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1. 한국의 음식
Ⅰ. 절식으로 내려오는 우리 음식
Ⅱ. 우리문화가 담겨있는 음식
Ⅲ.우리가 즐겨먹는 음식
chapter2. 우리가 즐기는 지구촌의 먹거리
chapter3.성경 속의 식품
Ⅰ. 절식으로 내려오는 우리 음식
Ⅱ. 우리문화가 담겨있는 음식
Ⅲ.우리가 즐겨먹는 음식
chapter2. 우리가 즐기는 지구촌의 먹거리
chapter3.성경 속의 식품
본문내용
며, 배고픔을 견딜 수 있게 해주고, 설사를 막아주며 근골을 튼튼히 하여 허리나 다리가 뻣뻣한 증상을 치료해준다.
-대추: 대추는 비위기능 허약으로 피곤을 많이 느끼면서 기운이 없고 식욕이 줄며 변을 묽게 보는 증상에 유효하고, 얼굴의 황색증, 입술이 건조하고 피부가 마르며 어지럽고 눈앞에 헛것이 보이는 증상에 활용한다.
-잣: 잣은 폐와 위를 보해주고, 오장을 윤기 있게 해주며 변비에 좋다. 또 관절이 쑤시거나 머리가 어지러울 때 효과가 있고, 마비된 근육을 풀어주고 저린 증상을 없애주며 피부를 윤택하게 해 준다.
2) 3월의 명절음식
1. 화전
유래) 삼월 삼짇날 진달래꽃을 따다가 찹쌀가루에 반죽하여 둥근 떡을 만드는데 이것을 화전이라고 하였으며, 화전 중에서 두견 화전은 삼월 삼짇날에 부녀들이 화전놀이를 하며 지져 먹는 음식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영양) 한방에서는 맛이 쓰고 성질이 차며 열을 내리게 한다고 하다. 또 기침을 멎게 해 가래를 그치게 하는 거담 작용이 있으며 혈액순환을 도와 고혈압과 부인병에 좋다고 한다.
2. 탕평채
유래)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탕평채는 녹두로 만든 청포묵을 가늘게 채 썰고, 돼지고기, 미나리, 김을 섞고 초장으로 무쳐 매우 서늘한 봄날 저녁에 먹을 수 있도록 만든 음식이라고 하였다. 탕평채를 만드는 청포묵은 삼월에 먹은 음식으로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삼짇날에 먹었던 음식이다.
영양) 오장육부의 기운을 조화롭게 하여 환자의 원기를 돋우고 입맛을 되찾게 하는 데 이용하며, 종기가 난 자리에 녹두 삶은 물을 바르면 효과가 있고, 열이 많아 설사를 하는 사람이 녹두를 갈아 마시면 설사가 멈춘다고 한다.
3) 4월의 음식
미나리 강회
유래) 예로부터 자연의 기별이 맨 처음 닿는 햇미나리는 임금님께 바친다고 하였다. 서애 유성룡이 임금께 올린 글을 모아 엮은 ‘근포집’의 근포는 ‘미나리와 햇빛’ 이라는 뜻으로, 드릴 것 없는 가난한 농부가 임금께 봄 미나리와 햇빛을 올리고자 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이라 한다.
영양) 미나리는 철, 구리, 아연의 함량이 높아 빈혈에 좋고 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 효능이 있다. 미나리의 향기는 혈압을 내리는 효과가 있어 고열로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이 심한 증세 에 사용되고, 이뇨 작용이 있어 부기를 빼주며, 강장과 해독효과가 있다고 한다.
4) 5월의 명절음식
수리취떡
유래) 우리 민족에게 쑥은 단군신화에 나오는 식물로 신성시되었으며, 재액을 물리치는 힘을 가진 것으로 여기었다. 또 ‘동국세시기’의 기록에 의하면 단오날의 수리취떡은 약떡이라고 생각하여 꼭 먹었다고 한다.
영양) -수리취: 풍열, 새독, 발진에 효능이 있고, 소염, 향균 작용, 이뇨 작용, 강심 효과 등이 있다. 그리고 뿌리는 강장약, 소화제로 쓰거나 당뇨병, 위염, 위십이지장궤양, 폐렴, 기침 폐결핵, 탈모 증상의 치료에 사용한다.
-쑥: 쑥은 해열, 진통, 구충, 혈압 강하, 소염, 토사, 지혈제로 쓰고 냉으로 인한 생리 불순이나 자궁 출혈 등에 사용한다.
5) 6월의 명절음식
1. 중편
유래) 중편은 음력 6월 15일 유두일에 만들어 먹었던 것으로, 멥쌀가루에 막걸리를 넣고 반죽하여 발효시켜 찐 떡이다. 중편은 중국에서 밀가루에 술을 넣고 발효시켜 만드는 상화병이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밀가루 대신 구하기 쉬운 쌀을 이용해 만들게 된 것이라 한다.
2, 유개장국
유래) 삼복 시식에 먹는 음식으로서 소고기로 끓인 보신탕을 말하며, 소고기를 푹 삶아 가늘게 찢어서 매운 양념을 한 후 다시 국물에 넣고 끓이는 국이다. 주대의 복고주의에 따른 조선 왕조의 숭유주의는 강력한 절대 왕조의 통치 수단으로 제사를 통한 의례를 강조함으로써 희생수가 어느 때보다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고, 이러한 희생수에 의한 제사 음복 문화는 육식 문화의 발전을 가져왔다.
3. 삼계탕
유래) 삼계탕은 복날에 먹는 음식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세시풍속을 적은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전통적인 복날음식은 삼계탕이 아니라 보신탕과 팥죽을 먹었다고 하는데, 보신탕을 싫어하는 사람은 대신 육개장이나 영계백숙을 먹었던 것으로 알 수 있다.
영양) 닭고기는 속을 따뜻하게 하여 차갑고 습한 기운으로 생긴 소화 기능 이상을 치료하고 정신을 맑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하였으며, 특히 임산부에게는 태아를 안정되게 하는 기능이 있다고 한다.
4. 보신탕
유래) 보신탕은 개장국이라고도 하는데 복중의 뜨거운 음식은 한여름 땀을 많이 흘려 허해진 몸을 보호한다는 의미를 더해서 ‘보신탕’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중국의 주 시대 및 춘추시대에는 개고기를 많이 먹었고, 공자도 개고기를 먹었으니 조선 시대의 유학자들은 개고기를 아무런 저항감 없이 먹어오면서 우리나라의 개고기 요리는 널리 발달하게 되었다.
영양) 개고기는 다른 육류에 비해 고단백질, 고지방 식품이며, 아미노산 성분과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하여 체력 보강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6) 8월의 명절 음식
송편
유래) 송편은 17세기부터 기록에 나타나는데, 1680년 송편은 “백미가루로 떡을 만들어 솔잎과 켜켜로 쪄서 물에 씻어낸다”고 하였으며, 들어가는 재료로는 ‘동국세시기’에는 콩, 검정콩, 팥, 꿀, 대추, 미나리를 들었다. 지금은 송편을 추석 때 먹는 걸로 알지만 옛날에는 추석 이외에도 정월부터 6월까지 명절 때마다 특별한 날에 송편을 빚었다고 하며, 추석에 송편을 만든다는 기록은 오히려 조선 후기, 근대에 이르러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7) 동짓날의 명절음식
팥죽
유래) 팥죽의 유래는 옛날 황하 중류를 다스렸던 공공씨라는 씨족장의 아들이 말썽만 피우다가 동짓날에 죽어 역귀가 되어 홍수가 난 뒤 수인성 전염병을 옮기는 귀신이 되었다고 한다. 그 아들이 팥을 싫어하고 무서워했기 때문에 팥죽을 끓인 것인데, 마침 그날이 동짓날이기 때문에 동짓날에 팥죽을 끓여먹게 되었다고 한다.
영양) 팥은 수분 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소변을 잘 나오게 하며 젖이 잘 나오게 하고, 종기나 농혈, 소갈을 치료하고, 나쁜 피를 흩어지게 하며 주독을 풀어준다.
Ⅱ. 우리문화가 담겨있는 음식
1. 비빔밥
유래) 비빔밥이 표기되어 있는 문헌은 비빔밥을 한글로 비
-대추: 대추는 비위기능 허약으로 피곤을 많이 느끼면서 기운이 없고 식욕이 줄며 변을 묽게 보는 증상에 유효하고, 얼굴의 황색증, 입술이 건조하고 피부가 마르며 어지럽고 눈앞에 헛것이 보이는 증상에 활용한다.
-잣: 잣은 폐와 위를 보해주고, 오장을 윤기 있게 해주며 변비에 좋다. 또 관절이 쑤시거나 머리가 어지러울 때 효과가 있고, 마비된 근육을 풀어주고 저린 증상을 없애주며 피부를 윤택하게 해 준다.
2) 3월의 명절음식
1. 화전
유래) 삼월 삼짇날 진달래꽃을 따다가 찹쌀가루에 반죽하여 둥근 떡을 만드는데 이것을 화전이라고 하였으며, 화전 중에서 두견 화전은 삼월 삼짇날에 부녀들이 화전놀이를 하며 지져 먹는 음식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영양) 한방에서는 맛이 쓰고 성질이 차며 열을 내리게 한다고 하다. 또 기침을 멎게 해 가래를 그치게 하는 거담 작용이 있으며 혈액순환을 도와 고혈압과 부인병에 좋다고 한다.
2. 탕평채
유래)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탕평채는 녹두로 만든 청포묵을 가늘게 채 썰고, 돼지고기, 미나리, 김을 섞고 초장으로 무쳐 매우 서늘한 봄날 저녁에 먹을 수 있도록 만든 음식이라고 하였다. 탕평채를 만드는 청포묵은 삼월에 먹은 음식으로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삼짇날에 먹었던 음식이다.
영양) 오장육부의 기운을 조화롭게 하여 환자의 원기를 돋우고 입맛을 되찾게 하는 데 이용하며, 종기가 난 자리에 녹두 삶은 물을 바르면 효과가 있고, 열이 많아 설사를 하는 사람이 녹두를 갈아 마시면 설사가 멈춘다고 한다.
3) 4월의 음식
미나리 강회
유래) 예로부터 자연의 기별이 맨 처음 닿는 햇미나리는 임금님께 바친다고 하였다. 서애 유성룡이 임금께 올린 글을 모아 엮은 ‘근포집’의 근포는 ‘미나리와 햇빛’ 이라는 뜻으로, 드릴 것 없는 가난한 농부가 임금께 봄 미나리와 햇빛을 올리고자 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이라 한다.
영양) 미나리는 철, 구리, 아연의 함량이 높아 빈혈에 좋고 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 효능이 있다. 미나리의 향기는 혈압을 내리는 효과가 있어 고열로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이 심한 증세 에 사용되고, 이뇨 작용이 있어 부기를 빼주며, 강장과 해독효과가 있다고 한다.
4) 5월의 명절음식
수리취떡
유래) 우리 민족에게 쑥은 단군신화에 나오는 식물로 신성시되었으며, 재액을 물리치는 힘을 가진 것으로 여기었다. 또 ‘동국세시기’의 기록에 의하면 단오날의 수리취떡은 약떡이라고 생각하여 꼭 먹었다고 한다.
영양) -수리취: 풍열, 새독, 발진에 효능이 있고, 소염, 향균 작용, 이뇨 작용, 강심 효과 등이 있다. 그리고 뿌리는 강장약, 소화제로 쓰거나 당뇨병, 위염, 위십이지장궤양, 폐렴, 기침 폐결핵, 탈모 증상의 치료에 사용한다.
-쑥: 쑥은 해열, 진통, 구충, 혈압 강하, 소염, 토사, 지혈제로 쓰고 냉으로 인한 생리 불순이나 자궁 출혈 등에 사용한다.
5) 6월의 명절음식
1. 중편
유래) 중편은 음력 6월 15일 유두일에 만들어 먹었던 것으로, 멥쌀가루에 막걸리를 넣고 반죽하여 발효시켜 찐 떡이다. 중편은 중국에서 밀가루에 술을 넣고 발효시켜 만드는 상화병이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밀가루 대신 구하기 쉬운 쌀을 이용해 만들게 된 것이라 한다.
2, 유개장국
유래) 삼복 시식에 먹는 음식으로서 소고기로 끓인 보신탕을 말하며, 소고기를 푹 삶아 가늘게 찢어서 매운 양념을 한 후 다시 국물에 넣고 끓이는 국이다. 주대의 복고주의에 따른 조선 왕조의 숭유주의는 강력한 절대 왕조의 통치 수단으로 제사를 통한 의례를 강조함으로써 희생수가 어느 때보다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고, 이러한 희생수에 의한 제사 음복 문화는 육식 문화의 발전을 가져왔다.
3. 삼계탕
유래) 삼계탕은 복날에 먹는 음식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세시풍속을 적은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전통적인 복날음식은 삼계탕이 아니라 보신탕과 팥죽을 먹었다고 하는데, 보신탕을 싫어하는 사람은 대신 육개장이나 영계백숙을 먹었던 것으로 알 수 있다.
영양) 닭고기는 속을 따뜻하게 하여 차갑고 습한 기운으로 생긴 소화 기능 이상을 치료하고 정신을 맑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하였으며, 특히 임산부에게는 태아를 안정되게 하는 기능이 있다고 한다.
4. 보신탕
유래) 보신탕은 개장국이라고도 하는데 복중의 뜨거운 음식은 한여름 땀을 많이 흘려 허해진 몸을 보호한다는 의미를 더해서 ‘보신탕’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중국의 주 시대 및 춘추시대에는 개고기를 많이 먹었고, 공자도 개고기를 먹었으니 조선 시대의 유학자들은 개고기를 아무런 저항감 없이 먹어오면서 우리나라의 개고기 요리는 널리 발달하게 되었다.
영양) 개고기는 다른 육류에 비해 고단백질, 고지방 식품이며, 아미노산 성분과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하여 체력 보강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6) 8월의 명절 음식
송편
유래) 송편은 17세기부터 기록에 나타나는데, 1680년 송편은 “백미가루로 떡을 만들어 솔잎과 켜켜로 쪄서 물에 씻어낸다”고 하였으며, 들어가는 재료로는 ‘동국세시기’에는 콩, 검정콩, 팥, 꿀, 대추, 미나리를 들었다. 지금은 송편을 추석 때 먹는 걸로 알지만 옛날에는 추석 이외에도 정월부터 6월까지 명절 때마다 특별한 날에 송편을 빚었다고 하며, 추석에 송편을 만든다는 기록은 오히려 조선 후기, 근대에 이르러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7) 동짓날의 명절음식
팥죽
유래) 팥죽의 유래는 옛날 황하 중류를 다스렸던 공공씨라는 씨족장의 아들이 말썽만 피우다가 동짓날에 죽어 역귀가 되어 홍수가 난 뒤 수인성 전염병을 옮기는 귀신이 되었다고 한다. 그 아들이 팥을 싫어하고 무서워했기 때문에 팥죽을 끓인 것인데, 마침 그날이 동짓날이기 때문에 동짓날에 팥죽을 끓여먹게 되었다고 한다.
영양) 팥은 수분 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소변을 잘 나오게 하며 젖이 잘 나오게 하고, 종기나 농혈, 소갈을 치료하고, 나쁜 피를 흩어지게 하며 주독을 풀어준다.
Ⅱ. 우리문화가 담겨있는 음식
1. 비빔밥
유래) 비빔밥이 표기되어 있는 문헌은 비빔밥을 한글로 비
추천자료
전통음식으로 바라본 한국의 문화
[자연과학] 한국과 일본의 음식문화
한국 중국 일본의 음식문화 비교
[한국의 전통문화]사회적 음식과 음식적 사회
다른나라의 음식문화비교(한국,중국,일본)
한국의 전통문화(음식, 차, 술, 간식)
[한국전통][전통][전통음식][전통음악][판소리][전통무용][전통건축][전통신발]우리나라 전통...
한국형 식문화의 문제점과 불교 공양음식문화의 특징
[사회문화] 한국과 프랑스의 음식 문화 차이 비교
[사회문화] 한국과 프랑스의 음식 문화 차이 비교
한국의 전통 음식문화
서양음식 역사 & 한국의 서양요리역사
[음식문화사] 밀가루 음식의 이해 - 밀(형태, 재배사, 한국의 밀생산 역사), 밀 음식(국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