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네슬레 기업소개
2. 네슬레 기업선정배경
3 네슬레 SWOT분석
1) Strength (강점)
2) Weakness (약점)
3) Opportunity (기회)
4) Threat (위협)
4. 네슬레 (Nestle) 마케팅믹스 4P전략 분석
1) Price
2) Product
3) Place
4) Promotion
Ⅱ. 본론
1. 네슬레 전략적제휴전략 성공사례 (농심)
1) 전략적 제휴 배경
2) 제품 판매 전략
3) 전략적 제휴의 성과
2. 네슬레 전략적제휴전략 실패사례 (풀무원)
1) 전략적 제휴 배경
2) 제품 판매 전략
3) 전략적 제휴의 성과
3. 네슬레 일본진출 마케팅 성공사례
4. 네슬레 중국진출 마케팅 실패사례
Ⅲ. 결론 및 나의의견
1. 네슬레 기업소개
2. 네슬레 기업선정배경
3 네슬레 SWOT분석
1) Strength (강점)
2) Weakness (약점)
3) Opportunity (기회)
4) Threat (위협)
4. 네슬레 (Nestle) 마케팅믹스 4P전략 분석
1) Price
2) Product
3) Place
4) Promotion
Ⅱ. 본론
1. 네슬레 전략적제휴전략 성공사례 (농심)
1) 전략적 제휴 배경
2) 제품 판매 전략
3) 전략적 제휴의 성과
2. 네슬레 전략적제휴전략 실패사례 (풀무원)
1) 전략적 제휴 배경
2) 제품 판매 전략
3) 전략적 제휴의 성과
3. 네슬레 일본진출 마케팅 성공사례
4. 네슬레 중국진출 마케팅 실패사례
Ⅲ. 결론 및 나의의견
본문내용
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매출액
273
268
288
296
345
399
463
549
576
617
영업
손실
27
30
22
29
1.6
10
영업
이익
10
1.8
10
3.9
제공하여 현재도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풀무원 샘물을 맡고 있는 서석원 대표는 차별화와 혁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난관들을 극복해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다이어트와 미용 등의 혜택에 소구하는 풀무원 워터라인을 출시하였는데, 과연 이 제품이 유럽에서처럼 차별화에 성공해서 페트(PET) 시장에서 ‘제주 삼다수나 롯데 아이시스를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을 것 인가’ 이다. 경쟁사들은 취수원의 차별성을 강조하거나 자신이 보유한 매장 유통력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데, 풀무원 워터라인이 이러한 열세를 극복하고 페트(PET) 시장에서 선전하기 위해서는 제품에 대한 적극적인 광고, 홍보를 통한 강한 브랜드 구축이 요구되었다. 그리고 가격에 민감한 18.9리터 사무실 배달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비싼 풀무원 워터라인이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을지도 고민이었다. HOD 시장에서 경쟁사들은 제품 입점을 위해 고객에게 냉온수기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었는데, 풀무원 워터라인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과거에 사용하던 냉온수기를 사용하지 못하고 풀무원 워터라인 전용 냉온수기로 교체해야 하는 부담감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과연 가맹 점주들은 어떤 방법으로 기존의 풀무원 샘물 고객을 풀무원 워터라인 고객으로 전환할 것인지 고민해야 했다.
3. 네슬레 일본진출 마케팅 성공사례
1) 레귤러 솔루블 커피
네슬레 일본은 2013년 9월 출시한 신상품 ‘네스카페 골드블렌드 90그램’을 기존에 사용하던 ‘인스턴트 커피’라는 명칭 대신 ‘레귤러 솔루블(regular Soluble) 커피’로 변화를 주고, 일본 인스턴트 커피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이 제품은 우리나라에서 동서식품이 출시하였던 ‘카누’ 와 같은 인스턴트 원두커피로 ‘방금 내린 커피 같다’라는 소비자 의견이 2만건 이상 나올 만큼 소비자들에 대하여 반응이 뜨겁고, 전년 대비 10%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 인스턴트 원두커피 시장은 2013년 9월부터 12월 사이에 전년 같은 기간보다 금액기준 1%가 증가한 반면, 레귤러 솔루블 커피를 출시한 네슬레 일본은 3%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시장 성장을 이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일본의 생 원두 수입량은 2013년 사상 최고치를 갱신해 원두 수입량과 함께 원두 소비량이 계속 성장하는 추세를 알 수 있다. 일본 커피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한 만큼, 올해 네슬레 일본을 필두로 일본 인스턴트 커피시장이 얼마나 성장할지 주목을 받고 있다.
2) 휴머노이드 로봇을 활용한 커피머신 판매
14년 12월부터 휴머노이드 로봇인 ‘페퍼’를 이용하여서 대형가전매장에서 네스카페의 커피머신을 판매하고 있다. ‘페퍼’는 소프트뱅크 사에서 개발한 감성로봇으로서 페퍼에 탑재된 음성, 감정 인지 기능으로 고객의 표정과 목소리 듣고 감정 상태를 분석할 수 있어 소비자의 구매 심리를 자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네슬레 일본 CEO인 코조 타카오카는 \"페퍼가 네스카페의 제품과 서비스에 대해 설명해 줄 수 있고 소비자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다\"며 \"이러한 소비자와의 관계 모델이 일본의 혁신적인 케이스로 세계적으로 뻗어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네슬레 일본은 로봇강국인 일본에서 로봇을 활용함으로써 현재 성장하고 있는 인스턴트 커피 시장에서 마케팅 부분에서 새로운 시도를 하면서 소비자의 이목을 이끌고 있다.
3) 킷캣을 활용한 수험생 응원 이벤트
킷캣은 네슬레에서 판매하고 있는 초콜릿 종류 중 하나로 구글 O/S로 킷캣을 따올만큼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제과이다. 네슬레 일본은 일본에서는 키토카토라고 킷캣을 발음을 하는데 이것은 ‘꼭 이긴다’라는 ‘kitto katsu’와 발음이 비슷해서 시험시즌을 중점으로 판매 마케팅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서 2014년 12월, 네슬레 일본은 PR용 쇼트 필름인 ‘후타리노 키토’를 제작하였다. 일본의 유명 연예인들의 참여하여서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후타리노 키토’는 수험 공부에 분투하는 주인공이, 그녀를 응원하는 주변 사람들의 마음에 대해 긍정적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그리고 또한 킷켓 메일로 직접 응원의 메시지를 주고받는 행사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마케팅을 통해 네슬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은 긍정적 이였고 매출 또한 상승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4. 네슬레 중국진출 마케팅 실패사례
1) 중국 아이스크림 시장 실패
네슬레는 지난 1999년부터 광둥 지역 최대 아이스크림 브랜드 광저우우양, 윈난 지역 생수 브랜드 윈난다산, 인루식품, 중국 최대 제과업체 쉬푸지를 잇따라 인수한 후, 인수한 중국기업을 통해 중국인 입맛에 맞는 제품개발과 중국 시장의 세분화·다양화 전략을 구사했다. 기업인수 후에도 회사 고유의 체제와 브랜드를 그대로 유지해 인수기업이 보유한 유통망을 적극 활용하고 현지인에게 디자인, 신제품 개발, 브랜드 이미지 관리, 광고 등을 전적으로 맡겨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렸다. 그러나 2011년 12월 말에는 네슬레가 중국에 가동 중인 아이스크림 공장 3곳 중 상하이 아이스크림 생산 공장이 문을 닫으면서 화동지역 아이스크림 유통을 중단했다. 로컬업체인 멍뉴, 이리 등에게 밀려 중국 내 시장점유율이 줄곧 3%에 머물러있어 전격적으로 상하이 공장을 폐쇄하기로 회사 방침을 정한 것이다. 로컬업체들의 눈부신 성장에도 주목해야하지만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취할 것은 취하고 버릴 것은 과감하게 버리는 네슬레의 빠른 전략결정은 해외기업들에게 의미가 있는 내용이지만 중국 아이스크림 시장에서 실패 한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2) 아이스티 제품 ‘네스티’의 중국 현지화 실패
네슬레가 2001년 중국에서‘빙상차(氷爽茶·얼음처럼 시원한 차라는 뜻)’라는 이름의 아이스티를 출시했을 당시는 이미 캉스푸나 퉁이, 와하하 등 중국 토종 브랜드 음료가 차음료 시장을 장악하고 있던 때였다. 그렇기에 네슬레는 마케팅 타깃을 20대의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매출액
273
268
288
296
345
399
463
549
576
617
영업
손실
27
30
22
29
1.6
10
영업
이익
10
1.8
10
3.9
제공하여 현재도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풀무원 샘물을 맡고 있는 서석원 대표는 차별화와 혁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난관들을 극복해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다이어트와 미용 등의 혜택에 소구하는 풀무원 워터라인을 출시하였는데, 과연 이 제품이 유럽에서처럼 차별화에 성공해서 페트(PET) 시장에서 ‘제주 삼다수나 롯데 아이시스를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을 것 인가’ 이다. 경쟁사들은 취수원의 차별성을 강조하거나 자신이 보유한 매장 유통력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데, 풀무원 워터라인이 이러한 열세를 극복하고 페트(PET) 시장에서 선전하기 위해서는 제품에 대한 적극적인 광고, 홍보를 통한 강한 브랜드 구축이 요구되었다. 그리고 가격에 민감한 18.9리터 사무실 배달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비싼 풀무원 워터라인이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을지도 고민이었다. HOD 시장에서 경쟁사들은 제품 입점을 위해 고객에게 냉온수기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었는데, 풀무원 워터라인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과거에 사용하던 냉온수기를 사용하지 못하고 풀무원 워터라인 전용 냉온수기로 교체해야 하는 부담감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과연 가맹 점주들은 어떤 방법으로 기존의 풀무원 샘물 고객을 풀무원 워터라인 고객으로 전환할 것인지 고민해야 했다.
3. 네슬레 일본진출 마케팅 성공사례
1) 레귤러 솔루블 커피
네슬레 일본은 2013년 9월 출시한 신상품 ‘네스카페 골드블렌드 90그램’을 기존에 사용하던 ‘인스턴트 커피’라는 명칭 대신 ‘레귤러 솔루블(regular Soluble) 커피’로 변화를 주고, 일본 인스턴트 커피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이 제품은 우리나라에서 동서식품이 출시하였던 ‘카누’ 와 같은 인스턴트 원두커피로 ‘방금 내린 커피 같다’라는 소비자 의견이 2만건 이상 나올 만큼 소비자들에 대하여 반응이 뜨겁고, 전년 대비 10%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 인스턴트 원두커피 시장은 2013년 9월부터 12월 사이에 전년 같은 기간보다 금액기준 1%가 증가한 반면, 레귤러 솔루블 커피를 출시한 네슬레 일본은 3%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시장 성장을 이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일본의 생 원두 수입량은 2013년 사상 최고치를 갱신해 원두 수입량과 함께 원두 소비량이 계속 성장하는 추세를 알 수 있다. 일본 커피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한 만큼, 올해 네슬레 일본을 필두로 일본 인스턴트 커피시장이 얼마나 성장할지 주목을 받고 있다.
2) 휴머노이드 로봇을 활용한 커피머신 판매
14년 12월부터 휴머노이드 로봇인 ‘페퍼’를 이용하여서 대형가전매장에서 네스카페의 커피머신을 판매하고 있다. ‘페퍼’는 소프트뱅크 사에서 개발한 감성로봇으로서 페퍼에 탑재된 음성, 감정 인지 기능으로 고객의 표정과 목소리 듣고 감정 상태를 분석할 수 있어 소비자의 구매 심리를 자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네슬레 일본 CEO인 코조 타카오카는 \"페퍼가 네스카페의 제품과 서비스에 대해 설명해 줄 수 있고 소비자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다\"며 \"이러한 소비자와의 관계 모델이 일본의 혁신적인 케이스로 세계적으로 뻗어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네슬레 일본은 로봇강국인 일본에서 로봇을 활용함으로써 현재 성장하고 있는 인스턴트 커피 시장에서 마케팅 부분에서 새로운 시도를 하면서 소비자의 이목을 이끌고 있다.
3) 킷캣을 활용한 수험생 응원 이벤트
킷캣은 네슬레에서 판매하고 있는 초콜릿 종류 중 하나로 구글 O/S로 킷캣을 따올만큼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제과이다. 네슬레 일본은 일본에서는 키토카토라고 킷캣을 발음을 하는데 이것은 ‘꼭 이긴다’라는 ‘kitto katsu’와 발음이 비슷해서 시험시즌을 중점으로 판매 마케팅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서 2014년 12월, 네슬레 일본은 PR용 쇼트 필름인 ‘후타리노 키토’를 제작하였다. 일본의 유명 연예인들의 참여하여서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후타리노 키토’는 수험 공부에 분투하는 주인공이, 그녀를 응원하는 주변 사람들의 마음에 대해 긍정적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그리고 또한 킷켓 메일로 직접 응원의 메시지를 주고받는 행사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마케팅을 통해 네슬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은 긍정적 이였고 매출 또한 상승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4. 네슬레 중국진출 마케팅 실패사례
1) 중국 아이스크림 시장 실패
네슬레는 지난 1999년부터 광둥 지역 최대 아이스크림 브랜드 광저우우양, 윈난 지역 생수 브랜드 윈난다산, 인루식품, 중국 최대 제과업체 쉬푸지를 잇따라 인수한 후, 인수한 중국기업을 통해 중국인 입맛에 맞는 제품개발과 중국 시장의 세분화·다양화 전략을 구사했다. 기업인수 후에도 회사 고유의 체제와 브랜드를 그대로 유지해 인수기업이 보유한 유통망을 적극 활용하고 현지인에게 디자인, 신제품 개발, 브랜드 이미지 관리, 광고 등을 전적으로 맡겨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렸다. 그러나 2011년 12월 말에는 네슬레가 중국에 가동 중인 아이스크림 공장 3곳 중 상하이 아이스크림 생산 공장이 문을 닫으면서 화동지역 아이스크림 유통을 중단했다. 로컬업체인 멍뉴, 이리 등에게 밀려 중국 내 시장점유율이 줄곧 3%에 머물러있어 전격적으로 상하이 공장을 폐쇄하기로 회사 방침을 정한 것이다. 로컬업체들의 눈부신 성장에도 주목해야하지만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취할 것은 취하고 버릴 것은 과감하게 버리는 네슬레의 빠른 전략결정은 해외기업들에게 의미가 있는 내용이지만 중국 아이스크림 시장에서 실패 한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2) 아이스티 제품 ‘네스티’의 중국 현지화 실패
네슬레가 2001년 중국에서‘빙상차(氷爽茶·얼음처럼 시원한 차라는 뜻)’라는 이름의 아이스티를 출시했을 당시는 이미 캉스푸나 퉁이, 와하하 등 중국 토종 브랜드 음료가 차음료 시장을 장악하고 있던 때였다. 그렇기에 네슬레는 마케팅 타깃을 20대의
추천자료
빙그레의 인적자원관리 - 레포트
환경분석론_기업의 문화적 환경 극복 사례
[인적자원관리]HR(Human Resource) 아웃소싱 기업의 오늘과 내일
조직문화의 경쟁력 구축방안 연구
중국 생수시장-와하하 기업
테이스터스 초이스의 마케팅과 전략 방안
MAXIM 광고 분석
성경주해(요한복음 1:1-8)
전략정보시스템
남양유업 vs 동서식품의 커피믹스 ‘진흙탕싸움’
SNS_Marketing_서비스_마케팅_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
세계화와 지역화의 특징(세계화 및 지역화의 진행과 특징, 지역화의 진행과정, 여러 산업에서...
SNS마케팅 정의분석과 기업과 제품들의 SNS마케팅 성공,실패사례분석및 SNS마케팅 미래방향연...
믹스커피 시장 현황-남양유업의 STP전략,시장세분화,표적시장 마케팅,재포지셔닝 4P MIX,브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