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분석심리학 이론
1) 분석심리학 이론의 독특성
2) 분석심리학의 인간관과 이론
(1) 의식(conscious)
(2) 개인 무의식(personal unconscious)
(3) 집단 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
(4) 원형(archetypes)
2. 아들러(Alfred Adler)의 개인심리이론
1) 개인심리학의 인간관
2) 아들러(Alfred Adler)의 개인심리이론의 특징
3) 아들러(Alfred Adler)의 개인심리이론 주요개념
4) 성격의 발달
5) 성격의 유형
6) 성격발달에 대한 관점
7) 개인심리학적 상담의 치료과정
1) 분석심리학 이론의 독특성
2) 분석심리학의 인간관과 이론
(1) 의식(conscious)
(2) 개인 무의식(personal unconscious)
(3) 집단 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
(4) 원형(archetypes)
2. 아들러(Alfred Adler)의 개인심리이론
1) 개인심리학의 인간관
2) 아들러(Alfred Adler)의 개인심리이론의 특징
3) 아들러(Alfred Adler)의 개인심리이론 주요개념
4) 성격의 발달
5) 성격의 유형
6) 성격발달에 대한 관점
7) 개인심리학적 상담의 치료과정
본문내용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활성화되면 꿈, 환상, 망상으로 나타난다. 원형은 페르조나, 그림자, 아니마, 아니무스, 대모, 현자, 영웅, 자기이다.
① 페르조나(persona)
페르조나는 의식영역에 나타나는 사회적 인물이 갖는 외적인격을 뜻한다. 페르조나는 주변 환경의 기대에 맞추기 때문에 자신의 진실된 정서나 사고를 보여주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지나치게 얽매여 동일시가 되면 진정한 자아를 의식화하지도 못하고 자기실현을 향해 나아갈 수도 없다. 하지만 페르조나는 사회생활을 유지하게 하는 기능도 하기 때문에 부정적인 것도 아니다. 단지 조율이 필요할 뿐이다.
② 그림자(shadow)
그림자란 자아의 무의식적인 부분을 말한다.
의식화된 자아가 강할수록 그림자도 어두워진다. 독립적이고 자율적이고 싶어하는 의식적 자아의 그림자는 의존적이고 타율적인 모습을 갖고 있다, 의식적 자아가 현실에서 부적응적일 때 그림자는 의식으로 뛰어나가 문제를 불러일으킨다. 하지만 그림자가 무조건 부정적인 부분이라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의식적 자아가 부정적으로 표현되며, 긍정적인 자아가 그림자로 숨기도 한다.
- 그림자는 타인에게 투사되기도 쉽다.
투사란 물론 자아가 하는 것이 아니고 무의식적으로 되는 것이어서 자아는 단지 투사된 대상에 감정적으로 집착하게 됨으로써 무의식적인 내용이 투사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전혀 모르는 것이 보통이다. 그림자가 투사될 때 사람들은 왜 그런지 모르게, 공연히, 어떤 대상애 대하여 혐오감이거나 그 밖의 부정적인 감정반응을 일으킨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을 보았을 때 별다른 이유 없이 왠지 모르게 싫거나 미워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그 사람에게서 자신의 그림자를 보기 때문이다.
③ 아니마(anima)
아니마는 남성의 무의식속에 있는 여성적 요소를 말한다. 권위적이고 강해보이는 남자가 섬세하고 여린 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그 내면에 있는 아니마가 표출되기 때문이다.
자신의 아니마를 잘 아는 남성은 거의 없는데 이는 대단한 용기가 필요하기 때문으로 자신의 그림자를 아는 것보다 훨씬 더 어렵다. 남성에서의 아니마는 기분(mood)과 정동(emotion)으로 나타난다. 그래서 남성안의 정서적인 측면에 영향을 주고 분별력이 없는 기분이나 정서로 남아있다.
④ 아니무스(animus)
아니무스는 여성안의 남성적인 원형을 말한다. 한없이 연약해보이고 유순해 보이는 여자가 위시상황에서 극도의 결단력과 용기를 보이는 것을 쉽게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그 내면에 있는 아니무스가 표출되기 때문이다.
아니마가 불합리한 기분이나 정서라면 아니무스는 사고와 판단을 하는 것이다.
⑤ 대모(great mother)
대모는 아니마와 아니무스의 파생물이다. 대모는 애정이 있으면서도 혹독한 두 가지의 모습을 지닌 존재로 다산과 양육의 모습과 권력과 파괴의 모습을 지니고 있다. 대모의 다산과 양육의 차원은 나무, 정원, 경작지, 바다, 하늘, 집, 나라, 교회, 오븐이나 요리 그릇 같은 오목한 물건으로 상징된다. 대모는 권력과 파괴력이 있어 신의 어머니, 어머니인 자연, 어머니인 지구, 계모나 마녀로 상징된다.
⑥ 현자(wise old man)
현자는 지혜와 의미의 원형으로, 인간의 생의 신비에 대한 선재한 지식을 상징한다. 현자 원형은 꿈에서 아버지, 조부, 교사, 철학자, 전문가, 의사나 목사로 형상화된다. 동화에서 현자는 왕, 철인. 어려움에 처한 영웅을 돕는 마술사 등이다. 현자는 때로 삶 자체에 나타나기도 한다.
⑦ 영웅(hero)
영웅은 신화와 전설에서 힘있는 사람으로 나타나고 용, 괴물, 뱀이나 악마를 무찌르고 악을 내
① 페르조나(persona)
페르조나는 의식영역에 나타나는 사회적 인물이 갖는 외적인격을 뜻한다. 페르조나는 주변 환경의 기대에 맞추기 때문에 자신의 진실된 정서나 사고를 보여주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지나치게 얽매여 동일시가 되면 진정한 자아를 의식화하지도 못하고 자기실현을 향해 나아갈 수도 없다. 하지만 페르조나는 사회생활을 유지하게 하는 기능도 하기 때문에 부정적인 것도 아니다. 단지 조율이 필요할 뿐이다.
② 그림자(shadow)
그림자란 자아의 무의식적인 부분을 말한다.
의식화된 자아가 강할수록 그림자도 어두워진다. 독립적이고 자율적이고 싶어하는 의식적 자아의 그림자는 의존적이고 타율적인 모습을 갖고 있다, 의식적 자아가 현실에서 부적응적일 때 그림자는 의식으로 뛰어나가 문제를 불러일으킨다. 하지만 그림자가 무조건 부정적인 부분이라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의식적 자아가 부정적으로 표현되며, 긍정적인 자아가 그림자로 숨기도 한다.
- 그림자는 타인에게 투사되기도 쉽다.
투사란 물론 자아가 하는 것이 아니고 무의식적으로 되는 것이어서 자아는 단지 투사된 대상에 감정적으로 집착하게 됨으로써 무의식적인 내용이 투사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전혀 모르는 것이 보통이다. 그림자가 투사될 때 사람들은 왜 그런지 모르게, 공연히, 어떤 대상애 대하여 혐오감이거나 그 밖의 부정적인 감정반응을 일으킨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을 보았을 때 별다른 이유 없이 왠지 모르게 싫거나 미워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그 사람에게서 자신의 그림자를 보기 때문이다.
③ 아니마(anima)
아니마는 남성의 무의식속에 있는 여성적 요소를 말한다. 권위적이고 강해보이는 남자가 섬세하고 여린 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그 내면에 있는 아니마가 표출되기 때문이다.
자신의 아니마를 잘 아는 남성은 거의 없는데 이는 대단한 용기가 필요하기 때문으로 자신의 그림자를 아는 것보다 훨씬 더 어렵다. 남성에서의 아니마는 기분(mood)과 정동(emotion)으로 나타난다. 그래서 남성안의 정서적인 측면에 영향을 주고 분별력이 없는 기분이나 정서로 남아있다.
④ 아니무스(animus)
아니무스는 여성안의 남성적인 원형을 말한다. 한없이 연약해보이고 유순해 보이는 여자가 위시상황에서 극도의 결단력과 용기를 보이는 것을 쉽게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그 내면에 있는 아니무스가 표출되기 때문이다.
아니마가 불합리한 기분이나 정서라면 아니무스는 사고와 판단을 하는 것이다.
⑤ 대모(great mother)
대모는 아니마와 아니무스의 파생물이다. 대모는 애정이 있으면서도 혹독한 두 가지의 모습을 지닌 존재로 다산과 양육의 모습과 권력과 파괴의 모습을 지니고 있다. 대모의 다산과 양육의 차원은 나무, 정원, 경작지, 바다, 하늘, 집, 나라, 교회, 오븐이나 요리 그릇 같은 오목한 물건으로 상징된다. 대모는 권력과 파괴력이 있어 신의 어머니, 어머니인 자연, 어머니인 지구, 계모나 마녀로 상징된다.
⑥ 현자(wise old man)
현자는 지혜와 의미의 원형으로, 인간의 생의 신비에 대한 선재한 지식을 상징한다. 현자 원형은 꿈에서 아버지, 조부, 교사, 철학자, 전문가, 의사나 목사로 형상화된다. 동화에서 현자는 왕, 철인. 어려움에 처한 영웅을 돕는 마술사 등이다. 현자는 때로 삶 자체에 나타나기도 한다.
⑦ 영웅(hero)
영웅은 신화와 전설에서 힘있는 사람으로 나타나고 용, 괴물, 뱀이나 악마를 무찌르고 악을 내
키워드
추천자료
[심리학]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실존주의 상담, 형태주의 상담, 개인심리학적 상담
애들러와 개인심리학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의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적 성격이론 생활양식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아들러 성격 평가 기법, 아들러 초기회상, 아들러 꿈분석, 아들러 성격...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의 주요개념인 생활양식, 인생과제, 허구적 최종목적록, 열등감, 우월성 ...
개인심리학적 상담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애들러의 개인심리학.ppt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분석심리학의 창시자 칼 구스타브 융(Carl Gustav Jung)의 생애
[개인심리학적 집단상담] 개인심리학적 상담기법, 상담자의 역할, 집단상담과정, 개인심리학...
아들러의 개인심리학(대학원 발표자료)
아들러(Adler)의 개인심리학의 인간관을 설명하고 열등감과 보상 등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