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례교회사 [논문] (세계 침례교회사, 침례교의 특징, 광복 이전의 한국 침례교사, 광복 이후의 한국 침례교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침례교회사 [논문] (세계 침례교회사, 침례교의 특징, 광복 이전의 한국 침례교사, 광복 이후의 한국 침례교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1

I. 세계 침례교회사……………………………………………2
 1. 침례교의 기원……………………………………………2
 2. 침례교의 역사……………………………………………2

II. 침례교의 특징……………………………………………4
 1. 의례적 측면……………………………………………4
 2. 교리적 측면……………………………………………6
 3. 조직적 측면……………………………………………8
 4. 대사회적 측면……………………………………………9
 
III. 광복 이전의 한국 침례교사…………………………10
 1. 펜윅 선교사의 한국선교………………………………10
 2. 대한기독교회의 조직…………………………………11
 3. 동아기독교회 시대……………………………………12
 4. 동아기독대 시대………………………………………13
 5. 동아기독교 시대………………………………………13
 6. 일제하의 한국 침례회 ………………………………14
 
IV. 광복 이후의 한국 침례교사…………………………17
 1. 대한기독교침례회 시대………………………………17
 2. 총회 분열의 시대……………………………………19
 3. 한국침례회연맹 시대…………………………………20
 4. 광복 후의 한국 침례교………………………………21

결론……………………………………………………………24
 
참고자료………………………………………………………25

본문내용

ial Mission)가 조직되었는데 이 선교회는 1895년에 수 명의 선교사를 공주와 강경 지역에 파송하였다. 이들의 침례교 선교 사업은 재정난으로 인해 1901년 원산 지역에서 활동하던 펜윅에게 이양되었다. 펜윅은 재정적으로 선교지원을 받지 못하는 독립선교사로 활동하였으나 반면 그 어떤 선교부의 선교정책에도 간섭을 받지 않고 독자적이며 독창적인 활동을 전개할 수 있었다.
개인전도와 순회선교라는 펜윅 나름의 방식이 결실을 맺어 비로소 1906년 충남의 강경에서 대회를 열고 대한기독교회를 조직, 46개조의 회칙을 만들 수 있었다. 펜윅은 개인전도와 순회선교, 그리고 자급 개척이라는 침례교 고유의 방식을 따랐다.
그는 교단의 행정체제를 회중주의식으로 하지 않고, 장로교와 감리교의 절충적 감독체제인 감목체제로 하였다. 게다가 그는 웃지 못 할 일화를 남길 정도로 매우 엄격했고 카리스마적인 존재로 처신을 하여 그의 조직 운영은 독재적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
그는 이미 당시에 만주와 간도까지 선교사업을 확장하였을 정도로 그의 선교에 대한 열정은 남다른 것이었다. 조선총독부는 1905년 각 종단으로 하여금 포교계를 제출하도록 하여 선교 활동을 통제하고자 하였다. 이 때 펜윅은 포교계 제출을 끝까지 거부하였다.
대한기독교라는 교명은 일제가 싫어했다. 펜윅의 선교활동은 일제로부터 보이지 않은 박해를 받았다. 결국 3·1운동 후 일제가 포교 허가제를 포교 신고제로 바꾸자 펜윅은 대한기독교라는 교명을 동아기독교로 바꾸어 등록하였다.
펜윅은 전천년설의 극단적인 종말론적 신앙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그는 1926년에는 동아기독교의 모든 신자에게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하도록 하였다. 심지어는 교단의 지도자들 가운데 자녀를 교육시키는 사람들은 심한 책벌과 함께 성직을 파면 당했다. 이 당시 펜윅은 ‘만민 좋은 기별’이라는 전도지와 ‘달편지’라는 교단 소식지을 발간하였다. 이 전도지와 교단 소식지는 선교활동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펜윅은 1933년 동아기독교라는 교명을 동아기독대로 변경하였다. 그는 장로교나 감리교와 같은 교파운동이나 세속화되어 가는 교회들과의 교제를 끊으라는 의미에서 교회라는 명칭 대신 성별된 양의 무리를 듯하는 대(隊)라는 명칭을 선택한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펜윅이 근본주의적인 섭리주의자로서 자신의 선교 사업을 타 교파들과 분리하였다.
1935년 일제가 황궁요배와 신사참배를 강요하여 동아기독대가 일제로부터 박해를 받을 즈음인 그해 12월 펜윅은 사망하였다. 펜윅이 사망하자 1940년 동아기독대는 다시 동아기독교로 교명을 바꾸었다. 대(隊)라는 명칭이 군대를 연상하여 일제로부터 박해를 받을 여지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명칭은 펜윅이 고집하였을 뿐 다른 사람들은 이 명칭을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성경 교육을 받는 외에 정규 신학교육을 받은 사람은 한 사람도 없었다. 따라서 체계성을 지닌 신학적인 기초가 없었다는 것이 동아기독교 지도자들의 가장 큰 약점이었다. 당시 대부분의 교회는 전담 목회자가 아닌 사람들이 예배와 성경 공부를 인도하는 상황이었다.
일제 말기에 성결교, 구세군, 안식교와 함께 동아기독교는 일제에 비협조적이라는 이유와 함께 재림설을 강조한다는 이유로 교단이 해체되는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1944년 함흥재판소는 동아기독교의 해체를 명령하는 판결을 내렸다. 이로 인해 동아기독교의 예배와 집회는 금지되고, 교회 건물과 대지, 심지어는 종각까지 국방헌금이라는 미명으로 강제 몰수당하고 말았다. 이를 침례교에서는 원산사건이라고 부른다.
이 시기 동아기독교의 교세 현황은 한국에 24개 구역에 100여 교회, 만주 6개 구역에 100여 교회, 시베리아 2개 구역에 47개 교회, 그리고 몽고에 수 개처의 개척교회가 있었다는 사실에서 짐작해 볼 수 있다. 1941년에 만주에 기독교연합교단이 설립되면서 동아기독교의 재만교회는 만주 기독교연합교단에 흡수되었다.
IV. 광복 이후의 한국에서의 침례교
1. 대한기독교침례회 시대 (1949-1958)
1949년 39차 총회를 충남 강경에서 소집하고 교단의 명칭을 대한기독교침례회로 변경했다. 이것은 이미 타교단도 우리 교단이 침례교파임을 알고 있으며 38회 점촌 총회에서 교단의 지도력 강화와 재정적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하여 미국의 침례교단과의 제휴를 모색하기로 결의한 사후책의 일환이었다.
제39차 총회에는 미국 남침례회 외국선교부의 동양 총무인 코오든(B. S. couthen)박사가 참석했다. 그는 동아기독교의 중요한 교리적 주장과 신앙행습이 남침례교와 같음을 확인했다. 이 총회에서 대한기독교침례회 총회는 미국 남침례회 총회와 제휴하기로 결의했다. 그래서 1950년에 최초의 남침례회 선교사로 나요한 선교사(J. Abernathy) 부처 가 한국에 파송되어 본격적인 침례교의 선교사업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1950년 6월 6.25사변이 일어나자 한국교계는 다시 혼돈에 빠져들었다. 정부가 부산으로 옮겨가고 피난민이 부산으로 몰려오자 교단본부도 부산으로 옮겨 총무로교회에서 사무를 보았으며, 선교회는 동란을 맞은 한국백성을 위한 구호사업에 착수함으로써 선교사업의 서막을 열었다.
의료선교사는 부산에서 구호병원을 개설하여 의료사업을 시작했다. 또한 개교회에도 구호금, 교역자 생활보조 및 교회당 신축을 위한 보조 사업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이러한 시책은 새로 교단을 재정비하려는 대한기독교침례회에는 재건을 위한 활력과 의욕을 일시적으로 불어넣어준 것을 사실이나, 교단 안에 선교부에 대한 의존성과 보조금을 둘러 싼 교역자 간의 교권투쟁, 그리고 타 교단 교역자의 대거 유입사태를 가져옴으로써 교단의 장래를 어둡게 만들고 말았다.
1952년에 42회 총회가 충남 칠산에서 개최되었을 대 총회를 연맹총회로 규약을 개정하고 여전도회(W.M.U.)를 조직했다. 1953년에는 대전에 성경학원을 개설하고 1954년에는 문교부로부터 신학교의 인가를 받아 나요한 선교사가 초대 학장으로 취임했다. 또한 소년회(R.A.), 소녀회(G.A.)및 신훈회(B.T.U.)를 조직함으로써 미국 남침례회의 제반 기관들을 교단안에 도입하였다. 총회의 기관지인 [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5.06.06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26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