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thophysiology
-Manifestations
Diagnostic Test
-Laboratory Test
-Treatment
-Complication
-Nursing Care
-Manifestations
Diagnostic Test
-Laboratory Test
-Treatment
-Complication
-Nursing Care
본문내용
esponses (evaluation)
1. 환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안위를 증진과 기분전환을 위한 간호를 수행한다.
3. 베개나 부목을 사용하거나, 침대를 조절하여 통증부위를 지지해주고,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도와준다.
4.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고 작용/부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5. 통증의 정도 및 양상을 사정한다.
6. 이완요법을 지도한다.
7. 통증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고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환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8. 통증경감을 위해 편안하고 안정된 분위기의 병실을 제공한다.
1. 매일 AM10, PM1, PM7에 활력징후를 측정하도록 한다.
2. 3일(아침)마다 등마사지를 실시하도록 한다.
3. 30도 정도 상승시킨 침상발치에 베개를 놓고 발을 올리도록 한다.
4. 진통제를 투여하고 난후 진통제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5. 통증전후의 얼굴표정, 태도 등을 사정하여 통증의 정도를 알고 NRS를 측정하도록 한다.
6. 통증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심호흡과 연상요법을 지도한다.
7. 진통제를 투여하고 난 후 통증의 원인, 지속시간 등을 제공한다.
8. 환자의 침상에 ‘안정’표시를 달아주고 보호자에게 말씀드린다.
1. 정기적인 활력징후는 정상이었다.
2. 등마사지로 안위증진 뿐 아니라 욕창 방지에도 도움이 되었다. (마사지는 피부의 대섬유를 자극시켜 spinal cord의 관문을 닫게 하고 근육을 이완시키며, 진정작용을 한다.)
3. 통증 감소 뿐 아니라 혈액순환에 도움이 되었다. (통증부위의 혈액순환을 왕성하게 하여 histamine, bradykinin, prostaglandin 등을 제거하여 통증을 적게 한다.)
4. 진통제에 작용에 대해 알고 난 후 진통제 투여 후 통증호소시간이 줄었지만 부작용에 대한 걱정이 생겼다.
5. 통증 지수가 감소하였다.(5점→4점)
6. 수행율 30%로 빠르고 지수가 큰 통증에는 시행하지 못했다.
7. 통증 호소 횟수가 줄었다. (빔증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고 불안을 감소시킨다.)
8. 1인실이 아니라 주위 다른 환자들에 의해 실행의 어려움이 있었다.
Summarize impressions of patient progress toward outcomes:
처음 환자의 통증조절 방법은 단지 IV나 경구를 통해 진통제를 먹는 것뿐 이였으며 그 진통이 ‘어떻게’, ‘왜’오는 지에 대해 잘 몰랐다. 특히 진통제를 복용하고 나서도 진통제의 효과가 ‘언제’부터 나타나는지에 대한 지식이 없어 더 불안해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환자의 초기 통증시에 미리 진통제를 처방하도록 돕고 통증을 줄일 수 있는 체위변경, 이완요법으로 인해 통증 내성이 증가하였고 그 결과 통증 지수가 감소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환자의 통증을 호소할 때 옆에서 지지해 줄 수 없었던 것이 아쉽다.
Problem No. 2: 식욕부족 관련된 영양부족
Behavioral Outcome Objective(s): The patient will...
대상자는 한달 이내에 체중을 증가할 것 이다. on the day of care.
Nursing Plan
Nursing interventions
Patient responses (evaluation)
1. 자주 체중을 측정한다.
2.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
3. 처치나 투약으로 인해 식욕을 방해하는 것을 피하도록 한다.
4. 영양 상태 사정한다.
5. 식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6. 자주 소량씩 먹도록 한다.
7. 먹을 때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8. 비경구 영양 및 수분과 전해질을 정맥으로 투여한다.
1. 3일마다 아침10시에 체중을 잰다.
2. 매일 저녁 7시에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
3. 식욕이 떨어지는 약이 있는지 확인한다.
4. 식사력 및 식사양상, 피부상태 등을 사정한다.
5. 병실을 청결히 하도록 하고 월요일 아침에 구강간호를 실시한다.
6. 영양지원팀과 상의하여 현재의 식사가 소량씩 여러 번 나눠서 먹을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개선한다.
7. 파울러씨체위로 먹도록 하고 식후 30분동안 유지하도록 한다.
8. 정맥으로 영양, 수분, 전해질을 보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주치의와 간호사와 상의한다.
1. 2kg의 체중증가가 있으나 대상자의 의견으로 계획만큼 자주 체중을 재지 못 하였다.(요구 대사량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체중이 감소하므로 체중을 측정하는 것은 영양뿐 아니라 체액손실도 알 수 있다.)
2. 섭취량보다 배설량이 많았다.
3. 현재 복용 중인 신경염완화제(Thioctacid)의 부작용이 오심, 구토를 유발한다고 하나 아직 이상 증세가 없으시고 다른 복용 중인 약은 식욕과는 무관하였다.(약 중에는 속이 매스껍고 구토나 구역을 유발하여 식욕을 떨어뜨릴 수도 있으며 통증이나 피로 또한 식욕을 저하시킨다.)
4. 식사시 다 드시는 법이 없고 Tube를 사용하는 것에 아직 약간의 거부감이 있으셨다. 또한 피부는 거칠고 깨끗하지 못하였다. (영양이 결핍되면 피부가 거칠어지고 피하지방층이 얇아지며 근육의 긴장성이 떨어지고 잇몸이 붓고 균열이 온다.)
5. 구강간호실시 후 점심식사의 섭취량이 더 많아지셨다.(구강청결은 미각을 증시키기고 불쾌한 환경, 소리, 냄새는 식욕을 저하시킨다.)
6. 경관유동식이며 위장관영양 중이시기 때문에 가능하나 환자께서 좋아하지 않으셔서 수행하기 어려웠다.
7. 식사 후 소화에 도움될 뿐 아니라 식사 때 기도확보에도 도움이 되었다.
8. 간호사 선생님께 정맥으로 공급할 수 있는지에 여부를 전해드렸다.
Summarize impressions of patient progress toward outcomes:
병원에 입원하고 난 후 식욕이 저하시되어 식사를 잘 하시지 못하였다. 그러나 간호 중재로 식사양상, 식사력 등을 관찰하고 사정하여 현 식사에 반영하였으며 구강간호 등을 실시하여 결국 2kg의 체중증가를 보이셨다. 이 간호계획과 중재, 평가에서 아쉬웠던 것은 부작용에 식욕을 저하시키는 약이 있었지만 중요한 약이라 제외시키지 못하였으며 당뇨와 경관유동식으로 좋아하는 음식을 드실 수 없어 제약이 있었다는 것이다.
1. 환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안위를 증진과 기분전환을 위한 간호를 수행한다.
3. 베개나 부목을 사용하거나, 침대를 조절하여 통증부위를 지지해주고,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도와준다.
4.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고 작용/부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5. 통증의 정도 및 양상을 사정한다.
6. 이완요법을 지도한다.
7. 통증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고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환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8. 통증경감을 위해 편안하고 안정된 분위기의 병실을 제공한다.
1. 매일 AM10, PM1, PM7에 활력징후를 측정하도록 한다.
2. 3일(아침)마다 등마사지를 실시하도록 한다.
3. 30도 정도 상승시킨 침상발치에 베개를 놓고 발을 올리도록 한다.
4. 진통제를 투여하고 난후 진통제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5. 통증전후의 얼굴표정, 태도 등을 사정하여 통증의 정도를 알고 NRS를 측정하도록 한다.
6. 통증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심호흡과 연상요법을 지도한다.
7. 진통제를 투여하고 난 후 통증의 원인, 지속시간 등을 제공한다.
8. 환자의 침상에 ‘안정’표시를 달아주고 보호자에게 말씀드린다.
1. 정기적인 활력징후는 정상이었다.
2. 등마사지로 안위증진 뿐 아니라 욕창 방지에도 도움이 되었다. (마사지는 피부의 대섬유를 자극시켜 spinal cord의 관문을 닫게 하고 근육을 이완시키며, 진정작용을 한다.)
3. 통증 감소 뿐 아니라 혈액순환에 도움이 되었다. (통증부위의 혈액순환을 왕성하게 하여 histamine, bradykinin, prostaglandin 등을 제거하여 통증을 적게 한다.)
4. 진통제에 작용에 대해 알고 난 후 진통제 투여 후 통증호소시간이 줄었지만 부작용에 대한 걱정이 생겼다.
5. 통증 지수가 감소하였다.(5점→4점)
6. 수행율 30%로 빠르고 지수가 큰 통증에는 시행하지 못했다.
7. 통증 호소 횟수가 줄었다. (빔증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고 불안을 감소시킨다.)
8. 1인실이 아니라 주위 다른 환자들에 의해 실행의 어려움이 있었다.
Summarize impressions of patient progress toward outcomes:
처음 환자의 통증조절 방법은 단지 IV나 경구를 통해 진통제를 먹는 것뿐 이였으며 그 진통이 ‘어떻게’, ‘왜’오는 지에 대해 잘 몰랐다. 특히 진통제를 복용하고 나서도 진통제의 효과가 ‘언제’부터 나타나는지에 대한 지식이 없어 더 불안해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환자의 초기 통증시에 미리 진통제를 처방하도록 돕고 통증을 줄일 수 있는 체위변경, 이완요법으로 인해 통증 내성이 증가하였고 그 결과 통증 지수가 감소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환자의 통증을 호소할 때 옆에서 지지해 줄 수 없었던 것이 아쉽다.
Problem No. 2: 식욕부족 관련된 영양부족
Behavioral Outcome Objective(s): The patient will...
대상자는 한달 이내에 체중을 증가할 것 이다. on the day of care.
Nursing Plan
Nursing interventions
Patient responses (evaluation)
1. 자주 체중을 측정한다.
2.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
3. 처치나 투약으로 인해 식욕을 방해하는 것을 피하도록 한다.
4. 영양 상태 사정한다.
5. 식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6. 자주 소량씩 먹도록 한다.
7. 먹을 때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8. 비경구 영양 및 수분과 전해질을 정맥으로 투여한다.
1. 3일마다 아침10시에 체중을 잰다.
2. 매일 저녁 7시에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
3. 식욕이 떨어지는 약이 있는지 확인한다.
4. 식사력 및 식사양상, 피부상태 등을 사정한다.
5. 병실을 청결히 하도록 하고 월요일 아침에 구강간호를 실시한다.
6. 영양지원팀과 상의하여 현재의 식사가 소량씩 여러 번 나눠서 먹을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개선한다.
7. 파울러씨체위로 먹도록 하고 식후 30분동안 유지하도록 한다.
8. 정맥으로 영양, 수분, 전해질을 보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주치의와 간호사와 상의한다.
1. 2kg의 체중증가가 있으나 대상자의 의견으로 계획만큼 자주 체중을 재지 못 하였다.(요구 대사량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체중이 감소하므로 체중을 측정하는 것은 영양뿐 아니라 체액손실도 알 수 있다.)
2. 섭취량보다 배설량이 많았다.
3. 현재 복용 중인 신경염완화제(Thioctacid)의 부작용이 오심, 구토를 유발한다고 하나 아직 이상 증세가 없으시고 다른 복용 중인 약은 식욕과는 무관하였다.(약 중에는 속이 매스껍고 구토나 구역을 유발하여 식욕을 떨어뜨릴 수도 있으며 통증이나 피로 또한 식욕을 저하시킨다.)
4. 식사시 다 드시는 법이 없고 Tube를 사용하는 것에 아직 약간의 거부감이 있으셨다. 또한 피부는 거칠고 깨끗하지 못하였다. (영양이 결핍되면 피부가 거칠어지고 피하지방층이 얇아지며 근육의 긴장성이 떨어지고 잇몸이 붓고 균열이 온다.)
5. 구강간호실시 후 점심식사의 섭취량이 더 많아지셨다.(구강청결은 미각을 증시키기고 불쾌한 환경, 소리, 냄새는 식욕을 저하시킨다.)
6. 경관유동식이며 위장관영양 중이시기 때문에 가능하나 환자께서 좋아하지 않으셔서 수행하기 어려웠다.
7. 식사 후 소화에 도움될 뿐 아니라 식사 때 기도확보에도 도움이 되었다.
8. 간호사 선생님께 정맥으로 공급할 수 있는지에 여부를 전해드렸다.
Summarize impressions of patient progress toward outcomes:
병원에 입원하고 난 후 식욕이 저하시되어 식사를 잘 하시지 못하였다. 그러나 간호 중재로 식사양상, 식사력 등을 관찰하고 사정하여 현 식사에 반영하였으며 구강간호 등을 실시하여 결국 2kg의 체중증가를 보이셨다. 이 간호계획과 중재, 평가에서 아쉬웠던 것은 부작용에 식욕을 저하시키는 약이 있었지만 중요한 약이라 제외시키지 못하였으며 당뇨와 경관유동식으로 좋아하는 음식을 드실 수 없어 제약이 있었다는 것이다.
추천자료
송파구 보건소 탐방 보고서
간호학 실습 리포트 - 난소암(Ovarian cancer) 대상자 실습
수술중 간호 case <<제왕절개>> C/sec
만성신부전 케이스입니다.
병원에서 실시하는 검사의 목적, 방법, 간호
[간호학] 뇌경색 투약, 임상결과
고혈합 환자의 치과치료시 주의사항
마취전 환자의 평가 방법 및 처치방법
[눈][안구]눈(안구) 수정체질환(백내장), 눈(안구) 방수 관련 질환(녹내장)의 교육적 조치, ...
내부기관장애의 유형별 특성에 대해 기술
angina pectoris
조산입원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Case Study, 만성신부전증, chronic renal failure, CRF, 인공신장실, AKR, 케이스 스터디, ...
간호,case study,성인(응급실),담석증 (cholelithiasi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