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바르다김선생 선정배경
본론
1. 바르다 김선생 3C분석
1) 자사(Company)분석
2) 경쟁사(Competitors)분석
3) 고객(Customers)분석
2. 바르다 김선생 SWOT 분석
1) Strength (강점)
2) Weakness (약점)
3) Opportunity (기회)
4) Threats (위협)
5) SWOT 전략
3. 바르다김선생 STP분석
1) 시장세분화 (Segmentation)
2) 목표시장선정 (Targeting)
3) 차별화 포지셔닝 (Positioning)
4. 바르다 김선생 마케팅믹스 4P전략
1) 현재 마케팅믹스 4P전략2) 새로운 마케팅믹스 전략 제안
결론
1. 바르다김선생 새로운전략 제안
2. 한계점분석
3. 나의의견
<참고자료>
1. 바르다김선생 선정배경
본론
1. 바르다 김선생 3C분석
1) 자사(Company)분석
2) 경쟁사(Competitors)분석
3) 고객(Customers)분석
2. 바르다 김선생 SWOT 분석
1) Strength (강점)
2) Weakness (약점)
3) Opportunity (기회)
4) Threats (위협)
5) SWOT 전략
3. 바르다김선생 STP분석
1) 시장세분화 (Segmentation)
2) 목표시장선정 (Targeting)
3) 차별화 포지셔닝 (Positioning)
4. 바르다 김선생 마케팅믹스 4P전략
1) 현재 마케팅믹스 4P전략2) 새로운 마케팅믹스 전략 제안
결론
1. 바르다김선생 새로운전략 제안
2. 한계점분석
3. 나의의견
<참고자료>
본문내용
터 원하는 김밥을 주문 할 수 있게 하여, 바르다 김선생에서 맞춤 김밥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좋은 재료와 서비스를 김밥에 넣어 수제 초콜렛처럼 자신만을 위한 김밥을 제공함으로써 차별화된 프리미엄 김밥으로서의 위상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2. 한계점분석
본 보고서에서 제시한 마케팅 믹스 전략은 실현 가능한 부분이 상당히 존재하지만 한편으로는 비용적인 측면이나 시간적 측면에서 많은 한계점이 존재하는 건 사실이다. 특히 좁은 실내 공간을 넓은 공간으로 확장 시킨다면 회전율을 높이고 더 많은 고객을 확보 할 수 있겠지만, 그에 따른 비용측면에서 본사에서 지원하는 비용이 한정되어 있다.
‘삼둥이’ 방송효과를 통해 ‘갈비만두‘로 바르다 김선생이 사람들의 큰 관심을 얻었지만, 본 메뉴인 김밥의 인지도는 그에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에 캐즘을 극복하기 위해 김밥을 마케팅 믹스 전략으로 홍보하기에는 비용적 문제점이 가장 큰 한계점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무엇보다 프랜차이지 입장에서 프랜차이즈로부터 제약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마케팅 하는 것이 쉽지 않다. 프렌차이지의 태생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서론에서의 ‘가정‘을 두었지만 바르다 김선생 상인점의 점주의 인터뷰를 들어봤을 때에 많은 점을 개선시킨다는 것에는 여전히 많은 한계가 있다. 프랜차이지 업체들은 표준화된 시스템을 따르는 것이 계약서에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개선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제안점 가운데 세트메뉴나 할인제도의 경우는 바르다 김선생이 포지셔닝 하고 있는 프리미엄 김밥 이미지를 훼손 할 수 있다.
프리미엄이라는 포지셔닝을 가진 바르다 김선생이 여타 브랜드의 포지셔닝 전략을 따라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기 때문에 이 또한 한계점이라 볼 수 있다.
3. 나의의견
이론적 시사점으로는 ‘바르다 김선생 상인점‘을 분석하면서 마케팅 전략의 프레임워크를 다 조사했다는 점이다. 마케팅 전략의 프레임워크 내 전략적 상황분석에 의한 전략 중 시장 분석 및 고객 분석, 자사분석 및 경쟁사분석의 3C 분석과 관련하여 상인동 주변 시장은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 알 수 있었다. 고객 분석 또한 고객의 입장이 되어 어떠한 고객이 주요 고객인지 파악해 볼 수 있었다.
경쟁사분석은 주변 상권을 조사해 동일 업계의 경쟁사와 고객 욕구 충족 관련한 경쟁사까지 다소 폭 넓게 파악할 수 있었고, 자사 분석의 경우는 직접 방문함으로써 내부-외부적 환경에 관한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SWOT분석의 경우, 자사 분석과 마찬가지로 직접 방문해 느낀점을 토대로 내부적 환경을 분석하였고, 객관적인 자료인 기사나 신문 및 통계자료 등 외부적 환경을 파악함으로써 자사의 강/약점 및 기회/위협 요인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경쟁우위에 의한 전략 내 지속적 경쟁우위의 확보 및 경쟁우위에 근거한 전략 부분은 쉽게 파악할 수가 없었다. 특히 지속적으로 경쟁우위를 가지기 위한 방안이 미비 쭹던 것 같고 그와 관련한 전략 또한 없었던 것 같다.
특히, 경쟁우위를 가지기 위한 노력 등이 현재 수요층들이 원하는 바른 재료 부문과 관련한 ‘product leadership’ 은 차별화 측면에서 있었지만 ‘Operational Excellence\'와 관련한 비용우위는 없었다. 고객에게 가치 있는 것을 제안하려면 위의 두 가지를 적절하게 믹스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
STP에 의한 고객획득 및 유지전략에서는, 시장세분화의 기준 변수를 나이/구매성향/라이프스타일로 나누었지만 바르다 김선생이 지향하는 시장 및 목표시장의 뚜렷함이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선정하기 어려웠다.
브랜드전략과 IMC전략 또한 바르다 김선생이 개업한지 2년이 되어가지만 브랜드를 내세운 전략은 다소 부족했던 것 같고, 네이밍전략 및 브랜드가치 상승을 위한 전략 또한 부족하다.
IMC전략과 관련해 통합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안들이 다소 미흡하다. 판매촉진이나 광고 등도 뚜렷하게 하지 않고 다만 TV 속 ‘삼둥이’로 지금까지 유행했던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지속적 우위를 점하기 위해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툴이 필요한 것 같다.
‘바르다 김선생‘에 대한 시사점으로는 경쟁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들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난립하는 Me-too 브랜드로 인해 뚜렷한 다른 프리미엄과 비교하였을 때 특별한 차이점이 부족하다는 점도 있었다.
바르다 김선생에서 가치 제안하는 바른 재료와 올바른 먹거리 이외에 다양한 제품-서비스 측면이나 가격적인 측면에서도 고객들을 지속적으로 끌어들일 방안이 적다고 생각한다.
유통측면에서의 차별화를 위해 점포수를 더 늘릴 방안도 필요한 것 같고, 상권 중심지가 아닌 주요 고객들이 많은 대학로나 번화가에도 점포를 개설해 고객들의 편의성을 확보할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 같다.
촉진전략에서의 시사점은 광고가 적기 때문에 인지도 측면에서 다른 프리미엄 김밥의 촉진전략과 비교하였을 때도 뚜렷하게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광고나 판촉활동에 있어 프리미엄김밥집이라고 하지만 각종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확보해 고객들에게 널리 알린다면 더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한다.
또한, 아직까지 개업한 지 2년이나 지났지만 지금 세대는 인터넷을 통해 많은 정보를 얻기 때문에 본사 홈페이지가 개설 중에 있어 정보를 얻기가 쉽지 않았다. 다른 여타 업종에서는 젊은층은 대부분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통해 정보를 획득하지만 바르다 김선생의 부족한 매체활용은 고객들을 끌어들이는데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웰빙을 추구해 바른 먹거리를 원하는 고객들이 많은 반면에 현재에는 아직까지 ‘김밥은 김밥이다‘라는 생각이 지배적이다. 이런 부분을 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고객층을 넓히는 방법도 분명한 강점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본사와 프랜차이지의 관점에서의 해결이 필요한 것 같다.
본사의 통제가 심하기 때문에 프랜차이지 입장에서는 마케팅전략을 손쉽게 적용시킬 수 없다는 점과 같이 세트메뉴와 쿠폰제도와 같은 제도를 계약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바꿀 수가 없다는 점을 미루어보아, 각 프랜차이지 입장에서의 재량권확보를 늘림으로써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면 바르다 김선생 자체의 브랜드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2. 한계점분석
본 보고서에서 제시한 마케팅 믹스 전략은 실현 가능한 부분이 상당히 존재하지만 한편으로는 비용적인 측면이나 시간적 측면에서 많은 한계점이 존재하는 건 사실이다. 특히 좁은 실내 공간을 넓은 공간으로 확장 시킨다면 회전율을 높이고 더 많은 고객을 확보 할 수 있겠지만, 그에 따른 비용측면에서 본사에서 지원하는 비용이 한정되어 있다.
‘삼둥이’ 방송효과를 통해 ‘갈비만두‘로 바르다 김선생이 사람들의 큰 관심을 얻었지만, 본 메뉴인 김밥의 인지도는 그에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에 캐즘을 극복하기 위해 김밥을 마케팅 믹스 전략으로 홍보하기에는 비용적 문제점이 가장 큰 한계점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무엇보다 프랜차이지 입장에서 프랜차이즈로부터 제약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마케팅 하는 것이 쉽지 않다. 프렌차이지의 태생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서론에서의 ‘가정‘을 두었지만 바르다 김선생 상인점의 점주의 인터뷰를 들어봤을 때에 많은 점을 개선시킨다는 것에는 여전히 많은 한계가 있다. 프랜차이지 업체들은 표준화된 시스템을 따르는 것이 계약서에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개선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제안점 가운데 세트메뉴나 할인제도의 경우는 바르다 김선생이 포지셔닝 하고 있는 프리미엄 김밥 이미지를 훼손 할 수 있다.
프리미엄이라는 포지셔닝을 가진 바르다 김선생이 여타 브랜드의 포지셔닝 전략을 따라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기 때문에 이 또한 한계점이라 볼 수 있다.
3. 나의의견
이론적 시사점으로는 ‘바르다 김선생 상인점‘을 분석하면서 마케팅 전략의 프레임워크를 다 조사했다는 점이다. 마케팅 전략의 프레임워크 내 전략적 상황분석에 의한 전략 중 시장 분석 및 고객 분석, 자사분석 및 경쟁사분석의 3C 분석과 관련하여 상인동 주변 시장은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 알 수 있었다. 고객 분석 또한 고객의 입장이 되어 어떠한 고객이 주요 고객인지 파악해 볼 수 있었다.
경쟁사분석은 주변 상권을 조사해 동일 업계의 경쟁사와 고객 욕구 충족 관련한 경쟁사까지 다소 폭 넓게 파악할 수 있었고, 자사 분석의 경우는 직접 방문함으로써 내부-외부적 환경에 관한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SWOT분석의 경우, 자사 분석과 마찬가지로 직접 방문해 느낀점을 토대로 내부적 환경을 분석하였고, 객관적인 자료인 기사나 신문 및 통계자료 등 외부적 환경을 파악함으로써 자사의 강/약점 및 기회/위협 요인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경쟁우위에 의한 전략 내 지속적 경쟁우위의 확보 및 경쟁우위에 근거한 전략 부분은 쉽게 파악할 수가 없었다. 특히 지속적으로 경쟁우위를 가지기 위한 방안이 미비 쭹던 것 같고 그와 관련한 전략 또한 없었던 것 같다.
특히, 경쟁우위를 가지기 위한 노력 등이 현재 수요층들이 원하는 바른 재료 부문과 관련한 ‘product leadership’ 은 차별화 측면에서 있었지만 ‘Operational Excellence\'와 관련한 비용우위는 없었다. 고객에게 가치 있는 것을 제안하려면 위의 두 가지를 적절하게 믹스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
STP에 의한 고객획득 및 유지전략에서는, 시장세분화의 기준 변수를 나이/구매성향/라이프스타일로 나누었지만 바르다 김선생이 지향하는 시장 및 목표시장의 뚜렷함이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선정하기 어려웠다.
브랜드전략과 IMC전략 또한 바르다 김선생이 개업한지 2년이 되어가지만 브랜드를 내세운 전략은 다소 부족했던 것 같고, 네이밍전략 및 브랜드가치 상승을 위한 전략 또한 부족하다.
IMC전략과 관련해 통합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안들이 다소 미흡하다. 판매촉진이나 광고 등도 뚜렷하게 하지 않고 다만 TV 속 ‘삼둥이’로 지금까지 유행했던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지속적 우위를 점하기 위해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툴이 필요한 것 같다.
‘바르다 김선생‘에 대한 시사점으로는 경쟁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들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난립하는 Me-too 브랜드로 인해 뚜렷한 다른 프리미엄과 비교하였을 때 특별한 차이점이 부족하다는 점도 있었다.
바르다 김선생에서 가치 제안하는 바른 재료와 올바른 먹거리 이외에 다양한 제품-서비스 측면이나 가격적인 측면에서도 고객들을 지속적으로 끌어들일 방안이 적다고 생각한다.
유통측면에서의 차별화를 위해 점포수를 더 늘릴 방안도 필요한 것 같고, 상권 중심지가 아닌 주요 고객들이 많은 대학로나 번화가에도 점포를 개설해 고객들의 편의성을 확보할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 같다.
촉진전략에서의 시사점은 광고가 적기 때문에 인지도 측면에서 다른 프리미엄 김밥의 촉진전략과 비교하였을 때도 뚜렷하게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광고나 판촉활동에 있어 프리미엄김밥집이라고 하지만 각종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확보해 고객들에게 널리 알린다면 더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한다.
또한, 아직까지 개업한 지 2년이나 지났지만 지금 세대는 인터넷을 통해 많은 정보를 얻기 때문에 본사 홈페이지가 개설 중에 있어 정보를 얻기가 쉽지 않았다. 다른 여타 업종에서는 젊은층은 대부분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통해 정보를 획득하지만 바르다 김선생의 부족한 매체활용은 고객들을 끌어들이는데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웰빙을 추구해 바른 먹거리를 원하는 고객들이 많은 반면에 현재에는 아직까지 ‘김밥은 김밥이다‘라는 생각이 지배적이다. 이런 부분을 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고객층을 넓히는 방법도 분명한 강점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본사와 프랜차이지의 관점에서의 해결이 필요한 것 같다.
본사의 통제가 심하기 때문에 프랜차이지 입장에서는 마케팅전략을 손쉽게 적용시킬 수 없다는 점과 같이 세트메뉴와 쿠폰제도와 같은 제도를 계약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바꿀 수가 없다는 점을 미루어보아, 각 프랜차이지 입장에서의 재량권확보를 늘림으로써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면 바르다 김선생 자체의 브랜드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