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공학 및 실습 범용 선반 실습 보고서 [제조공학 및 실습]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조공학 및 실습 범용 선반 실습 보고서 [제조공학 및 실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실습내용
실습결과
고찰
예비과제 및 반성과제

본문내용

성질을 측정한다. 인장시험에서는 이 밖에 비례한도·탄성한도(彈性限度)·탄성계수·일용량 등도 측정할 수 있으며, 가해진 하중과 신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線圖)도 구할 수 있다.
인장하중에 의해서 생기는 응력(應力)을 인장응력이라고 하는데, 인장응력과 신장의 관계를 나타내는 응력-변형도 선도는 재료의 성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것이다. 이 선도에서 최대점의 응력을 인장강도라고 한다. 인장시험은 항상 동일한 조건하에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측정결과의 신뢰성이 높으며, 기계나 기계부품의 설계에 직접 필요한 자료가 되므로 이전부터 공업적 시험의 하나로서 널리 채택되어왔다.
5) 버니어 갤리퍼스 및 마이크로미터의 사용법을 설명하라.
반성과제
1) 선반의 부속품과 그 용도에 대하여 조사하여라.
선반의 주요 구성요소는 베드·주축대·심압대·왕복대·공구대 및 이송장치로 되어 있다. 주축대와 심압대 사이에 가공물을 고정시키고, 회전운동을 주축대로부터 받도록 설계되어 있다. 절삭공구는 왕복대에 장치되어 있는 공구대에 유지하고, 공구대를 전후좌우로 움직여서 적당한 절삭길이를 주어 칩의 발생과 함께 가공물을 절삭해간다. 베드의 상부는 왕복대가 좌우로 미끄러져서 그것을 안내하는 부분이므로, 정밀한 다듬질을 통하여 높은 정밀도를 유지하게 되어 있다.
- 조절장치 : 기하급수적으로 배열된 여러속도중의 하나를 선택
- 전기식 척 브레이크 : 공작물 회전의 시동, 정지, 또는 저속회전
- 심압대 : 여러 가지 길이 의 소재에 적합하도록 선반 베드를 따라 이동
- 리드 스크루 : 길고 정밀하게 나사가공죈 축. 나사절삭에 사용된다.
- 이송봉 : 변환 기어박스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가로 및 길이방향 자동이송을 위한 에이프런 기구 구동
- 이송기어 박스 : 리드 스크루 또는 이송봉의 속도 변환
- 왕복대 : 절삭공구 지지, 안내.
- 에이프런 : 수동과 자동으로 왕복대와 가로이송대를 이송하기 위한 조작장치, 치차 및 그 밖의 기구 내장
<척>
공작기계의 하나인 선반의 주축(主軸) 끝에 장치하여 공작물을 유지하는 부속장치이다.
보통척·에어척·콜릿척(collet chuck) 등이 있다. 3개 또는 4개의 클로(claw)가 있으며, 그 하나하나를 핸들로 움직여 가공품을 잡게 되어 있다.
3개의 클로가 연동(連動)하여 동시에 움직이는 연동척은 가공품을 물리는 데 시간이 걸리지 않으므로, 다량생산 때 사용하면 능률적이다. 이 밖에 자석의 작용으로 설치하는 마그네트척도 있다.
<면판>
면판이란 공작물의 형상이 불규칙하여 chuck으로 지지할 수 없는 경우에 그림과 같이 주축의 나사부에 고정하여 공작물의 지지에 사용되는 부속이다.
<돌리개>
돌리개(dog)란 아래 그림과 같이 공작물을 양 center에 걸고 주축에 고정된 면판과 함께 작물을 회전시키는 부속품이다.
<방진구>
방진구란 지름이 작고 긴 공작물의 가공에서 공구의 작용력에 의하여 공작물이 휘어지기 때문에 안정된 가공을 할 수 없을 때 공작물의 굽힘과 이로 인한 진동을 방지해주는 도구로서 bed 상의 일정 위치에서 고정하는 고정식 방진구(steady rest)와 왕복대에 고정되어 왕복대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식 방진구(follower rest)가 있다.
2) 이송속도와 표면 거칠기의 관계를 설명하라.
공구대를 주축의 중심선에 평행하게 또 이에 직각으로 이송하는 것을 각각 길이방향이송 및 가로방향이송이라고 하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꿔서 실시한다. 이 회전운동은 주축회전장치에서 주축에서 취한다. 선반의 이송은 주축 1회전에 대한 공작물의 직선 방향이동 거리를 뜻한다. 이송속도가 빠르게 되면, 표면의 거칠기가 매우 거칠어진다. 그래서 표면의 거칠기를 매끈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송속도를 가급적 천천히 실시해야 한다. 특히 정밀가공의 경우 이송속도를 매우 느리게 하여야만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일정한 속도로 가공을 하여야 중요하다.
3) 공구마멸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라.
공구의 마멸은 공구재료에 대한 절삭속도의 과다, 피삭재에 대한 공구각과 공구날의 부적합, 공작기계의 진동에 의한 떨림, 절삭유제 등 여러 가지 원인에 관계된다.
경사면 마멸(크레이터 마멸)
여유면 마멸(플랭크 마멸)
치핑
칩이 공구 경사면 위를
미끄러질 때 공구 윗면에 오목하게 파진 부분이
생기는 것
공구의 여유면이 절삭면에 평행하게 마멸되는 것
공구의 날이 모서리를 따라 작은 조각으로 떨어져 나가는 것. 평삭과 밀링에서와 같이 충격을 받는 경우에 흔히 발생
4) 공구수명 판정기준을 설명하라.
공구수명은 어떤 절삭조건에서 절삭을 시작하여 공구의 마멸과 마멸로 사용할 수 없게 되기까지의 절삭시간을 의미한다. 공구수명은 경제성과 관계가 깊은 피절삭성을 나타내는 기준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이다. 공구수명을 연장시켜 재연삭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안하여 가장 경제적인 절삭속도로 절삭하는 것은 중요하다.
V = 절삭속도 . ft / min
T = 공구수명, 분 (min)
n = 절삭조건에 따른 지수로 실험적으로 구해짐.
C = 공구수명 1분에 대한 절삭속도 상수로 실험적으로 구해짐.
따라서 일반적으로 공구의 파손은 다음 4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1. 온도파손 : 절삭작업에서 절삭속도가 크게 되면 절삭온도가 상승하고, 마모가 크게 되면 공구인선의 입력 에너지가 더욱 크게 되어 가열 및 마모가 가속화된다.
2. Cratering : 경화된 칩이 공구 경사면을 유동할 때 경사면의 마모작용을 Cratering이라 하며, 이 때의 마모를 crater 마모, 마모되어 패인 부분을 crater라고 한다. crater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crater가 크면 공구의 인부(刃部)가 약하게 되어 파손될 수 있다. crater의 최대깊이와 인선에서 crater의 중심부까지의 비를 공구수명 판정의 기준으로 한다.
3. 여유면 마모 : 가공면에 평행한 여유면의 마모로써 마모량은 여유면 마모폭으로 표시하고, 이것을 공구수명 판정의 기준으로 한다.
4. Chipping : 공고의 인선부(刃先部)가 미세하게 탈락되는 것을 chipping이라 하며, 평삭과 밀리에서와 같이 충격을 받는 경우에 흔히 발생한다.
  • 가격6,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08.25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96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