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획
I. 기획
1. 개요
2. 기획의 정의
3. 기획의 유사개념
II. 기획의 본질
1. 본질적인 요소
2. 구별되어야 할 요소
III. 기획의 유형
1. 기간별 유형
2. 강제성에 의한 유형
3. 계층에 의한 유형
4. 고정성에 의한 유형
IV. 기획의 특성
I. 기획
1. 개요
2. 기획의 정의
3. 기획의 유사개념
II. 기획의 본질
1. 본질적인 요소
2. 구별되어야 할 요소
III. 기획의 유형
1. 기간별 유형
2. 강제성에 의한 유형
3. 계층에 의한 유형
4. 고정성에 의한 유형
IV. 기획의 특성
본문내용
당한다.
3) 장기기획
일반적으로 10년 이상에 해당하는 기간에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경찰복지향상을 위한 예산대안 및 자질향상을 위한 교육 등이 이에 해당한다.
2. 강제성에 의한 유형
기획의 목표를 강제적으로 달성하려는 것으로 강제 유도기획 등으로 나눌 수 있다.
1) 강제기획
국가가 일정한 목표를 설정하고 강제적으로 달성하려고 하는 것을 말한다.
2) 유도기획
국가가 일정한 목표를 설정하고 민간부분에 보조금의 지원과 금융지원 및 조세감면 등의 지원을 하여 목표를 달성토록 하는 것을 말한다.
3. 계층에 의한 유형
조직의 계층에 따라서 정책기획과 운영기획으로 구별하는 것을 말한다.
1) 정책기획
행정의 상위계층 또는 중앙정부의 고위층에서 광범위한 목표설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2) 운영기획
정책기획에서 설정한 목표를 실천에 옮기기 위한 기획으로 조직의 중간계층에서 실시하는 기획을 말한다.
4. 고정성에 의한 유형
계획을 실천하는 기간의 유무에 따른 것으로 고정기획과 연동기획으로 분류한다.
1) 고정기획
목표를 달성하는 일정한 기한이 지나면 종결되는 기획을 말한다.
2) 연동기획
목표달성의 기한이 없이 연속적으로 시행하는 기획을 말한다.
IV. 기획의 특성
기획의 특성(peculiarity of planning)이라 함은 기획의 공통된 속성을 말하는 것으로, 기획은 미래를 예측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상태를 추구하면서 목표달성을 위한 수단을 강구하여 결과에 어떤 한계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다음과 같은 공통된 속성이 있다.
(1) 기획은 과정이다. 기획은 목적이 아니고 선택의 과정이며 의사결정과정이다.
(2) 기획은 준비과정이다. 기획은 미래에 집행할 계획을 준비하는 결정과정이다.
(3) 기획은 총체적으로 관련된 사항을 결정하는 과정이다. 기획은 하나의 의사결정이며 종합적인 판단이다.
(4) 기획은 미래지향적이다. 기획은 장래를 예측하여 보다 나은 상태로 이끌어가려는 미래지향적 결정이다.
(5) 기획은 목표를 달성하는 활동이다. 기획은 이미 결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실행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활동이다.
(6) 기획은 효율적인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다. 기획은 최소의 노력과 비용으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의미한다.
(7) 기획은 행동지향적인 활동이다. 기획은 실천을 하기 위한 것으로 행동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3) 장기기획
일반적으로 10년 이상에 해당하는 기간에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경찰복지향상을 위한 예산대안 및 자질향상을 위한 교육 등이 이에 해당한다.
2. 강제성에 의한 유형
기획의 목표를 강제적으로 달성하려는 것으로 강제 유도기획 등으로 나눌 수 있다.
1) 강제기획
국가가 일정한 목표를 설정하고 강제적으로 달성하려고 하는 것을 말한다.
2) 유도기획
국가가 일정한 목표를 설정하고 민간부분에 보조금의 지원과 금융지원 및 조세감면 등의 지원을 하여 목표를 달성토록 하는 것을 말한다.
3. 계층에 의한 유형
조직의 계층에 따라서 정책기획과 운영기획으로 구별하는 것을 말한다.
1) 정책기획
행정의 상위계층 또는 중앙정부의 고위층에서 광범위한 목표설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2) 운영기획
정책기획에서 설정한 목표를 실천에 옮기기 위한 기획으로 조직의 중간계층에서 실시하는 기획을 말한다.
4. 고정성에 의한 유형
계획을 실천하는 기간의 유무에 따른 것으로 고정기획과 연동기획으로 분류한다.
1) 고정기획
목표를 달성하는 일정한 기한이 지나면 종결되는 기획을 말한다.
2) 연동기획
목표달성의 기한이 없이 연속적으로 시행하는 기획을 말한다.
IV. 기획의 특성
기획의 특성(peculiarity of planning)이라 함은 기획의 공통된 속성을 말하는 것으로, 기획은 미래를 예측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상태를 추구하면서 목표달성을 위한 수단을 강구하여 결과에 어떤 한계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다음과 같은 공통된 속성이 있다.
(1) 기획은 과정이다. 기획은 목적이 아니고 선택의 과정이며 의사결정과정이다.
(2) 기획은 준비과정이다. 기획은 미래에 집행할 계획을 준비하는 결정과정이다.
(3) 기획은 총체적으로 관련된 사항을 결정하는 과정이다. 기획은 하나의 의사결정이며 종합적인 판단이다.
(4) 기획은 미래지향적이다. 기획은 장래를 예측하여 보다 나은 상태로 이끌어가려는 미래지향적 결정이다.
(5) 기획은 목표를 달성하는 활동이다. 기획은 이미 결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실행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활동이다.
(6) 기획은 효율적인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다. 기획은 최소의 노력과 비용으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의미한다.
(7) 기획은 행동지향적인 활동이다. 기획은 실천을 하기 위한 것으로 행동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추천자료
[광고매체기획] 광고매체기획의 의의와 요소, 수립, 결정요인
[이벤트기획] 이벤트 기획의 필요성 및 형식
[기획의 평가] 기획평가의 의의, 과정과 방법(기법)
[기획(planning)과 통제(control)] 행정기획과 관리통제
[전략적 기획의 과정] 전략적 프로그램화로서의 계획수립, 전략적 기획의 단계(1단게~5단계)
[행정기획] 기획(planning)의 유형(분류) 및 원칙
[기획企劃의 유형] 기획의 분류
[기획원칙 (企劃原則)] 효과적인 기획의 원칙
[기획(企劃)의 한계와 수정전략] 기획의 위기상황, 수정전략, 계획집행의 접근방법
[기획의 분류] 기획 접근유형의 분류 - 팔루디(Faludi), 허드슨(Hudson), 힐리(Healey)의 분류
[기획조정] 기획의 조정 - 조정(coordination)의 의의, 유형, 원칙, 과정, 방법, 저해요인
[기획(企劃)과 예산(豫算)] 예산과 PPBS(Planning Programming Budgeting System), 기획과 예...
[중앙기획기구 (central planning agency)] 중앙기획기구의 기능과 역할, 유형, 조직, 구성
사회복지행정에서 기획의 필요성과 기획의 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