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현대의 서양문화 C형 공공미술 장소특수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통대 현대의 서양문화 C형 공공미술 장소특수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서론

본론
1. 기본 개념
2. 일반적인 미술과 공공미술의 (개념적)차이
3. 공공미술과 공익미술
4. 공공미술 프로젝트 체험하기
5. 현대사회에서의 공공미술의 현상
6, 장소특수성이 잘 드러난 공공조형물 사례 ‘유럽 홀로코스트 관련 조형물’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에서도 전체 유태인의 거의 50%가 죽임을 당했다. 희생자 수가 비교적 적었던 나라는 불가리아. 덴마크, 이탈리아, 프랑스, 노르웨이였다. 가장 많은 포로들이 죽은 강제수용소는 아우슈비츠로서 1백40만 명이었다. 다음이 트레블린카로 87만명, 이어서 벨체크 60만명, 바드다네크 36만명, 헬름노 32만명, 소비보르 25만명의 순서이다. 이들을 합하면 3백80만명 이상이 된다. 그중에서 80-90%를 유태인으로 보고 있다. 가스실이 있는 7개 강제수용소에서 죽은 유태인의 합계는 나치 홀로코스트로 희생된 전체 유태인의 절반 이상이 된다. 폴란드의 유태인들은 거의 모두 집단수용소에서 죽었다.
사실상 전 유럽이 홀로코스트의 무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광범위하고 철저한 학살
행위로 유럽 전역에 이러한 유태인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한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
결론
공공미술은 공공장소에서의 장소특수성과 조응하는 미술개념이다. 공공장소는 다양한 주체들의 이해와 요구가 집결하는 공간이자 서로 다른 감성과 정서가 공존하는 공간이다. 따라서 공공장소는 특정한 미학적 가치가 지배하는 공간이라기보다는 그 장소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차이를 인정하는 공존의 미학이 존재하는 공간이다. 그런 점에서 공공미술은 배제의 미학이 아니라 공존의 미학을 추구한다. 그런데 공공장소에서의 예술적 소통을 매개하는 공공미술은 전근대와 근대, 그리고 탈근대 시대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매우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전근대 시대의 공공장소는 특정한 지배자가 독점하는 공간이었지만 근대 시대의 공공장소는 시민 다수가 공유하는 공간으로 변화하였다. 따라서 전근대 시대의 공공미술은 권력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것이었지만, 근대시대의 공공미술은 예술 자체의 미학적 논리에 충실한 자율적 영역의 그것이었다.
하지만 아름다움만으로 예술의 본령을 다했다고 할 수는 없다. 작가의 관점에 따라 다르겠지만 역사적, 사회적 진실의 조명 또한 예술의 테제로서 존재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유럽에서 벌어진 끔찍한 만행과 그로인한 수많은 사람들의 불행을 기억하고 다시는
그와 같은 일이 벌어지지 않기를 염원하는 일은 이런 점에서 지역과 세대 그리고 역사적 경험을 초월하여 인류 보편적 가치인 인권과 생명 존중이라는 불변의 가치를 일깨우고 있다.
참고문헌
현대의 서양문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5
김정곤 , 루이스칸의 보자르적 해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05
고봉만, 프랑스 문화예술 악의 꽃에서 샤넬 No.5까지, 한길사 2001
오덕성역, 서양건축이야기 빌 리제베로, 한길아트 2000
심우갑,조희철 역, 서양건축사 클라센, 아키그램 2003
이강업 진경돈, 서양현대건축사, 도서출판서우 2000
수잔 레이시(2010)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 : 지형그리기, 문화과학사
임근혜(2009) 차조의 제국 : 영국현대미술의 센세이션, 지안출판사
박삼철(2006) 왜 공공미술인가, 학고재
토머스 크로(2005) 대중문화 속의 현대미술, 아트북스
김문석, 공공을 위한 디자인 예술, 한국학술정보, 2011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10.02
  • 저작시기201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30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