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홈플러스 기업소개
(1) 홈플러스 기업개요
(2) 홈플러스 SWOT분석
2. 홈플러스의 한국시장 성공요인
3. 홈플러스 업계2위등극의 원동력
4. 홈플러스 한국시장 경영전략
5. 물류전략
6. 홈플러스 마케팅전략
(1) STP분석
(2) 서비스 마케팅전략
(3) 고객관리전략 (CRM전략)
(4) 차별화 마케팅전략
7. 홈플러스의 경영성과
8. 결론
(1) 홈플러스 기업개요
(2) 홈플러스 SWOT분석
2. 홈플러스의 한국시장 성공요인
3. 홈플러스 업계2위등극의 원동력
4. 홈플러스 한국시장 경영전략
5. 물류전략
6. 홈플러스 마케팅전략
(1) STP분석
(2) 서비스 마케팅전략
(3) 고객관리전략 (CRM전략)
(4) 차별화 마케팅전략
7. 홈플러스의 경영성과
8. 결론
본문내용
플러스가 생각하는 존경받는 기업의 두 번째 얼굴은 사회 가치를 실현하는 ‘기여의 얼굴’이다.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시장가치를 높이는 것만으로는 존경받는 기업이 될 수 없다라는 것을 알기에 시장 가치와 더불어 사회공헌활동, 정도경영, 경제, 산업 발전에의 기여, 지역사회 기여 등의 사회 가치를 실현하고자 한다. 홈플러스가 꿈꾸는 큰 바위 얼굴의 꿈이 기업 지속가능경영의 새로운 모델이 되어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에 최선을 다하는 따뜻한 세상을 만들어 나갔으면 좋겠다 말하고 있다.
3. 홈플러스 업계2위등극의 원동력
다음으로 홈플러스가 현재 시장점유율 2위를 가지게 한 경영전략의 원동력이 무엇인지 살펴보려 한다. 홈플러스가 취한 경영전략을 핵사곤 경영전략이라고 말하는데 여기에는 창조, 차별화, 혁신, 역량, 협력, 사회공헌 6가지의 가치중심 경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에 따른 슬로건은 “Blue Ocean Strategy(Create or Die) : 시장에서 이기는 가장 탁월한 전략은 싸우지 않고 이기거나 덜 싸워서 이기는 것이다”, “Blue Land Strategy(Differentiate or Die) : 시장에서 싸우지 않을 수 없을 때는 싸워서 이겨야한다”, “Blue Sky Strategy(Innovate or Die) : 시장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가장 경쟁력 있는 자원의 뒷받침이 필요하다”이다.
첫째로창조란, Blue Ocean Strategy(Create or Die)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 자전거 이론을 개발한 것인데 이는 쇼핑과 생활 서비스의 결합, 지역 커뮤니티 센터 역할, 한국 유통산업 문화를 선도하는 것이다. 옆의 그림을 참고하면 자전거 이론이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한눈에 이해가 될 것이다.
그리고 창조란 새로운시장을 창출하는 것 이외에도 Blue Ocean 확대하는 것도 포함한다. 여기서 말하는 Blue Ocean을 확대하려는 이유는 홈플러스가 Red Ocean 화가 되었을 때를 대비하고자 하는 바이다. 옆으로 그림이 나타내는 바는 현재 홈플러스가 Red Ocean 화가 되었을 때 다른 신유통 서비스 사업(소매 금융, 리테일 서비스, 인터넷 쇼핑 등) 및 생활 서비스(브랜드 테넌트, 문화센터, 푸드코트, 스포츠 시설, 생활 편의시설)와 신수종 사업(인터넷, 익스프레스 등)을 결합하는 것으로 Red Ocean 화가 되었을 때의 대비책을 세우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사업과 결합을 통해 Blue Ocean을 확대하는 전략을 창조라 한다.
둘째로 차별화란, Blue Land Strategy(Differentiate or Die) 기존 시장에서 우위를 확보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대표적인 예는 싸워서 이기는 ‘T 모델\'인데 이는 시장과 고객을 이해를 시장만족과 고객만족을 이뤄냄으로써 다른 기업들과의 차별화를 두는 것이며 이러한 차별화를 통해 기존 시장에서 우위를 확보 및 유지함으로써 기업경쟁력을 높이는 것이다.
셋째로 혁신이란, Blue Sky Strategy(Innovate or Die) 내부 프로세스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즉, 경쟁력 있는 사업 구조를 통해 고객에 대한 투자를 증대시키고 이러한 투자를 통해 매출을 신장시켜 기업의 높은 성장을 이루어 수익성을 향상시키는 것인데 이는 곧 전방위 가치혁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강화를 통해서 경영의 선순환이 이루어지고 이는 전방위 경영혁신(TOWBID)의 기본바탕이 된다. 여기서 T는 Technology for Less, O는 Operate for Less, W는 Work for Less를 말하는데 이러한 활동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절감을 함으로써 기업 이익을 높이는 것이다. B는 Buy for Less Sell for Less를 말하는데 영업할동을 통해 적은 금액을 통해 구입해 적은 금액에 판매하여 고객만족을 이루어 매출 신장을 시키는 것이다. I는 Invest for Less를 D는 Distribute for Less를 말한다. 결국 이러한 TOWBID 즉, 전방위 경영혁신은 유통경영 혁신프로그램이라 볼 수 있다.
넷째로 역량이란, 경영의 그릇을 만드는 것인데 이는 장기성장을 위한 역량 개발이다. 이러한 역량개발을 위해 점포의 종류를 가치점이 실현되는 하이퍼마켓, 새로운 유통판매점인 익스프레스, 그리고 TOWBID를 활용한 신유통서비스 사업을 준비하고 있으며, 인력 측면으로는 직원들에 대한 교육투자 비용이 매출액 대비 업계 최고로 투자하고 있으며, 탤런트 스파링을 통해 투명한 인재 관리를 하고 있다. 경영구조도 역시 TOWBID를 통해 전방위 경영혁신과 가치중심의 경영혁신을 준비하고 상품면에서는 PB제품을 통해 상품경쟁력을 키워나가고 있다. 물류시스템 측면에서는 세계최고 효율의 물류센터를 짖고, 고객관리, 유통관리 등에 유용한 IT System을 도입하였다. 마지막으로 고객 측면으로는 연간 100회 이상 고객조사, CRM을 통한 타겟 마케팅을 통해 과하적인 분석을 더해 고객이해를통한고객만족실현을위한역량을개발하고있다.
다섯째로 협력이란 상생경영이다. 상생경영의 발전 단계는 위의 그림과 같이 구분이 되는데 업무 중심의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기업 내부정보의 통합과 효율을 극대화 시키며, 고객 및 협력회사의 업무를 통합운영하여 관련된모든전략적파트너와의 업무와 정보의통합 및 동기화를 실현하는단계로 구분된다.
이러한 상생경영 정책은 유통회사가 협력회사가 현재 협업경제 관계에서 더욱 발전, 향후에는 전략적 파트너가 되어 업무 및 정보가 통합되어 모든 비즈니스를 공동으로 한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하는 경영정책이다. 홈플러스에서 실천 중인 대표적인 상생경영 프로그램을 소개하자면 산지 직거래 실시, PB 상품 공동개발, 공동 마케팅 실시, 상품 박람회 개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상생경영 정책 이외에도 다른 협력 정책이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 밴더 컨퍼런스, 밴퍼 파이낸싱, 협력회사 품질관리시스템 지원이 있다. 밴더 컨퍼런스는 윈윈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홈프러스와 협력회사의 미래와 비전을 함께 공유하며 동반자적 관계의 중요성을 재차 인식해 더욱 공고한 상생관계를 구
3. 홈플러스 업계2위등극의 원동력
다음으로 홈플러스가 현재 시장점유율 2위를 가지게 한 경영전략의 원동력이 무엇인지 살펴보려 한다. 홈플러스가 취한 경영전략을 핵사곤 경영전략이라고 말하는데 여기에는 창조, 차별화, 혁신, 역량, 협력, 사회공헌 6가지의 가치중심 경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에 따른 슬로건은 “Blue Ocean Strategy(Create or Die) : 시장에서 이기는 가장 탁월한 전략은 싸우지 않고 이기거나 덜 싸워서 이기는 것이다”, “Blue Land Strategy(Differentiate or Die) : 시장에서 싸우지 않을 수 없을 때는 싸워서 이겨야한다”, “Blue Sky Strategy(Innovate or Die) : 시장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가장 경쟁력 있는 자원의 뒷받침이 필요하다”이다.
첫째로창조란, Blue Ocean Strategy(Create or Die)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 자전거 이론을 개발한 것인데 이는 쇼핑과 생활 서비스의 결합, 지역 커뮤니티 센터 역할, 한국 유통산업 문화를 선도하는 것이다. 옆의 그림을 참고하면 자전거 이론이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한눈에 이해가 될 것이다.
그리고 창조란 새로운시장을 창출하는 것 이외에도 Blue Ocean 확대하는 것도 포함한다. 여기서 말하는 Blue Ocean을 확대하려는 이유는 홈플러스가 Red Ocean 화가 되었을 때를 대비하고자 하는 바이다. 옆으로 그림이 나타내는 바는 현재 홈플러스가 Red Ocean 화가 되었을 때 다른 신유통 서비스 사업(소매 금융, 리테일 서비스, 인터넷 쇼핑 등) 및 생활 서비스(브랜드 테넌트, 문화센터, 푸드코트, 스포츠 시설, 생활 편의시설)와 신수종 사업(인터넷, 익스프레스 등)을 결합하는 것으로 Red Ocean 화가 되었을 때의 대비책을 세우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사업과 결합을 통해 Blue Ocean을 확대하는 전략을 창조라 한다.
둘째로 차별화란, Blue Land Strategy(Differentiate or Die) 기존 시장에서 우위를 확보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대표적인 예는 싸워서 이기는 ‘T 모델\'인데 이는 시장과 고객을 이해를 시장만족과 고객만족을 이뤄냄으로써 다른 기업들과의 차별화를 두는 것이며 이러한 차별화를 통해 기존 시장에서 우위를 확보 및 유지함으로써 기업경쟁력을 높이는 것이다.
셋째로 혁신이란, Blue Sky Strategy(Innovate or Die) 내부 프로세스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즉, 경쟁력 있는 사업 구조를 통해 고객에 대한 투자를 증대시키고 이러한 투자를 통해 매출을 신장시켜 기업의 높은 성장을 이루어 수익성을 향상시키는 것인데 이는 곧 전방위 가치혁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강화를 통해서 경영의 선순환이 이루어지고 이는 전방위 경영혁신(TOWBID)의 기본바탕이 된다. 여기서 T는 Technology for Less, O는 Operate for Less, W는 Work for Less를 말하는데 이러한 활동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절감을 함으로써 기업 이익을 높이는 것이다. B는 Buy for Less Sell for Less를 말하는데 영업할동을 통해 적은 금액을 통해 구입해 적은 금액에 판매하여 고객만족을 이루어 매출 신장을 시키는 것이다. I는 Invest for Less를 D는 Distribute for Less를 말한다. 결국 이러한 TOWBID 즉, 전방위 경영혁신은 유통경영 혁신프로그램이라 볼 수 있다.
넷째로 역량이란, 경영의 그릇을 만드는 것인데 이는 장기성장을 위한 역량 개발이다. 이러한 역량개발을 위해 점포의 종류를 가치점이 실현되는 하이퍼마켓, 새로운 유통판매점인 익스프레스, 그리고 TOWBID를 활용한 신유통서비스 사업을 준비하고 있으며, 인력 측면으로는 직원들에 대한 교육투자 비용이 매출액 대비 업계 최고로 투자하고 있으며, 탤런트 스파링을 통해 투명한 인재 관리를 하고 있다. 경영구조도 역시 TOWBID를 통해 전방위 경영혁신과 가치중심의 경영혁신을 준비하고 상품면에서는 PB제품을 통해 상품경쟁력을 키워나가고 있다. 물류시스템 측면에서는 세계최고 효율의 물류센터를 짖고, 고객관리, 유통관리 등에 유용한 IT System을 도입하였다. 마지막으로 고객 측면으로는 연간 100회 이상 고객조사, CRM을 통한 타겟 마케팅을 통해 과하적인 분석을 더해 고객이해를통한고객만족실현을위한역량을개발하고있다.
다섯째로 협력이란 상생경영이다. 상생경영의 발전 단계는 위의 그림과 같이 구분이 되는데 업무 중심의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기업 내부정보의 통합과 효율을 극대화 시키며, 고객 및 협력회사의 업무를 통합운영하여 관련된모든전략적파트너와의 업무와 정보의통합 및 동기화를 실현하는단계로 구분된다.
이러한 상생경영 정책은 유통회사가 협력회사가 현재 협업경제 관계에서 더욱 발전, 향후에는 전략적 파트너가 되어 업무 및 정보가 통합되어 모든 비즈니스를 공동으로 한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하는 경영정책이다. 홈플러스에서 실천 중인 대표적인 상생경영 프로그램을 소개하자면 산지 직거래 실시, PB 상품 공동개발, 공동 마케팅 실시, 상품 박람회 개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상생경영 정책 이외에도 다른 협력 정책이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 밴더 컨퍼런스, 밴퍼 파이낸싱, 협력회사 품질관리시스템 지원이 있다. 밴더 컨퍼런스는 윈윈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홈프러스와 협력회사의 미래와 비전을 함께 공유하며 동반자적 관계의 중요성을 재차 인식해 더욱 공고한 상생관계를 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