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현궁(雲峴宮)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운현궁(雲峴宮)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축조 배경(연혁)

2. 건물의 구조 및 양식

3. 평면 및 입체적 공간의 성격

4. 재료 및 시공

5. 계획 기법, 의도

6. 느낀점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락당의 건물의 구조 및 양식
노락당은 이고주칠량의 양식을 보여주는데 도리가 7개가 보이고 외진평주 2개를 빼고 내진고주2개인 양식을 말한다. 구조적으로 보면 내진고주가 대들보를 받치고 대들보가 중보를 바치고 중보가 판대공을 받치면서 지붕을 구조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구조적으로 자세하게 보게 되면 기둥에 창방을 끼고 그 위에 대들보가 올라가고 대들보 위에 도리가 올라가게 된다. 도리의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 그 도리 밑에 장여를 놓아서 하중을 분산한다.
이로당의 건물의 구조 및 양식
이로당은 입구자형 평면에서 남측재는 일고주오량, 동측채는 평사량, 서측재와 북측재는 3량으로 되어있으며, 남측채는 전면 평주와 내진고주 사이에 퇴량을 걸고 내진고주와 후면평주 사이에 대들보를 걸고 있으며, 고주머리와 대들보 위에 세운 동자주 사이에 종보를 걸었다.
노안당의 건물의 구조 및 양식
노안당은 고주상부에는 중도리를 배치하였고, 종 위에는 중앙부에 판대공을 세워 종도리를 받치고 있어 전체적인 구성은 이고주오량으로 되어있으며, 종도리 받침장여 하부에는 뜬창방을 건너지르고 뜬창방과 장여 사이에는 소로를 끼웠다. 배면의 통북측의 내민부분은 동측퇴칸을 걸고 서측평주와 내진고주 사이에는 대량을 걸어 일고주오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3. 평면 및 입체적 공간의 성격
노락당의 평면 및 입체적 공간의 성격
노락당 정면도
노락당은 ㅁ자형 평면에 정면 10칸 측면 3칸으로 운현궁에서 가장 크고 중심이 되는 건물이다. 평면을 보면 거의 대칭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동측과 서측에 부엌이 하나씩 있으며 방이 9개나 있는 실구조의 평면모습을 볼 수 있다.
노락당을 보면 부엌이 서쪽과 동쪽에 하나씩 있는데 이것으로 보아 이 집에 2대 이상이 걸쳐서 살았음을 알게 된다. 서쪽 부엌은 부대부인 민씨가 사용하고 동쪽 부엌은 며느리 명성황후가 사용하였다고 한다. 또한 노락당에는 방이 상당이 많은 구조로 되어 있다. 노락당이라는 건물 자체가 가족행사나 모임에 주로 사용 하였기에 손님이 오시면 방에 머무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노락당
대청
손님을 접객하는 개방적 공간

안방
안주인이 찾아오는 손님을 맞기 위한 접객 공 간이자 식사 및 개인적인 일을 보는 사적 공간
공+사
침방
안주인과 며느리의 침실 (휴식 및 수면의 사적 공간)

협실
하인들의 안잠자기방(수발 대기와 보초 공간)
보 조
퇴칸
반칸 정도로 완충공간이고 칸의 연결 통로이다

퇴방
하인들의 대기 ,보초 공간이자 식사 등 수발 준비 공간 대청과 면해 있는 배면의 퇴방은 행사 시 준비공간으로 사용되었으며, 민비와 고종의 방문 시 상궁들의 대기 장소로 이용
보 조
가퇴
통로 및 대기 공간
기타 : 빈칸의방
침방과 협실 사이에 위치하는 반칸의 방은 누다락에 수납을 위한 공간이자 통로 공간

함실 아궁이
동측 온돌방과 그 북측에 위치한 협실의 바닥 난방
부뚜막 아궁이
서측 온돌방과 그 북측에 위치한 협실의 바닥 난방
과 음식 조리 가능
위에 표에서 보듯이 노락당은 손님을 맞을 수 있는 공간과 행사를 준비할 수 있는 공간 재료 등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 및 창고 등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공간하나하나마다 그냥 쓰이는 공간이 없었다.
위에 그림에서 보듯이 노락당은 남자의 공간보다는 여자의 공간이 훨씬 더 많았다. 노락당에서 음식을 준비하고 상궁들이 잠을 자는 공간 등 여성들의 공간이 많은 건물이다.
-이로당의 평면 및 입체적 공간의 성격
이로당의 평면도
이로당은 ‘ㅁ’자형 평면의 건물로서 정면 7칸, 측면 7칸이다. 이로당의 남
측채는 서측의 온돌방과 중앙 3칸의 대청, 동측 온돌방, 그리고 동쪽 끝으로
통로로 사용되는 퇴칸이 있다. 이런 이로당의 ‘ㅁ’자형 평면을 보면 중앙 안마당에 굴뚝이 있는데, 이로 인해 전형적인 안마당의 행사 등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뒷마당 같은 성격을 보인다. 또한 보통의 ‘ㅁ’자형 형태는 폐쇄적인 성격을 띄나, 이로당은 ‘ㅁ’자형 형태임에도 대문간을 두고 있지 않아 그 출입이 안주인의 공간인 전면 대청을 통해서만 가능하여 개방적 구조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후면에 상궁처소를 배치함으로써 상궁들의 동선이 밖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였으며, 그 동선은 노안당, 노락당에서 연결되는 하인들의
동선과 분리하기 위한 의도로 보인다.
이로당의 ‘ㅁ’자형 평면 일반적인 ‘ㅁ’자형 평면
노안당의 평면 및 입체적 공간의 성격
노안당의 평면도
노안당은 몸채가 정면 6칸·측면 3칸 규모인 ‘T’자형 구조로, 4칸의 누마루인 영화루가 이어진다. 노안당의 대청과 사랑방은 접객공간으로써 대원군이 예술 활동을 하는 공간이자 정치적 회의를 하는 집무적 공간으로 사용되어 접객과 식사 및 개인 공간으로만 기능을 했던 노락당, 이로당과 약간의 차이점을 가진다. 이것은 사랑채와 안채라는 건물의 성격과 대원군의 개인적 특성으로 발생한 것이다.
-운현궁의 평면 및 입체적 공간의 성격
운현궁은 남성과 여성의 공간으로 사랑채와 안채를 나누고 있다. 정문을 통하여 중문간에 이르면 노안당으로 출입하는 대문과 안채로 출입하는 대문이 있어 중문간은 사랑채와 안채를 분리해주는 역할을 한다. 주거와 집무 공간으로써 기능을 하는 운현궁은 주인, 내방인, 하인, 상궁의 동선을 구분하고 있다. 주인과 손님의 동선은 접객공간인 사랑채에서 분리 체계가 잘 보여지고 있다.
운현궁의 동선체계 중 하인의 동선은 복도를 통해 실용적으로 발달되어 있으며 이 복도는 주요 건물들을 모두 연결하고 있으며 동선이 밖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되어 있어 실용적 체계를 가지고 있다.
4. 재료 및 시공
-운현궁의 재료 및 시공
기둥은 평주와 고주 모두 네모기둥이며, 약간의 민흘림이 있고, 모서리는 턱이 있는 빗모접기가 되어있다.
초석은 정방향주초인데 상부를 하부보다 약간 줄여서 다듬었다.
기단은 몸채부분의 전후면은 세벌대로 되어있으나. 상부의 두단만 노출되어있다.
벽체는 회벽과 지벽장자로 되어잇는데 지벽장자는 온돌방의 내부쪽에 회벽이나 머름에 덧붙여서 설치되어있다.
지붕의 처마는 서까래만의 홑처마로 구성되었으며, 전면과 동서양측면의 남부 일부에는 모두 차양을 달아놓았다. 차양이란 햇
  • 가격6,3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5.08.05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81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