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문헌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와 원인
3. 임상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6. 경과와 합병증
7. 예방
Ⅲ. 간호과정
1. 제 1단계: 간호사정
2. 간호진단, 목표, 계획 및 중재, 평가
Ⅳ. 결론
1. 사례요약
2. 실습후기
Ⅴ. 참고문헌
Ⅱ. 본론- 문헌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와 원인
3. 임상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6. 경과와 합병증
7. 예방
Ⅲ. 간호과정
1. 제 1단계: 간호사정
2. 간호진단, 목표, 계획 및 중재, 평가
Ⅳ. 결론
1. 사례요약
2. 실습후기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지속적인 저지방식이가 필요하다.
5. 마취가스를 배출하고, 긴장감을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간호
수행
1. 수술 후, 보호자 및 대상자에게 JP BAG에 대해 설명하고, 음압을 주어야 함에 대해 설명하였다. 양이 많이 차면 간호사에게 알릴 것을 교육하였다. -RN
2. 매번 주사 투여 시, 대상자 및 보호자에게 약물을 설명하였다. -RN
3. IV injection 부위에 부종이나 발적 등의 문제가 없는지 살펴본다. -SN
4. 대상자 및 보호자에게 담낭의 기능과 담낭절제술 후의 기능변화, 퇴원후의 이상적인 식이에 대해 설명하였다. -RN
5.심호흡의 필요성과 효과를 설명하고 격려하였더니 간간히 심호흡을 하는 노력을 보였다. -RN,SN
평가
대상자 및 보호자가 JP BAG을 항상 아래에 두어야 함을 알고 병동 내 움직임 시 이를 시행하며 양이 찬 경우 간호사에게 말하였다.
대상자는 담낭절제 후 조심해야 할 식이를 말하고 이에 대해 이해하였다.
대상자가 약물투여의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며 심호흡, 기침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간호진단
#3 수술과 관련된 잠재된 감염위험성 (2012.05.31.)
사정
S: “수술한 데는 괜찮은거에요? 좀 봐주세요”
O: 대상자는 수술 부위에 대한 약간의 통증을 호소하며 감염에 대한 위험을 염려하고 있다.
수술 부위를 계속하여 간호를 해주기를 원하고 있다.
수술 후(5/31) 백혈구 수치가 13.1로 정상치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간호목표
단기목표: 수술 부위에 대한 적절한 간호를 한다.
장기목표: 대상자에게 감염의 증상과 징후가 없다.
간호
계획
1. 활력 징후를 측정한다.
2.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사정하고 기록한다.
3. 드레싱 교환 시 철저한 무균법을 지킨다.
4. 대상자에게 간호를 제공하기 전후에 반드시 손을 씻는다.
5. 대상자에게 개인위생과 관련하여 교육하고 감염의 위험성에 대해 교육한다.
이론
적
근거
1. 감염 시에는 체온, 맥박, 호흡 수, 혈압이 상승된다.
2. 대상자는 담낭절제술을 받은 환자로 수술 부위에 잠재된 감염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감염의 증상과 징후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철저한 무균법을 시행함으로써 드레싱 교환 시에 수술 부위가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대상자 스스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간호
수행
1. 4시간 마다 대상자의 활력 징후를 측정하였다. -RN, SN
5/31 pm 2:00 110/70mmHg-78-20-36.7
pm 6:00 120/70mmHg-82-20-36.5
pm 10:00 110/80mmHg-80-20-36.9
6/1 am 2:00 120/80mmHg-84-20-36.7
am 10:00 120/80mmHg-84-20-36.8
pm 2:00 120/70mmHg-78-20-36.5
이 후 6/2~4 동안에도 v/s normal.
2. op site 에 부종, 발적, 발열 등 감염의 징후가 있는지 사정한 뒤 기록하였다. -RN
3. 매 번 드레싱 교환 시마다 철저한 무균법을 시행하였다. -RN
4. 대상자에게 간호를 제공하기 전 후에 손을 깨끗이 하였다. -RN, SN
5. 대상자에게 손 씻기, 드레싱 부위에 대한 주의사항 등 개인위생과 감염의 위험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RN
평가
대상자는 감염의 위험성에 대해 알고 이해하였다.
대상자는 감염이 발생하지 않았고, 수술상처가 잘 아물어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Ⅳ. 결론
1. 사례요약
33세 여환 이○○님은 2달 전부터 RUQ pain 있으셔서 외래 방문 통해 검사 받고 2012년 5월 29일 본원 외과 병동으로 입원하여 NPO 유지하셨다. 30일 오전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받았으며 JP 배액관을 삽관한 상태이고 수술 후 V/S BP:90/60mmHg, P:72, R:20, T:36.8 로 측정되었다. 수술 당일과 다음날 pain 호소 심하여 진통제 투여하여 pain mild 해졌다고 표현하셨으며 side effect 나타나지 않았고 이후에는 pain 호소 없으셨다. OPD+1일 아침까지 금식하시고 점심부터 식이 진행되어 죽 드셨으며 저녁부터는 일반식 밥을 드셨다. 운동 격려하여 병동 내 걸어 다니시는 모습을 자주 관찰할 수 있었으며 dressing 부위 감염의 징후 없이 깨끗하고 증상 호전되어 퇴원 처방 남.
2. 실습후기
이번 실습이 1학기 마지막 실습이라 다른 때보다 편한 마음으로 병원에 갔지만 환자 수에 비해 적은 간호사 수, 오래된 병원 시설과 그다지 위생적이지 못한 환경 때문에 첫날부터 힘든 실습지가 될 것 같은 느낌이었다. 아직 환자를 마주하는 것도 어려운데 v/s을 매뉴얼로 측정하라고 하니 처음엔 너무 부담스러웠던 데다가 침상정리를 할 때마다 땀을 뻘뻘 흘려야 하는 더운 환경 탓에 불쾌지수도 높았다. 매 시간마다 해야 할 일이 많았지만 이번 실습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약국 심부름이었다. 병동에서의 요구와 약국에서의 요구가 서로 달라서 본관 6층에서 별관 1층까지 반복해서 오르내리며 땀 흘렸던 것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2주차로 실습을 더해갈수록 환자들이 나를 기억해주고 개인적인 이야기를 먼저 꺼내기도 하며 나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일이 많아지자 몸은 힘들지만 그만큼 신뢰가 형성된 것 같아서 내심 뿌듯하기도 했다. 그리고 처음에는 어렵게만 느껴졌던 간호사 선생님들도 나중에는 점점 챙겨주시고 자신의 학생시절을 이야기하며 친근하게 대해주셨다. 이번 실습에서는 실습이라는 이름에 맞게 내가 직접 해볼 수 있었던 것이 많아서 다른 병원에서의 observation 보다 훨씬 큰 도움이 되었고 어느새 내가 이 병동의 간호사가 된 것처럼 책임감을 가지고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기도 했으며 배워가는 것이 많아서 알차고 유익했던 2주였다.
Ⅴ. 참고문헌
전시자 외. 2011. 성인간호학. p 472~476 현문사
유해영 외. 2004. 최신 임상 간호 매뉴얼. 제 18장 간, 담도, 췌장 장애. 현문사
최영희 외. 1999.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포털사이트 다음 www.daum.net
포털사이트 네이버 www.naver.com
드러그인포 www.druginfo.co.kr/
5. 마취가스를 배출하고, 긴장감을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간호
수행
1. 수술 후, 보호자 및 대상자에게 JP BAG에 대해 설명하고, 음압을 주어야 함에 대해 설명하였다. 양이 많이 차면 간호사에게 알릴 것을 교육하였다. -RN
2. 매번 주사 투여 시, 대상자 및 보호자에게 약물을 설명하였다. -RN
3. IV injection 부위에 부종이나 발적 등의 문제가 없는지 살펴본다. -SN
4. 대상자 및 보호자에게 담낭의 기능과 담낭절제술 후의 기능변화, 퇴원후의 이상적인 식이에 대해 설명하였다. -RN
5.심호흡의 필요성과 효과를 설명하고 격려하였더니 간간히 심호흡을 하는 노력을 보였다. -RN,SN
평가
대상자 및 보호자가 JP BAG을 항상 아래에 두어야 함을 알고 병동 내 움직임 시 이를 시행하며 양이 찬 경우 간호사에게 말하였다.
대상자는 담낭절제 후 조심해야 할 식이를 말하고 이에 대해 이해하였다.
대상자가 약물투여의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며 심호흡, 기침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간호진단
#3 수술과 관련된 잠재된 감염위험성 (2012.05.31.)
사정
S: “수술한 데는 괜찮은거에요? 좀 봐주세요”
O: 대상자는 수술 부위에 대한 약간의 통증을 호소하며 감염에 대한 위험을 염려하고 있다.
수술 부위를 계속하여 간호를 해주기를 원하고 있다.
수술 후(5/31) 백혈구 수치가 13.1로 정상치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간호목표
단기목표: 수술 부위에 대한 적절한 간호를 한다.
장기목표: 대상자에게 감염의 증상과 징후가 없다.
간호
계획
1. 활력 징후를 측정한다.
2.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사정하고 기록한다.
3. 드레싱 교환 시 철저한 무균법을 지킨다.
4. 대상자에게 간호를 제공하기 전후에 반드시 손을 씻는다.
5. 대상자에게 개인위생과 관련하여 교육하고 감염의 위험성에 대해 교육한다.
이론
적
근거
1. 감염 시에는 체온, 맥박, 호흡 수, 혈압이 상승된다.
2. 대상자는 담낭절제술을 받은 환자로 수술 부위에 잠재된 감염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감염의 증상과 징후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철저한 무균법을 시행함으로써 드레싱 교환 시에 수술 부위가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대상자 스스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간호
수행
1. 4시간 마다 대상자의 활력 징후를 측정하였다. -RN, SN
5/31 pm 2:00 110/70mmHg-78-20-36.7
pm 6:00 120/70mmHg-82-20-36.5
pm 10:00 110/80mmHg-80-20-36.9
6/1 am 2:00 120/80mmHg-84-20-36.7
am 10:00 120/80mmHg-84-20-36.8
pm 2:00 120/70mmHg-78-20-36.5
이 후 6/2~4 동안에도 v/s normal.
2. op site 에 부종, 발적, 발열 등 감염의 징후가 있는지 사정한 뒤 기록하였다. -RN
3. 매 번 드레싱 교환 시마다 철저한 무균법을 시행하였다. -RN
4. 대상자에게 간호를 제공하기 전 후에 손을 깨끗이 하였다. -RN, SN
5. 대상자에게 손 씻기, 드레싱 부위에 대한 주의사항 등 개인위생과 감염의 위험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RN
평가
대상자는 감염의 위험성에 대해 알고 이해하였다.
대상자는 감염이 발생하지 않았고, 수술상처가 잘 아물어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Ⅳ. 결론
1. 사례요약
33세 여환 이○○님은 2달 전부터 RUQ pain 있으셔서 외래 방문 통해 검사 받고 2012년 5월 29일 본원 외과 병동으로 입원하여 NPO 유지하셨다. 30일 오전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받았으며 JP 배액관을 삽관한 상태이고 수술 후 V/S BP:90/60mmHg, P:72, R:20, T:36.8 로 측정되었다. 수술 당일과 다음날 pain 호소 심하여 진통제 투여하여 pain mild 해졌다고 표현하셨으며 side effect 나타나지 않았고 이후에는 pain 호소 없으셨다. OPD+1일 아침까지 금식하시고 점심부터 식이 진행되어 죽 드셨으며 저녁부터는 일반식 밥을 드셨다. 운동 격려하여 병동 내 걸어 다니시는 모습을 자주 관찰할 수 있었으며 dressing 부위 감염의 징후 없이 깨끗하고 증상 호전되어 퇴원 처방 남.
2. 실습후기
이번 실습이 1학기 마지막 실습이라 다른 때보다 편한 마음으로 병원에 갔지만 환자 수에 비해 적은 간호사 수, 오래된 병원 시설과 그다지 위생적이지 못한 환경 때문에 첫날부터 힘든 실습지가 될 것 같은 느낌이었다. 아직 환자를 마주하는 것도 어려운데 v/s을 매뉴얼로 측정하라고 하니 처음엔 너무 부담스러웠던 데다가 침상정리를 할 때마다 땀을 뻘뻘 흘려야 하는 더운 환경 탓에 불쾌지수도 높았다. 매 시간마다 해야 할 일이 많았지만 이번 실습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약국 심부름이었다. 병동에서의 요구와 약국에서의 요구가 서로 달라서 본관 6층에서 별관 1층까지 반복해서 오르내리며 땀 흘렸던 것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2주차로 실습을 더해갈수록 환자들이 나를 기억해주고 개인적인 이야기를 먼저 꺼내기도 하며 나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일이 많아지자 몸은 힘들지만 그만큼 신뢰가 형성된 것 같아서 내심 뿌듯하기도 했다. 그리고 처음에는 어렵게만 느껴졌던 간호사 선생님들도 나중에는 점점 챙겨주시고 자신의 학생시절을 이야기하며 친근하게 대해주셨다. 이번 실습에서는 실습이라는 이름에 맞게 내가 직접 해볼 수 있었던 것이 많아서 다른 병원에서의 observation 보다 훨씬 큰 도움이 되었고 어느새 내가 이 병동의 간호사가 된 것처럼 책임감을 가지고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기도 했으며 배워가는 것이 많아서 알차고 유익했던 2주였다.
Ⅴ. 참고문헌
전시자 외. 2011. 성인간호학. p 472~476 현문사
유해영 외. 2004. 최신 임상 간호 매뉴얼. 제 18장 간, 담도, 췌장 장애. 현문사
최영희 외. 1999.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포털사이트 다음 www.daum.net
포털사이트 네이버 www.naver.com
드러그인포 www.druginfo.c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