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진화의 이미지들
2. 진화론의 허구
3. 창조 설계의 증거들
4. 느낀점
2. 진화론의 허구
3. 창조 설계의 증거들
4. 느낀점
본문내용
까지 했다. 자신의 이론을 너무나 확신한 나머지 각 동물의 배아를 따로 그릴 필요조차 없다고 생각한 것이다. 또 실제보다 더 비슷하게 보이게 하기 위해 그림을 조작하기도 했다. 이런 사실은 1860년대 후반 헤켈의 동료들에 의해 폭로되었다. 실제로 단계 초기의 배아들은 훨씬 서로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헤켈의 배아그림들은 중간단계에 해당하는 것이다. 물론 중간 단계에 접어들면 비슷해지기는 하지만 헤켈이 주장했던 정도의 유사성은 어림도 없다. 그 다음 과정에 이르면 배아들은 다시 확연히 달라진다.
4) 네 번째 이미지: 잃어버린 연결고리 시조새 화석
1861년 과학자들은 독일의 한 채석장에서 시조새의 화석을 발굴했다. 과학자들은 이 시조새가 어류와 파충류의 중간종으로 파충류에서 조류로 진화하는 연결고리라고 굳게 믿었다. 그러나 시조새는 절대로 중간종이 아니다. 오늘날에도 오리너구리 같은 이상한 동물들이 있다. 그러나 이들을 중간종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다. 별개의 종의 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볼 뿐이다. 시조새는 절대로 현대 조류의 조상이 아니다. 고생물학자들은 그 점에 대해 대체로 동의하고 있다. 1985년 켄자스 대학의 고생물학자 래리 마틴은 ‘시조새는 현대 조류이 조상이 아니라 완전히 멸종한 조류이 일종’이라고 말했다. 설령 시조새가 중간 생물로 판명되었다 하더라도 그것은 다윈주의를 증명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다윈의 설명대로 파충류에서 조류로 진화되었다면 수 많은 화석이 발견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그러한 화석은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몇 년 전 미국 국립지리학회는 애리조나의 한 광물전시회에서 구입한 화석이 실제로 날 수 있었던 조류와 ‘육상 공룡 사이의 잃어버린 연결고리’라고 발표했다. 그들이 ‘아르케오랍토르’라고 부른 그 화석에는 공룡의 꼬리와 새의 앞날개가 함께 있었다. 1999년에 ?내셔널지오그라픽?지는 이를 근거로 깃털 달린 공룡이 첫 번째 새의 조상이라는 새로운 증거에 관한 기사를 실었다. 하지만 문제는 그것이 조작품이었다는 것이다. 한 중국인 고생물학자가 누군가 원시 새에다 공룡의 꼬리를 붙였다는 걸 증명했다. 이러한 사기극은 빙산의 일각에 지나지 않는다. 화석 전시회에 가면 어느 것이 위조품이고, 어느 것이 진짜 화석인지 분간하기가 어려울 정도이다.
1891년과 1892년에 네덜란드의 과학자 유진 듀보아가 1891년과 1892년에 인도네시아의 한 섬에서 발굴 작업을 하는 도중 강기
4) 네 번째 이미지: 잃어버린 연결고리 시조새 화석
1861년 과학자들은 독일의 한 채석장에서 시조새의 화석을 발굴했다. 과학자들은 이 시조새가 어류와 파충류의 중간종으로 파충류에서 조류로 진화하는 연결고리라고 굳게 믿었다. 그러나 시조새는 절대로 중간종이 아니다. 오늘날에도 오리너구리 같은 이상한 동물들이 있다. 그러나 이들을 중간종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다. 별개의 종의 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볼 뿐이다. 시조새는 절대로 현대 조류의 조상이 아니다. 고생물학자들은 그 점에 대해 대체로 동의하고 있다. 1985년 켄자스 대학의 고생물학자 래리 마틴은 ‘시조새는 현대 조류이 조상이 아니라 완전히 멸종한 조류이 일종’이라고 말했다. 설령 시조새가 중간 생물로 판명되었다 하더라도 그것은 다윈주의를 증명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다윈의 설명대로 파충류에서 조류로 진화되었다면 수 많은 화석이 발견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그러한 화석은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몇 년 전 미국 국립지리학회는 애리조나의 한 광물전시회에서 구입한 화석이 실제로 날 수 있었던 조류와 ‘육상 공룡 사이의 잃어버린 연결고리’라고 발표했다. 그들이 ‘아르케오랍토르’라고 부른 그 화석에는 공룡의 꼬리와 새의 앞날개가 함께 있었다. 1999년에 ?내셔널지오그라픽?지는 이를 근거로 깃털 달린 공룡이 첫 번째 새의 조상이라는 새로운 증거에 관한 기사를 실었다. 하지만 문제는 그것이 조작품이었다는 것이다. 한 중국인 고생물학자가 누군가 원시 새에다 공룡의 꼬리를 붙였다는 걸 증명했다. 이러한 사기극은 빙산의 일각에 지나지 않는다. 화석 전시회에 가면 어느 것이 위조품이고, 어느 것이 진짜 화석인지 분간하기가 어려울 정도이다.
1891년과 1892년에 네덜란드의 과학자 유진 듀보아가 1891년과 1892년에 인도네시아의 한 섬에서 발굴 작업을 하는 도중 강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