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국시장분석
2. 텐센트 기업성장과정
3. 텐센트 기업소개
(1) 텐센트 개요
(2) 사업내용
1) PC메신저 QQ
2) 모바일 메신저 웨이신
3) 방송컨텐츠
4) 온라인 게임
5) 핀테크- 텐페이
6) 모바일 앱 장터
7) 전자상거래
4. 텐센트 경영전략 분석
(1) 인터넷 부가가치 서비스
(2) 전자상거래
(3) 광고전략
5. 텐센트와 국내 게임업체와의 관계
6. 텐센트 재무분석
7. 텐센트 향후전망
2. 텐센트 기업성장과정
3. 텐센트 기업소개
(1) 텐센트 개요
(2) 사업내용
1) PC메신저 QQ
2) 모바일 메신저 웨이신
3) 방송컨텐츠
4) 온라인 게임
5) 핀테크- 텐페이
6) 모바일 앱 장터
7) 전자상거래
4. 텐센트 경영전략 분석
(1) 인터넷 부가가치 서비스
(2) 전자상거래
(3) 광고전략
5. 텐센트와 국내 게임업체와의 관계
6. 텐센트 재무분석
7. 텐센트 향후전망
본문내용
중국 내 가장 큰 온라인 뉴스 플랫폼이 되었으며, 전년대비 두배 이상 동영상 트래픽이 증가하면서 중국 내 가장 많은 DAU(Daily Active User)를 보유한 동영상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텐센트 앱스토어의 중국 내 시장 점유율도 일년동안 14%에서 26%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텐센트의 주요 플랫폼MAU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QQ IM의 스마트폰 기기 MAU는 전년대비 33% 증가한 5억 7,600만명, 위챗의 MAU는 전년대비 41% 증가한 5억명, Qzone의 MAU는 전년대비 30% 증가한 5억 4,000만명을 넘어섰다.
(1) 인터넷 부가가치 서비스
메신저와 게임으로 창출한 수익을 뜻한다. 2013년 매출액은 449.8억 위안으로 2012년보다 40.6% 증가했다. 그중 게임매출이 319.7억 위안으로 34% 증가했다. 대표적인 게임인 던전앤파이터, LOL 등으로부터 창출된 매출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게임은 일반적으로 무료가 중심이지만, 유료화를 통해서 매출을 만들어내고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판매를 통해서 수익을 내거나 월 단위 정액(1계좌 평균 20위안) 등이 있다. 나머지 메신저, 소셜네트워크 분야 매출은 130.1억 위안으로 9% 증가했다.
(2) 전자상거래
전자상거래 수입은 시즌 판촉 활동, 지역별 판매 영역 확대, 상품 카테고리 증가에 따른 것이다. 대표적 사이트로는 51Buy.com, paipai.com 등이 있다. 이 부문의 매출은 2012 대비 121.2% 증가한 98.0억 위안을 기록했다.
(3) 광고전략
광고 수입은 온라인, 소셜네트워크, 동영상 광고 등에서 나온다. 매출액은 2012년 대비 48.8%증가한 50.3억 위안을 기록했다. 주로 소셜네트워크 광고 및 동영상 광고의 약진에 따른 것이다. 현재 늘어나고 있는 인터넷 사용자와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 홈페이지 배너광고, 플래시. 동영상 광고로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또한 QQ의 8억 가입자와 웨이신의 3.7억 가입자를 대상으로 QQ 플랫폼을 이용한 광고시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모바일광고는 향후 텐센트의 성장동인이 될 것 위챗광고를 통한 모바일 상용화가 시작되며, 텐센트의 투자매력도가 한층 더 상승했다고 판단한다. 현재 위챗의 프로모션 피드 광고는 초기 테스팅 단계이다. 광고 포맷이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및 트위터 등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하며 이미 이를 통해 CPC 증가가 고무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향후 광고매출의 가파른 상승을 기대해도 좋을 것이다. 탄탄한 MAU를 기반으로 중국의 SNS 광고시장을 선도하면서 동시에 모바일광고 수익창출로 추가적인 실적 상승이 기대된다.
소셜: 위챗과 QQ를 통한 “Connection”(연결) 전략 도입
게임: 중국 내 1등 모바일 게임 플랫폼으로 성장. PC 게임의 지속적인 성장
미디어&광고: 중국 내 1등 모바일 뉴스 서비스. 전년(2013)대비 두배 이상 증가한 비디오 트래픽과 광고 매출
보안: 빠른 시장 점유율 확대 중
앱 스토어: 중국 내 26%의 시장점유율 달성
결제&금융: 위챗과 QQ를 통한 1억개 이상의 은행 계좌
<텐센트홀딩스 한국 주요 투자처>
주요 지분투자 게임사
CJ게임즈(2014년 3월) 5,300억 원(지분28%), 3대주주
카카오(2012년 4월) 720억 원(지분14%), 2대주주
모바일 결제
다날(2014년 3월) 사업제휴(결제 관련 내용)
한국사이버결제(2014년 3월)
5. 텐센트와 국내 게임업체와의 관계
중국 내에서 어마어마한 성장을 이룬 텐센트가 국내에서 회자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국내 콘텐츠 시장을 중심으로 이뤄진 대규모의 투자 때문일 것이다. 텐센트는 실제로 국내의 많은 기업들에 대규모의 투자를 진행했으며 그 규모를 따지자면 실로 천문학적인 금액으로 추측되고 있다.
가장 유명한 투자는 2015년 이뤄진 CJ게임즈를 대상으로 한 5000억 원 규모의 투자일 것이다. CJ게임즈를 대상으로 텐센트는 총 5330억 원을 투자해 지분 28%를 인수했다. CJ게임즈는 투자금을 바탕으로 CJ그룹에서 분리, 현재는 넷마블게임즈로 사명을 변경해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이외에도 텐센트는 카카오에도 지분 투자를 감행, 720억 원의 투자를 진행하고 카카오 지분 9.9%를 획득해, 현재는 다음카카오의 3대 주주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현재 카카오의 주주 구성을 보면 최대 주주인 김범수 의장이 22%, 투자사 케이큐브홀딩스가 17.6%를 보유하고 있으며, 텐센트는 이어 3대 주주이자 이사회의 멤버로 참여하고 있다.
여기까지 봤을 때는 텐센트는 순수하게 자금력으로 국내 시장을 비집고 들어온 졸부로 비춰질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카카오나 넷마블과 같은 이미 성공한 게임사들 외에도 중소규모의 콘텐츠 기업을 발굴해 투자하는 과감함을 보이고도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NHN엔터테이먼트의 대표를 역임한 바 있는 이은상 대표가 설립한 신생 모바일 게임 개발사 카본아이드에 대한 대규모 투자다. 텐센트는 카본아이드가 미처 게임을 내놓기 전에도 그 가능성을 엿보고 1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 10%내외의 지분을 확보했다.
소셜게임‘아이러브커피’를 통해 성장해 올해 상장하기도 한 모바일 게임 개발사 파티게임즈에도 텐센트는 200억 원 가량을 투자했다. 파티게임즈에의 투자는 텐센트의 자회사인 TCH AQUARIUS PTE. LTD를 통해 이뤄졌다. 또한 네시삼십삼분에도 라인과 함께 1천억 원 대의 투자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별이되어라’의 개발사 플린트에도 텐센트의 투자금은 흘러들어갔다. 이외에도 텐센트 자사가 주가 된 벤처캐피탈을 통해 중소규모의 많은 국내 IT기업들에 투자가 진행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2011년에는 한국 지사 텐센트코리아를 설립하고 웹게임 ‘춘추전국시대’를 직접 퍼블리싱했다. 그리고 XL게임즈의 기대작인 ‘아키에이지’의 중국어 퍼플리싱을 맡을 계획이다.
이처럼 유망 개발사, 퍼블리셔들을 상대로 전방위적 투자를 진행해, 이제는 한국 콘텐츠 시장을 이야기할 때 텐센트란 이름을 빼놓고는 제대로 설명할 수도 없는 상태가
(1) 인터넷 부가가치 서비스
메신저와 게임으로 창출한 수익을 뜻한다. 2013년 매출액은 449.8억 위안으로 2012년보다 40.6% 증가했다. 그중 게임매출이 319.7억 위안으로 34% 증가했다. 대표적인 게임인 던전앤파이터, LOL 등으로부터 창출된 매출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게임은 일반적으로 무료가 중심이지만, 유료화를 통해서 매출을 만들어내고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판매를 통해서 수익을 내거나 월 단위 정액(1계좌 평균 20위안) 등이 있다. 나머지 메신저, 소셜네트워크 분야 매출은 130.1억 위안으로 9% 증가했다.
(2) 전자상거래
전자상거래 수입은 시즌 판촉 활동, 지역별 판매 영역 확대, 상품 카테고리 증가에 따른 것이다. 대표적 사이트로는 51Buy.com, paipai.com 등이 있다. 이 부문의 매출은 2012 대비 121.2% 증가한 98.0억 위안을 기록했다.
(3) 광고전략
광고 수입은 온라인, 소셜네트워크, 동영상 광고 등에서 나온다. 매출액은 2012년 대비 48.8%증가한 50.3억 위안을 기록했다. 주로 소셜네트워크 광고 및 동영상 광고의 약진에 따른 것이다. 현재 늘어나고 있는 인터넷 사용자와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 홈페이지 배너광고, 플래시. 동영상 광고로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또한 QQ의 8억 가입자와 웨이신의 3.7억 가입자를 대상으로 QQ 플랫폼을 이용한 광고시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모바일광고는 향후 텐센트의 성장동인이 될 것 위챗광고를 통한 모바일 상용화가 시작되며, 텐센트의 투자매력도가 한층 더 상승했다고 판단한다. 현재 위챗의 프로모션 피드 광고는 초기 테스팅 단계이다. 광고 포맷이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및 트위터 등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하며 이미 이를 통해 CPC 증가가 고무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향후 광고매출의 가파른 상승을 기대해도 좋을 것이다. 탄탄한 MAU를 기반으로 중국의 SNS 광고시장을 선도하면서 동시에 모바일광고 수익창출로 추가적인 실적 상승이 기대된다.
소셜: 위챗과 QQ를 통한 “Connection”(연결) 전략 도입
게임: 중국 내 1등 모바일 게임 플랫폼으로 성장. PC 게임의 지속적인 성장
미디어&광고: 중국 내 1등 모바일 뉴스 서비스. 전년(2013)대비 두배 이상 증가한 비디오 트래픽과 광고 매출
보안: 빠른 시장 점유율 확대 중
앱 스토어: 중국 내 26%의 시장점유율 달성
결제&금융: 위챗과 QQ를 통한 1억개 이상의 은행 계좌
<텐센트홀딩스 한국 주요 투자처>
주요 지분투자 게임사
CJ게임즈(2014년 3월) 5,300억 원(지분28%), 3대주주
카카오(2012년 4월) 720억 원(지분14%), 2대주주
모바일 결제
다날(2014년 3월) 사업제휴(결제 관련 내용)
한국사이버결제(2014년 3월)
5. 텐센트와 국내 게임업체와의 관계
중국 내에서 어마어마한 성장을 이룬 텐센트가 국내에서 회자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국내 콘텐츠 시장을 중심으로 이뤄진 대규모의 투자 때문일 것이다. 텐센트는 실제로 국내의 많은 기업들에 대규모의 투자를 진행했으며 그 규모를 따지자면 실로 천문학적인 금액으로 추측되고 있다.
가장 유명한 투자는 2015년 이뤄진 CJ게임즈를 대상으로 한 5000억 원 규모의 투자일 것이다. CJ게임즈를 대상으로 텐센트는 총 5330억 원을 투자해 지분 28%를 인수했다. CJ게임즈는 투자금을 바탕으로 CJ그룹에서 분리, 현재는 넷마블게임즈로 사명을 변경해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이외에도 텐센트는 카카오에도 지분 투자를 감행, 720억 원의 투자를 진행하고 카카오 지분 9.9%를 획득해, 현재는 다음카카오의 3대 주주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현재 카카오의 주주 구성을 보면 최대 주주인 김범수 의장이 22%, 투자사 케이큐브홀딩스가 17.6%를 보유하고 있으며, 텐센트는 이어 3대 주주이자 이사회의 멤버로 참여하고 있다.
여기까지 봤을 때는 텐센트는 순수하게 자금력으로 국내 시장을 비집고 들어온 졸부로 비춰질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카카오나 넷마블과 같은 이미 성공한 게임사들 외에도 중소규모의 콘텐츠 기업을 발굴해 투자하는 과감함을 보이고도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NHN엔터테이먼트의 대표를 역임한 바 있는 이은상 대표가 설립한 신생 모바일 게임 개발사 카본아이드에 대한 대규모 투자다. 텐센트는 카본아이드가 미처 게임을 내놓기 전에도 그 가능성을 엿보고 1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 10%내외의 지분을 확보했다.
소셜게임‘아이러브커피’를 통해 성장해 올해 상장하기도 한 모바일 게임 개발사 파티게임즈에도 텐센트는 200억 원 가량을 투자했다. 파티게임즈에의 투자는 텐센트의 자회사인 TCH AQUARIUS PTE. LTD를 통해 이뤄졌다. 또한 네시삼십삼분에도 라인과 함께 1천억 원 대의 투자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별이되어라’의 개발사 플린트에도 텐센트의 투자금은 흘러들어갔다. 이외에도 텐센트 자사가 주가 된 벤처캐피탈을 통해 중소규모의 많은 국내 IT기업들에 투자가 진행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2011년에는 한국 지사 텐센트코리아를 설립하고 웹게임 ‘춘추전국시대’를 직접 퍼블리싱했다. 그리고 XL게임즈의 기대작인 ‘아키에이지’의 중국어 퍼플리싱을 맡을 계획이다.
이처럼 유망 개발사, 퍼블리셔들을 상대로 전방위적 투자를 진행해, 이제는 한국 콘텐츠 시장을 이야기할 때 텐센트란 이름을 빼놓고는 제대로 설명할 수도 없는 상태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