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용어정리 ................................................. 3p
2. 정의 .......................................................... 3p
3. 구조와 기능 .......................................... 4p
4. 종류 .......................................................... 7p
5. 적응증 ..................................................... 7p
6. 수술 방법 .............................................. 9p
7-1. THA 수술 절차 ............................... 10p
7-2. TVH 수술 절차 ............................... 11p
7-3. LAVH 수술 절차 ............................ 12p
8. 수술 전 간호 ........................................ 14p
9. 수술 후 간호 ........................................ 15p
10. 참고문헌 .............................................. 17p
2. 정의 .......................................................... 3p
3. 구조와 기능 .......................................... 4p
4. 종류 .......................................................... 7p
5. 적응증 ..................................................... 7p
6. 수술 방법 .............................................. 9p
7-1. THA 수술 절차 ............................... 10p
7-2. TVH 수술 절차 ............................... 11p
7-3. LAVH 수술 절차 ............................ 12p
8. 수술 전 간호 ........................................ 14p
9. 수술 후 간호 ........................................ 15p
10. 참고문헌 .............................................. 17p
본문내용
nal fascia까지 boive으로 incision (동그랗게, 구멍이 뚫림) (or m-z)
8. supra vaginal septum dissection (kelly-kelly-m-z으로 상하 조직들 처리)
9. amputation of cevix
(deaver로 vaginal을 견인시켜 놓고 본격적인 dissection)
15. side쪽에 있는 ligament 들은 henly clamp 1ea로 잡고 mayo sci로 incision 후 #8silk로 suture tie (deaver- bladder 보호!)
(vesicouterine L- rectum과 경계부- uterosacral L - cardinal L - round L - ovarian L)
16. 남겨진 uterus부분은 mess10으로 excision -> 중 bowl로 받기
18. peritoneum + round L, uterosacral L suture
kelly 3~7ea 이용해 peritoneum 잡아 주고 vicryl 3-0(+long F)로 peritoneum과
ligament들을 continuous suture
19. kocker 2ea를 이용해 stump edge 좌, 우면을 clamping 해 놓은 후
20. stump suture
medium teeth F + vicryl 1으로 continuous suture
21. A-P repair
a. 늘어진 vaginal 조직을 allis2ea로 상,하 clamping하고
b. mess10으로 excision할 조직을 incision한다
c. hemostate 1ea로 edge를 clamping해 놓고 m-z을 속으로 넣어 1차적 dissection한다
d. m-z excision
e. suture- anterior : vicryl 2-0 interrupt suture
posterior : vicryl 1 \"
22. potadine roll G를 이용해 vaginal 내에 packing해둔다. (+thumb F)
23. foley insert 후 bladder에 bleeding이 있나 확인 한다. (Dr. 배)
24. 다시 복부 쪽으로 올라가 laparoscope를 이용해 bleeding이 있나 확인 후 모든 것을 removal 한다
25. suture (nylon3-0)
8. 수술 전 간호
A. 수술 전 후 과정에 대한 환자의 지식정도를 파악한다.
B. 수술대상자, 배우자에 수술의 필요성, 수술과정, 수술 후 신체변화, 회복과정 등을 설명한다.
C. 입원기간 중 절차, 병원규칙등에 대한 입원안내를 실시한다.
D. 수술대상자, 배우자에게 수술 서약서를 받는다
E. 수술 전 검사 (혈액, 소변, X-선검사, 심전도 촬영)
F. 마취의가 마취 동의서를 받는다.
G. 무통 주사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은 후 동의서를 받는다.
H. 수술 전 신체 준비를 한다.
a. 수술 전 며칠동안 저 섬유식이 권장
b. 수술 전날 가벼운 저녁식사 후 금식 (최소 : general 8시간, spinal 3시간)
c. 관장
d. 질 내부 세척 및 소독
e. 수술부위 shaving
f. 수술복 착용
g. iv (수분, 약물, 영양물질)
h. 장신구 및 부착물 제거 (매니큐어, 화장, 금속품 등)
I. 항생제 투여
k. 합병증 예방을 위한 심호흡, 객담배출, 체위변경 및 구강으로 estrogen을 투여하거나 estrogen cream 등을 질 부위에 발라준다.
9. 수술 후 간호
< 일반적인 간호 >
A. vital check
15분 간격으로 4회 측정 후 안정 될 때 까지 4시간 간격으로 측정한다.
B. 호흡기합병증 예방
심호흡, 기침, 객담배출, 체위변경등을 시행하도록 격려하며 24시간 동안은 2시간 간격으로 실시한다.
C. 순환기합병증 예방
혈합하강, shock증상, hemoglobin, hematocrit 감소등의 검사 소견을 감시하며 질출혈 여부를 관찰한다.
D. 통증완화를 위한 간호
a. 정기적으로 환자의 통증을 사정한다
b. 의사와 상의하여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c. PCA를 가지고 있다면 patency가 유지되고 있는지 수시로 확인하고 환자에게 사용법에 대해 교육한다.
d. 비 약물적 요법인 호흡과 이완요법, 체위변경, 상상요법, 복부열요법등을 교육한다.
E. 수분균형 유지를 위한 간호
정맥주사, 구강섭취등을 통한 수분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F. 비뇨기계 감염예방을 위한 간호
Foley는 보통 24시간 이후에 제거하며 요정체 문제로 계속 유지시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한다.
G. 식이
맑은 유동식에서 소화정도에 따라 고형식이로 변경, 가스생성 음식 섭취를 제한하도록 격려한다.
H. 수술부위 상처관리
계획적으로 드레싱이 교환되는지 모니터링하며 상처부위의 출혈, 염증증상, 통증정도를 수시로 확인한다.
I. 수술 후 발생 가능한 합병증 예방
출혈, 비뇨기계합병증, 감염, 장폐색이나 마비성 장폐쇄증, 혈전색전증, 폐합병증의 증상에 따라 모니터링하고 기록한다.
J. 심리적 안위간호
a. 수술 후 있을 수 있는 심리적 반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b. 수술에 대한 느낌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c. 지지모임에 참여 기회를 제공하여 경험을 함께 나누도록 격려한다.
d. 성적 적응을 돕기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 퇴원교육과 추후 간호>
A. 수술 후 회복과 관련된 신체적, 정서적 정보를 제공한다.
a. 수술 후 정상적으로 허약감, 피로감이 올 수 있다.
b.월경이 없어지고 임신이 불가능하다.
c. 상처부위의 무감각증이 얼마동안 동반된다.
B. 회복기의 휴식과 활동 조절방법을 알려준다.
a. 신체적 활동과 운동을 서서히 증가시킨다.
b. 처음 1개월간은 격력한 운동, 힘든 일을 금한다.
C. 회복 촉진을 위한 영양관리법 교육을 한다.
칼슘, 단백질, 비타민 C,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섭취를 권장한다.
D. 개인위생관리에 대해 교육한다.
통목욕은 어지러움증, 수술부위의 긴장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4주간은 금한다.
E. 부부관계시 유의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a. 수술 4-6주 후부터 가능
b. 성반응 감소가 있을 수 있다. (호르몬과 해부학
8. supra vaginal septum dissection (kelly-kelly-m-z으로 상하 조직들 처리)
9. amputation of cevix
(deaver로 vaginal을 견인시켜 놓고 본격적인 dissection)
15. side쪽에 있는 ligament 들은 henly clamp 1ea로 잡고 mayo sci로 incision 후 #8silk로 suture tie (deaver- bladder 보호!)
(vesicouterine L- rectum과 경계부- uterosacral L - cardinal L - round L - ovarian L)
16. 남겨진 uterus부분은 mess10으로 excision -> 중 bowl로 받기
18. peritoneum + round L, uterosacral L suture
kelly 3~7ea 이용해 peritoneum 잡아 주고 vicryl 3-0(+long F)로 peritoneum과
ligament들을 continuous suture
19. kocker 2ea를 이용해 stump edge 좌, 우면을 clamping 해 놓은 후
20. stump suture
medium teeth F + vicryl 1으로 continuous suture
21. A-P repair
a. 늘어진 vaginal 조직을 allis2ea로 상,하 clamping하고
b. mess10으로 excision할 조직을 incision한다
c. hemostate 1ea로 edge를 clamping해 놓고 m-z을 속으로 넣어 1차적 dissection한다
d. m-z excision
e. suture- anterior : vicryl 2-0 interrupt suture
posterior : vicryl 1 \"
22. potadine roll G를 이용해 vaginal 내에 packing해둔다. (+thumb F)
23. foley insert 후 bladder에 bleeding이 있나 확인 한다. (Dr. 배)
24. 다시 복부 쪽으로 올라가 laparoscope를 이용해 bleeding이 있나 확인 후 모든 것을 removal 한다
25. suture (nylon3-0)
8. 수술 전 간호
A. 수술 전 후 과정에 대한 환자의 지식정도를 파악한다.
B. 수술대상자, 배우자에 수술의 필요성, 수술과정, 수술 후 신체변화, 회복과정 등을 설명한다.
C. 입원기간 중 절차, 병원규칙등에 대한 입원안내를 실시한다.
D. 수술대상자, 배우자에게 수술 서약서를 받는다
E. 수술 전 검사 (혈액, 소변, X-선검사, 심전도 촬영)
F. 마취의가 마취 동의서를 받는다.
G. 무통 주사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은 후 동의서를 받는다.
H. 수술 전 신체 준비를 한다.
a. 수술 전 며칠동안 저 섬유식이 권장
b. 수술 전날 가벼운 저녁식사 후 금식 (최소 : general 8시간, spinal 3시간)
c. 관장
d. 질 내부 세척 및 소독
e. 수술부위 shaving
f. 수술복 착용
g. iv (수분, 약물, 영양물질)
h. 장신구 및 부착물 제거 (매니큐어, 화장, 금속품 등)
I. 항생제 투여
k. 합병증 예방을 위한 심호흡, 객담배출, 체위변경 및 구강으로 estrogen을 투여하거나 estrogen cream 등을 질 부위에 발라준다.
9. 수술 후 간호
< 일반적인 간호 >
A. vital check
15분 간격으로 4회 측정 후 안정 될 때 까지 4시간 간격으로 측정한다.
B. 호흡기합병증 예방
심호흡, 기침, 객담배출, 체위변경등을 시행하도록 격려하며 24시간 동안은 2시간 간격으로 실시한다.
C. 순환기합병증 예방
혈합하강, shock증상, hemoglobin, hematocrit 감소등의 검사 소견을 감시하며 질출혈 여부를 관찰한다.
D. 통증완화를 위한 간호
a. 정기적으로 환자의 통증을 사정한다
b. 의사와 상의하여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c. PCA를 가지고 있다면 patency가 유지되고 있는지 수시로 확인하고 환자에게 사용법에 대해 교육한다.
d. 비 약물적 요법인 호흡과 이완요법, 체위변경, 상상요법, 복부열요법등을 교육한다.
E. 수분균형 유지를 위한 간호
정맥주사, 구강섭취등을 통한 수분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F. 비뇨기계 감염예방을 위한 간호
Foley는 보통 24시간 이후에 제거하며 요정체 문제로 계속 유지시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한다.
G. 식이
맑은 유동식에서 소화정도에 따라 고형식이로 변경, 가스생성 음식 섭취를 제한하도록 격려한다.
H. 수술부위 상처관리
계획적으로 드레싱이 교환되는지 모니터링하며 상처부위의 출혈, 염증증상, 통증정도를 수시로 확인한다.
I. 수술 후 발생 가능한 합병증 예방
출혈, 비뇨기계합병증, 감염, 장폐색이나 마비성 장폐쇄증, 혈전색전증, 폐합병증의 증상에 따라 모니터링하고 기록한다.
J. 심리적 안위간호
a. 수술 후 있을 수 있는 심리적 반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b. 수술에 대한 느낌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c. 지지모임에 참여 기회를 제공하여 경험을 함께 나누도록 격려한다.
d. 성적 적응을 돕기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 퇴원교육과 추후 간호>
A. 수술 후 회복과 관련된 신체적, 정서적 정보를 제공한다.
a. 수술 후 정상적으로 허약감, 피로감이 올 수 있다.
b.월경이 없어지고 임신이 불가능하다.
c. 상처부위의 무감각증이 얼마동안 동반된다.
B. 회복기의 휴식과 활동 조절방법을 알려준다.
a. 신체적 활동과 운동을 서서히 증가시킨다.
b. 처음 1개월간은 격력한 운동, 힘든 일을 금한다.
C. 회복 촉진을 위한 영양관리법 교육을 한다.
칼슘, 단백질, 비타민 C,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섭취를 권장한다.
D. 개인위생관리에 대해 교육한다.
통목욕은 어지러움증, 수술부위의 긴장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4주간은 금한다.
E. 부부관계시 유의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a. 수술 4-6주 후부터 가능
b. 성반응 감소가 있을 수 있다. (호르몬과 해부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