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Paracentesis 복수천자 (기본간호학)
2. Post Liver Bx care 간생검 후 간호
3. 경동맥 화학 색전요법-TACE (성인간호학, 현문사)
4. Hepatoma Patient Care 에서 PEIT care (간외과의 요점과 맹점)
2. Post Liver Bx care 간생검 후 간호
3. 경동맥 화학 색전요법-TACE (성인간호학, 현문사)
4. Hepatoma Patient Care 에서 PEIT care (간외과의 요점과 맹점)
본문내용
열의 적용, 해당부위의 마사지나 운동 등이다. 흉터가 있는 부위를 선호하기도 하는데 이는 그 부위가 통증에 둔감하기 때문이다.
1.Anti-diabetic drug therapy(a.c./p.c.)
당뇨 약은 크게 식전, 식사와함께, 식후복용으로 복용법이 나뉜다.
식전에는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glimepiride(아마릴정)이 있다. 작용시간이 복용 후 1시간이므로 식전에 복용하도록 한다. 만약 식전에 복용하고 식사를 거른다면 저혈당의 위험이 있으므로 식사를 꼭 하도록 한다.
그리고 작용발현시간이 15-30분으로 짧은 glibenclamide(다오닐,유글루콘)은 식후에 복용하도록 한다.
2.Hypoglycemia shock
저혈당이란 당이 70mg/dl이하로 떨어져 몸이 떨리고 심장이 뛰고 땀이 나면서 몸이 불편해지는 것이다. 이것은 혈당을 조절하는 췌장의 기능이 좋지않거나, 당뇨병환자의 잘못된 인슐린투여 또는 식습관으로 인해 저혈당이 오게된다. 혈당이 심하게 떨어지면 뇌는 정상적인 기능을 하기 어려워진다. 혈당이 40mg/dl 근처가 되면 환자는 정신적으로 혼돈을 보이기도 하고 의식이 흐려지기도 한다. 심하면 의식을 잃고 혼수에 빠지게된다.
만약 당뇨병환자가 저혈당의 증상을 경험하게되면 바로 혈당을 측정하고, 결과가 70mg/dl이하이면 탄수화물이 15g정도 함유된 음식을 먹어야한다.
3.DM 환자 skin care
*발톱을 손질한다. 가위는 너무 미끄러워 조직을 손상시키기 쉽다.
티눈이나 가골을 자르지 않는다. 또한 상업적인 제거제는 자극, 감염, 궤양을 일으키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티눈이나 가골이 있을 때는 발 치료 의사에게 진찰을 받아야 한다. 무좀과 내향성 발톱을 치료하기 위해서 처방되지 않은 약품을 사용하지 않는다. 이런 약품은 감염과 궤양을 유도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무좀이나 살 속으로 파고든 발톱이 있으면 의사에게 진찰을 받아야 한다.
무좀을 일으키는 진균은 Trichophyton이나 Epidermophyton Floccosum의 종류이고, 이는 피부뿐 아니라 모발과 발톱에도 침범할 수 있다.
가열 패드와 뜨거운 물병은 물집과 화상을 일으킬 위험이 있으므로 발에 대주는 것을 피해야 한다. 대상자에게 둥근 대님과 고탄력 스타킹을 신는 것을 피하도록 하고 하지와 발에 순환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무릎을 꼬고 앉지 않도록 교육한다.
발에 부종이 있으면 하루에 여러 번 몇 분 동안 둔부 정도 높일고 발을 올린다.
맨발로 다니는 것의 위험에 대해 설명한다. 발의 피부가 손상되고 공중 샤워장 같은 곳에서 무좀이 걸릴 수 있다. 넉넉한 크기의 신발과 스타킹을 신으며 발을 건조시키고 따뜻하게 유지한다. 새 신발을 서서히 적응하여 신는다. 첫날은 30분간 신고, 하루에 약 1시간으로 시간을 늘린다. 부적절하게 꼭 맞는 신발은 발의 문제와 티눈, 가골, 건막류와 물집을 유도하는 주요 원인이다. 신발은 편안하고 꼭 조이지 않게 맞아야 한다.
안전하게 지지해주는 뒷굽이 좋다. 서 있을 때, 대략 엄지발가락과 신발 사이에 1.85cm의 공간이 있어야 한다. (기본간호학)
* 발 궤양의 치료법은 침상안정과 항생제, 변연절제술이다. 상처치유를 촉진시키기 위해 혈당수치를 잘 조절해야 한다.
예방적 발관리는 적절한 씻기, 말리기, 윤활제 바르기이고 매일 발에 발적이나 물집, 갈라진 틈, 피부청결, 궤양등이 있는지 관찰한다. 신발은 발에 잘 맞고 앞이 막혀야 한다. 발톱은 직선으로 다듬어야 한다. - 발관리가 중요(∵말초 순환이 잘 안돼서)
*당뇨환자는 감각장애 및 증가된 감염감수성으로 인해 피부손상을 받기 쉽다. 그러므로 피부상태를 잘 관찰하고 건조한 부위에는 로션을 바른다. 또한 압력받기 쉬운부위에 혈액순환이 잘되도록 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해주고, 긁거나 외상을 입지 않도록 간호한다.
발톱은 일자로 깎아주며 피부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4. 알부민 치료 Albumin therapy
알부민의 가장 큰 역할은 수분을 끌어들이는 힘이 있기 때문에 혈액 속의 수분 함량을 유지하는 일입니다. 그런데, 간경변 환자는 간기능이 떨어져서 알부민을 잘 못 만들기 때문에 혈액 속에 알부민 농도가 저하되어 수분이 혈관 내에 머물지 못하고 주위 조직으로 빠져 나가서 복수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복수가 약으로도 조절되지 않을 정도로 간경변이 진행한 환자에서 알부민은 필수적인 주사제입니다. 다만 작용 기간이 1주 정도로 짧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사용하여야 한다는 점입니다. 알부민 주사제는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자주 사용하는 경우는 경제적으로 부담이 갈 수 있습니다.복수 조절이 안되어 복수를 주사 바늘로 뽑아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복수를 뽑고 난 후, 시간이 지나면 결국은 혈액 속의 수분이 다시 복수로 빠져 나가기 때문에 간성 혼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복수를 뽑는 경우에는 알부민을 동시에 주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encephalopathy
문맥-전신성 뇌질환(portal-systemic encephalopathy, PSE)은 흔히 ‘간성 뇌질환(hepatic encephalopathy)’으로 불리우며 후기 단계의 ‘간성혼수(hepatic coma)\' 로도 알려져있다. 이는 간부전과 간경화증의 임상장애이다. 간성 뇌질환은 의식 수준의 변화, 사고과정의 장애, 신경근육의 기능의 변화와 같은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난다. 뇌질환은 급성으로 조기에 치료하면 회복가능하다.
간성 뇌질환을 일으키는 정확한 기전은 분명하지 않으나 문맥계로부터 우회한 혈액이 전신 순환으로 직접 들어감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장에서 흡수된 독성물질들이 해독되지 않아 대사성 장애를 일으키며 혈중 암모니아 수치를 상승시킨다. 흔히 혈중 암모니아 수치의 상승은 간성 뇌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암모니아 수치가 뇌질환의 유무를 판단하는 명확한 지표는 아니다. 일부 환자는 혈중 암모니아 수치의 두드러진 상승 없이도 순상을 보이기도 하고 암모니아 수치의 상승이 있어도 뇌질환을 보이지 않기도 한다.
문맥-전신성 뇌질환(PSE)은 만성 간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잠행성으로
1.Anti-diabetic drug therapy(a.c./p.c.)
당뇨 약은 크게 식전, 식사와함께, 식후복용으로 복용법이 나뉜다.
식전에는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glimepiride(아마릴정)이 있다. 작용시간이 복용 후 1시간이므로 식전에 복용하도록 한다. 만약 식전에 복용하고 식사를 거른다면 저혈당의 위험이 있으므로 식사를 꼭 하도록 한다.
그리고 작용발현시간이 15-30분으로 짧은 glibenclamide(다오닐,유글루콘)은 식후에 복용하도록 한다.
2.Hypoglycemia shock
저혈당이란 당이 70mg/dl이하로 떨어져 몸이 떨리고 심장이 뛰고 땀이 나면서 몸이 불편해지는 것이다. 이것은 혈당을 조절하는 췌장의 기능이 좋지않거나, 당뇨병환자의 잘못된 인슐린투여 또는 식습관으로 인해 저혈당이 오게된다. 혈당이 심하게 떨어지면 뇌는 정상적인 기능을 하기 어려워진다. 혈당이 40mg/dl 근처가 되면 환자는 정신적으로 혼돈을 보이기도 하고 의식이 흐려지기도 한다. 심하면 의식을 잃고 혼수에 빠지게된다.
만약 당뇨병환자가 저혈당의 증상을 경험하게되면 바로 혈당을 측정하고, 결과가 70mg/dl이하이면 탄수화물이 15g정도 함유된 음식을 먹어야한다.
3.DM 환자 skin care
*발톱을 손질한다. 가위는 너무 미끄러워 조직을 손상시키기 쉽다.
티눈이나 가골을 자르지 않는다. 또한 상업적인 제거제는 자극, 감염, 궤양을 일으키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티눈이나 가골이 있을 때는 발 치료 의사에게 진찰을 받아야 한다. 무좀과 내향성 발톱을 치료하기 위해서 처방되지 않은 약품을 사용하지 않는다. 이런 약품은 감염과 궤양을 유도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무좀이나 살 속으로 파고든 발톱이 있으면 의사에게 진찰을 받아야 한다.
무좀을 일으키는 진균은 Trichophyton이나 Epidermophyton Floccosum의 종류이고, 이는 피부뿐 아니라 모발과 발톱에도 침범할 수 있다.
가열 패드와 뜨거운 물병은 물집과 화상을 일으킬 위험이 있으므로 발에 대주는 것을 피해야 한다. 대상자에게 둥근 대님과 고탄력 스타킹을 신는 것을 피하도록 하고 하지와 발에 순환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무릎을 꼬고 앉지 않도록 교육한다.
발에 부종이 있으면 하루에 여러 번 몇 분 동안 둔부 정도 높일고 발을 올린다.
맨발로 다니는 것의 위험에 대해 설명한다. 발의 피부가 손상되고 공중 샤워장 같은 곳에서 무좀이 걸릴 수 있다. 넉넉한 크기의 신발과 스타킹을 신으며 발을 건조시키고 따뜻하게 유지한다. 새 신발을 서서히 적응하여 신는다. 첫날은 30분간 신고, 하루에 약 1시간으로 시간을 늘린다. 부적절하게 꼭 맞는 신발은 발의 문제와 티눈, 가골, 건막류와 물집을 유도하는 주요 원인이다. 신발은 편안하고 꼭 조이지 않게 맞아야 한다.
안전하게 지지해주는 뒷굽이 좋다. 서 있을 때, 대략 엄지발가락과 신발 사이에 1.85cm의 공간이 있어야 한다. (기본간호학)
* 발 궤양의 치료법은 침상안정과 항생제, 변연절제술이다. 상처치유를 촉진시키기 위해 혈당수치를 잘 조절해야 한다.
예방적 발관리는 적절한 씻기, 말리기, 윤활제 바르기이고 매일 발에 발적이나 물집, 갈라진 틈, 피부청결, 궤양등이 있는지 관찰한다. 신발은 발에 잘 맞고 앞이 막혀야 한다. 발톱은 직선으로 다듬어야 한다. - 발관리가 중요(∵말초 순환이 잘 안돼서)
*당뇨환자는 감각장애 및 증가된 감염감수성으로 인해 피부손상을 받기 쉽다. 그러므로 피부상태를 잘 관찰하고 건조한 부위에는 로션을 바른다. 또한 압력받기 쉬운부위에 혈액순환이 잘되도록 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해주고, 긁거나 외상을 입지 않도록 간호한다.
발톱은 일자로 깎아주며 피부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4. 알부민 치료 Albumin therapy
알부민의 가장 큰 역할은 수분을 끌어들이는 힘이 있기 때문에 혈액 속의 수분 함량을 유지하는 일입니다. 그런데, 간경변 환자는 간기능이 떨어져서 알부민을 잘 못 만들기 때문에 혈액 속에 알부민 농도가 저하되어 수분이 혈관 내에 머물지 못하고 주위 조직으로 빠져 나가서 복수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복수가 약으로도 조절되지 않을 정도로 간경변이 진행한 환자에서 알부민은 필수적인 주사제입니다. 다만 작용 기간이 1주 정도로 짧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사용하여야 한다는 점입니다. 알부민 주사제는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자주 사용하는 경우는 경제적으로 부담이 갈 수 있습니다.복수 조절이 안되어 복수를 주사 바늘로 뽑아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복수를 뽑고 난 후, 시간이 지나면 결국은 혈액 속의 수분이 다시 복수로 빠져 나가기 때문에 간성 혼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복수를 뽑는 경우에는 알부민을 동시에 주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encephalopathy
문맥-전신성 뇌질환(portal-systemic encephalopathy, PSE)은 흔히 ‘간성 뇌질환(hepatic encephalopathy)’으로 불리우며 후기 단계의 ‘간성혼수(hepatic coma)\' 로도 알려져있다. 이는 간부전과 간경화증의 임상장애이다. 간성 뇌질환은 의식 수준의 변화, 사고과정의 장애, 신경근육의 기능의 변화와 같은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난다. 뇌질환은 급성으로 조기에 치료하면 회복가능하다.
간성 뇌질환을 일으키는 정확한 기전은 분명하지 않으나 문맥계로부터 우회한 혈액이 전신 순환으로 직접 들어감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장에서 흡수된 독성물질들이 해독되지 않아 대사성 장애를 일으키며 혈중 암모니아 수치를 상승시킨다. 흔히 혈중 암모니아 수치의 상승은 간성 뇌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암모니아 수치가 뇌질환의 유무를 판단하는 명확한 지표는 아니다. 일부 환자는 혈중 암모니아 수치의 두드러진 상승 없이도 순상을 보이기도 하고 암모니아 수치의 상승이 있어도 뇌질환을 보이지 않기도 한다.
문맥-전신성 뇌질환(PSE)은 만성 간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잠행성으로
추천자료
개인위생-기본간호중재와수기
위암대상자치료및간호
정신간호학 케이스
간호학-간경화 케이스입니당^.^
간호학)파킨슨 질환에 대한 정의, 원인, 증상, 치료방법에 대한 보고서.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위이형성
간호학과 총 실습 소감
정신간호학 케이스 - 정신분열증 (SPR, Schizophrenia)
간호 아이디어 개발
성인간호학, NICU CASE STUDY 경막하출혈
성인간호 만성신부전환자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간호이론3공통)카커프의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1)대인관계이론의 개념 정리 2)만성환자 상담주...
종양간호학 위암의 이론정리 및 위암 치료현황
성인간호학 폐렴 (Pneumonia)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