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수술 종류와 절차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부인과 수술 종류와 절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부인과 수술 routine acting >
< TAH(Total abdominal hysterectomy) >
< TVH(Total vaginal hysterectomy) >
< LAVH(Laparoscopicall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
< Laparoscopy op >
< Hysteroscopy op >
< RAH(Radical abdominal hysterectomy:근치복식자궁절제술) >
< Laparoscopy radical op >
< C-sec(cesarean section) >
< Normal dilevery >
< IVF-ET(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체외수정-배이식 >
< OHSS(ovarian hyper stimulation syndrome) >

본문내용

e Urine을 4회 나가야 함(PRN order acting시켜야함)
(1회 받을 때 마다 culture tube에 따로 받아 번호를 적어 순서대로 벽에 붙여야 함)
⑦ Hematuria 나, voiding difficulty, severe sweating 유무 관찰
(if severe urination difficulty nelaton catheterization)
⑧ sys. BP〈 100거나 pulse 〉100 경우 nottify to Dr.
⑨ 다음날 U/S:ABDOMEN: Kidney F/U
< 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1. 목 적
① 초기 목적
- 심폐 기능유지
- Owygenated blood의 체내전달 유지
② 궁극적 목적
- 심폐기능의 회복은 물론 뇌신경 조직의 손상방지 및 회복을 포함시킨 심폐뇌소생
2. 적용대상
① Unconsciousness
② Inital tonic muscle movement, Rolling back of eyes
③ Loss of femoral & carotid artery pressure
④ Loss of EKG pattern
3. 기본 요소
① 기도(air way) 유지
② 호흡(breathing) 유지
③ 혈액순환(circulation) 유지
4. CPR 방법
◎ 담당 간호사
① 위의 2)에 해당하는 대상자가 있을 경우 v/s 및 의식수준을 사정
② 상대간호사에게 알리고 Dr.에게 notify한다.
③ 환자의 자세를 CPR자세로 똑바로 눕히고 EKG monitoring을 시작
④ 확실한 IV line을 확보
⑤ 의사가 도착할 때가지 인공호흡 및 심장마사지를 한다
⑥ Dr.에 의해 CPR이 시작되었을 경우 asist 하고 상황을 정확하게 기록으로 남긴다
◎ 상대 간호사
① CPR시 필요한 물품을 병실로 옮긴다
(emergency car, portable suction, suction catheter, Klenzo, portable O2 등)
② 필요한 물품들을 setting 한다
(산소와 Ambubag 연결, intubation set 준비 및 지지, suction 준비 및 suction 시행)
③ CPR시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고, 커텐이나 스크린 등으로 환자의 privacy를 지켜주며, 병실 내 다른 환자나 보호자들을 관찰하고 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협조를 구한다
④ Dr.의 order에 따라 Emergency medication을 준비하고 투여한다
⑤ 상황이 종료되면 병실을 정리하고 emergency car 내에 사용한 물품들을 확인하고 정 리한다
※ CPR 기록의 필수항목
① Vital sign (상태악화시, CPR 시작시, CPR 진행중, CPR 시작후)
② Mental state (상태악화시, CPR 시작시, CPR 진행중, CPR 시작후)
③ Pupil 상태 (size, reflex)-(상태악화시, CPR 시작시, CPR 진행중, CPR 시작후)
④ 의사 call (call한 시간, 내용)
⑤ Intubation (Tube size, 고정위치, suction 배출양상)
⑥ Procedure (L-tube, Foley, C-line, 기타)
⑦ Monitoring에 대한 사항 (EKG, SaO2 등)
⑧ 의사처치에 대한 사항 (도착한 시간, ambu bagging, cardiac compression)
⑨ Medication에 대한 사항 (IV bolus, IV connect)
⑩ Transfer 시 (ambu bagging 여부, O2 관련, 동행한 의사, 기타 물품)
⑪ 사망시 (사망선언 시간, 선언 의사, line 정리, 장례식장 간 시간, 보호자 동반 여부)
< 수 혈 >
1. 수혈 전
① Typing cross matching sample를 cosign 하여 채혈함(5cc 이상)
-임병 통해서 나갈 경우 bar code와 채혈 확인자 종이 붙여서 주어야함
② Cross matching은 5일 동안 사용 가능 함
③ Typing 은 2주 동안 사용 가능 함
2. 수혈 중
① 환자번호, 환자 이름, 혈액형, 혈액 번호를 2명의 간호사가 확인
(ENR → 수혈정보 → 혈액 맞추기 → 반드시 사용지 ID를 저장해야 함)
② 활력징후 측정 후, 환자에게 혈액형 문진확인함
③ 수혈의 부작용에 대하여 설명
④ 수혈 set를 연결(연결 시 blood warmer 사용)
⑤ 천천히 수혈함
⑥ 5분 뒤 수혈부작용 관찰하여 charting남기고, 15분 뒤 활력징후와 수혈부작용을 관찰
⑦ 수혈속도를 조정(2시간 이내에 주입)
※ 유의점
① 수혈부작용 관찰시 바로 stop하고 환자상태를 관찰하고 Notify to Dr.
② 수혈시 가능한 20G이상으로 IV line을 확보해서 준다
③ 수혈은 단독 투여(side로 들어가는 모든 수액은 clamp)
④ NPO 중인 환자인 경우 서로 다른 팔에 2개의 IV line을 확보해서 수혈한다
3. 수혈 부작용
부작용 종류
임상 증상
간호 수행
용혈반응
-즉시 나타남
(Rh 인자 부적합 시에 지연될 수 있음)
-작열감, 발열, 오한(40.6℃이상의 체온상승),
흉통, 운동 시 호흡곤란, 두통, 요통, 쇼크
⇒수혈을 중단
⇒처방에 따라 산소, epinephrine,
수액을 공급
알레르기
반응
-ulticaria, 발진, 소양증, 드물게 천식, 폐수종
-안면이나 성문부종(glottal edema),
아나필락틱 쇼크
⇒수혈 중단
⇒항히스타민제를 투여
발열반응
주입 시작 후 1시간 정도에서 열이 나고
오한, 두통, 안면 홍조, 빈맥, 전신 권태감 등의 증상이 8~10시간 동안 지속
⇒수혈 중단
⇒대상자를 덮어주고 해열제 투여
세균성 반응
오한, 열, 저혈압, 건조하고 홍조 띤 피부, 복부와 사지의 통증, 구토 및 혈액이 섞인 설사
⇒수혈 중단
⇒광범위 항생제 투여
순환 과부담
흉부압통, 호흡곤란, 마른 기침,
폐 기저부 나음(rale), 폐수종
⇒수혈 중단 or 천천히 주입
⇒앉은 자세 취해줌
⇒처방이 있으면 순환지혈대를 실시
공기
색전증
청색증, 호흡곤란, 쇼크, 심정지
⇒수혈 중단
⇒머리를 낮추고 왼쪽으로 누임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57페이지
  • 등록일2015.10.20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46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