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거울반응(예비+결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은거울반응(예비+결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실험제목
실험목표
실험원리
실험방법
실험결과
토의

본문내용

ol x 169.87g/mol x 0.001 = 0.08
2)1M KOH 10ml를 만들기 위해서는 분자량 56.105인 KOH를 0.66mg 취해야 한다.
1mol/L x 10ml = 10mmol
10mmol X 56.105g/mol = 561.05mg
561.05mg x 0.001 = 0.56105mg
0.56105mg x 100/85 = 0.66
3)질산은의 은이온이 산화, 환원 반응을 나타내면서 은거울 반응이 발생하게 된다. 질산은과 암모니아수가 서로 섞이면 처음엔 창이온이 침전된다. 계속 암모니아수를 넣어주면 착이온이 다시 암모니아수에 녹으면서 침전이 해리된다.
4)KOH를 넣는 이유는 pH농도를 높여서 알데히드가 환원성을 더 잘 나타나게 하기 위해서이다.
5)포도당을 넣자 산화은이 포도당의 전자를 빼앗아 은으로 환원되면서 은거울 반응을 나타냈다. 포도당은 포르밀기(-CHO)를 가지고 있는데 환원성이 매우 강해 은이온을 은으로 환원시키고 자신은 산화되어 카르복실기가 된다.
포르밀기 : -CH=O
2RCHO + 2Ag(NH3)2OH -> 2RCOOH + 2Ag↓ + 4NH3 + H2
R-CHO → R-COOH : 산화
Ag+ + e → Ag : 환원
  • 가격1,2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5.09.05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05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