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촌동의 역사
1.1. 명칭의 변화
1.2. ‘이촌‘의 유래
2. 이촌동의 주거 변천 과정
2.1. 조선시대 – 모래사장
2.2. 일제강점기
2.2.1. 재한일본인 집거지의 등장
2.2.2. 도시형 한옥의 등장
2.3. 해방이후 - 불량주택지구
2.4. 1차 한강종합개발사업(1967-1970) – 아파트단지
2.5. 2차 한강종합개발사업(1982-1986) - ‘ㅡ자’ 선형 아파트
2.6. 현재
2.6.1. 타워형아파트
2.6.2. 재한일본인 집거지
3.참고문헌
1.1. 명칭의 변화
1.2. ‘이촌‘의 유래
2. 이촌동의 주거 변천 과정
2.1. 조선시대 – 모래사장
2.2. 일제강점기
2.2.1. 재한일본인 집거지의 등장
2.2.2. 도시형 한옥의 등장
2.3. 해방이후 - 불량주택지구
2.4. 1차 한강종합개발사업(1967-1970) – 아파트단지
2.5. 2차 한강종합개발사업(1982-1986) - ‘ㅡ자’ 선형 아파트
2.6. 현재
2.6.1. 타워형아파트
2.6.2. 재한일본인 집거지
3.참고문헌
본문내용
영향을 받아 재한일본인들도 네트워크구축과 더불어 일본인공동체나 단체들도 하나둘씩 생겨나기 시작했다. 대표적 단체로는 서울 재팬클럽(SJC), 일본인 교회, 일본인학교 등이 있다. 이 지역은 이미 2006년도에 1,324명의 일본인들이 거주하며 대부분이 상사 주재원, 대사관 직원과 그 가족들이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정중규, 「이촌전략정비구역 한강공공성회복 시동」, 『제 40차 서울특별시도시, 건축공동위원회』, 2009.
임영언, 야마모토노부히토, 「재한일본인의 이주역사와 동부이촌동 일본인집거지 형성배경 고찰」,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2011.
임영언, 허성태, 「재한일본인의 집거지 공동체 형성과 디아스포라적 문화의 특성 고찰」, 『동북아연구(구 통일문제연구)』 , 27 권 , 2 호,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 2012.
이지혜, 「한강변 주거경관의 현대적 변천 과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한순희, 「현대주택의 주거기능에 관한 조사연구 - 용산구 동부 이촌동 아파트 주부를 대상으로」, 『토지행정논문편람 1권 0호』, 한국토지행정학회, 1983.
한신정, 「동부이촌동 보행자공간의 확장에 관한 소고」, 홍익대학교, 2003.
<<참고문헌>>
정중규, 「이촌전략정비구역 한강공공성회복 시동」, 『제 40차 서울특별시도시, 건축공동위원회』, 2009.
임영언, 야마모토노부히토, 「재한일본인의 이주역사와 동부이촌동 일본인집거지 형성배경 고찰」,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2011.
임영언, 허성태, 「재한일본인의 집거지 공동체 형성과 디아스포라적 문화의 특성 고찰」, 『동북아연구(구 통일문제연구)』 , 27 권 , 2 호,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 2012.
이지혜, 「한강변 주거경관의 현대적 변천 과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한순희, 「현대주택의 주거기능에 관한 조사연구 - 용산구 동부 이촌동 아파트 주부를 대상으로」, 『토지행정논문편람 1권 0호』, 한국토지행정학회, 1983.
한신정, 「동부이촌동 보행자공간의 확장에 관한 소고」, 홍익대학교,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