNR] NX100과 함께 한 ‘OK Go’의 뮤직비디오 만들기 ,, 2010.11.11. ,http://samsungtomorrow.com/619
- UCC
  • 가격6,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5.06.04
  • 저작시기2014.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18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