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15점 만점)
2. 에릭슨(Erikson)의 성격발달 8단계설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15점 만점)
2. 에릭슨(Erikson)의 성격발달 8단계설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15점 만점)
본문내용
무 많은 것을 하려고 하고, 그래서 그들에게 환경에 대처하는 능력이 있다는 자신감이 결핍될 때 의혹심이 나타나게 된다. 3세 아동들에게는 자율성을 발달시켜 줄 수 있는 많은 자유로운 활동을 하도록 권장하되 그들의 약점이 노출되거나, 그들의 능력을 의심하게 될 가능성을 줄여줄 수 있는 지도를 해야 할 것이다. 예컨대, 아동이 자기 능력으로는 할 수 없는 것을 할려고 함으로써 좌절을 느끼게 될 징조가 보이면, 그가 해낼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것을 하도록 유도해 주어야만 한다.
③ 주도성 대죄책감(4~5세)
많은 신체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능력과 언어구사능력이 생기는 4~5세때 아동은 주도성의 단계로 들어간다. 이 단계는 “자율성 위에, 활동
공통
하고 움직이기 위해 어떤 과제를 수행하고 계획하고 처리하는 능력을 덧붙인 것이다.” 만일 아동에게 탐구하고 실헙할 수 있는 자유를 부여해 준다면, 주도성이 북돋아질 것이다. 그러나, 만일 아동의 활동을 제한하고, 아동의 반응에 일관성이 없고 귀찮아 한다든가 하면, 아동들은 그들 자신의 행동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게 된다.
유치원 아동들은 자율성보다는 주도성에 보다 많은 관심을 보인다. 주도성은 자율성 위에다가, 활동하고 움직이기 위해 어떤 과제를 수행하고 계획하고 처리하는 것을 덧붙인 것이기 때문에, 이 단계의 아동들에게는, 자기 주도적인 활동을 최대한으로 허용해야 하고, 아동이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에만 개입이 필요하다. 또한 성취감을 경험하도록 하기 위해서 주어진 과제를 계획하고 수행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유익하다. 에릭슨은 죄책감을 극소화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와 교사는 지금 아이가 하고 있는 과제를 이미 끝낸 친구들 때문에 질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 한 가지 방법은 서로의 능력을 공개적으로 비교하는 것을 피하는 일이다. 아동에게 다른 사람이 하는 일에 관계하지 말고 자신의 일만 계속해 나가도록 격려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④ 근면성 대 열등감(6~11세)
아동이 6~11세의 기간 동안 초등학교에 입학하게 되면, 지적인 호기심과 그 지적 성취가 그의 행동의 핵심이 되며 대원리가 된다. “물건을 만듦으로써 인정받는다는 것을 알게 되고, 근면성을 발달시키게 된다.” 이 단계에서 아동이 가지는 위험은 부적절감과 열등감이다. 따라서, 만일 아동에게 무엇을 만들고 일을 하도록 격려하고, 어떤 일을 끝낼 수 있도록 허락하고, 그러한 노력을 칭찬한다면 근면성을 갖게 될 것이며, 만일 아동이 한 노력이 성공의 평가를 받지 못하거나 귀찮은 것으로 취급되거나 또는 비웃음을 당한다면 열등감을 갖게 될 것이다.
초등학교 기간은 근면성의 단계에 해당된다. 이 단계에서는 아동 상호간의 비교를 하지 않는 것이 이 전단계에서 보다 더 중요하다. 만일 초등학교 아동이 급우들과의 비교를 강요당하거나, 타인과 공공연하게 비교된다면, 성공감을 맛보는 사람은 극소수라는 것을 알게 된다. 이러한 경쟁적인 상황하에서는 대부분의 아동들이 그들의 학교생활 벽두부터 부적절감과 열등감을 경험하게 된다. 이 단계
③ 주도성 대죄책감(4~5세)
많은 신체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능력과 언어구사능력이 생기는 4~5세때 아동은 주도성의 단계로 들어간다. 이 단계는 “자율성 위에, 활동
공통
하고 움직이기 위해 어떤 과제를 수행하고 계획하고 처리하는 능력을 덧붙인 것이다.” 만일 아동에게 탐구하고 실헙할 수 있는 자유를 부여해 준다면, 주도성이 북돋아질 것이다. 그러나, 만일 아동의 활동을 제한하고, 아동의 반응에 일관성이 없고 귀찮아 한다든가 하면, 아동들은 그들 자신의 행동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게 된다.
유치원 아동들은 자율성보다는 주도성에 보다 많은 관심을 보인다. 주도성은 자율성 위에다가, 활동하고 움직이기 위해 어떤 과제를 수행하고 계획하고 처리하는 것을 덧붙인 것이기 때문에, 이 단계의 아동들에게는, 자기 주도적인 활동을 최대한으로 허용해야 하고, 아동이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에만 개입이 필요하다. 또한 성취감을 경험하도록 하기 위해서 주어진 과제를 계획하고 수행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유익하다. 에릭슨은 죄책감을 극소화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와 교사는 지금 아이가 하고 있는 과제를 이미 끝낸 친구들 때문에 질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 한 가지 방법은 서로의 능력을 공개적으로 비교하는 것을 피하는 일이다. 아동에게 다른 사람이 하는 일에 관계하지 말고 자신의 일만 계속해 나가도록 격려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④ 근면성 대 열등감(6~11세)
아동이 6~11세의 기간 동안 초등학교에 입학하게 되면, 지적인 호기심과 그 지적 성취가 그의 행동의 핵심이 되며 대원리가 된다. “물건을 만듦으로써 인정받는다는 것을 알게 되고, 근면성을 발달시키게 된다.” 이 단계에서 아동이 가지는 위험은 부적절감과 열등감이다. 따라서, 만일 아동에게 무엇을 만들고 일을 하도록 격려하고, 어떤 일을 끝낼 수 있도록 허락하고, 그러한 노력을 칭찬한다면 근면성을 갖게 될 것이며, 만일 아동이 한 노력이 성공의 평가를 받지 못하거나 귀찮은 것으로 취급되거나 또는 비웃음을 당한다면 열등감을 갖게 될 것이다.
초등학교 기간은 근면성의 단계에 해당된다. 이 단계에서는 아동 상호간의 비교를 하지 않는 것이 이 전단계에서 보다 더 중요하다. 만일 초등학교 아동이 급우들과의 비교를 강요당하거나, 타인과 공공연하게 비교된다면, 성공감을 맛보는 사람은 극소수라는 것을 알게 된다. 이러한 경쟁적인 상황하에서는 대부분의 아동들이 그들의 학교생활 벽두부터 부적절감과 열등감을 경험하게 된다. 이 단계
추천자료
교육심리학의 개념 성격 관련자료
교육심리학의 성격에 대하여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성격 교육심리 교육심리학 교육심리학이란 인간발달과 교육 교육심리학...
교육심리학의 학문적성격
[인문과학] 교육심리학의 기초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성격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성격 교육심리학의 정의 교육심리학의 목적...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성격 교육심리학 역사 연구영역 연구방법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성격 교육심리학의 성격 교육심리학의 목적 교육심리학의 기능 교육심리...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성격 교육심리 심리 학문적 학문적 성격
교육심리학 가드너의 중다지능이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교육심리학의 영역 및 범위
1장교육심리학의_성격및_역할
교육심리학의 연구영역을 제시하고 영역별 연구주제 및 연구동향에 관해 조사하여 기술하시오.
교육심리학의 연구영역을 제시하고, 각 영역별 연구주제 및 연구동향에 관해 조사하여 기술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