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구술과 구술문학
Ⅱ. 구술과 구술시학
Ⅲ. 구술과 구술문화
Ⅳ. 구술과 구술사
Ⅴ. 구술과 구술성
Ⅵ. 구술과 사고구술
Ⅶ. 구술과 청취구술교수법
1. 청취 구술 교수법이란
2. 청취, 구술 교수법의 목표와 원칙
3. 청취, 구술 교수법의 주요 수업 절차
참고문헌
Ⅱ. 구술과 구술시학
Ⅲ. 구술과 구술문화
Ⅳ. 구술과 구술사
Ⅴ. 구술과 구술성
Ⅵ. 구술과 사고구술
Ⅶ. 구술과 청취구술교수법
1. 청취 구술 교수법이란
2. 청취, 구술 교수법의 목표와 원칙
3. 청취, 구술 교수법의 주요 수업 절차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어라는 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구술은 구술이 되어지는 상황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구술은 우선 구술자 개인의 언어 행위의 특성을 반영한다. 예를 들면 사회언어학(sociolinguistics)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구술자가 어떤 방언을 쓰는가 또는 어떤 액센트를 가지고 있는가는 구술자의 사회문화적 위치에 대한 많은 정보를 준다. 또한 언어적 행위는 구술자의 계층적 차이, 여성인가, 남성인가, 직업, 세대에 대해서도 많은 정보를 준다. 뿐만 아니라, 문헌에 기록되기 힘든 구술 상황에 동반되는 제스처, 얼굴 표정, 음성의 고저와 떨림 등이 구술에 동반된다(Jackson 1987). 또한 구술은 매우 상황적이고 연행적(performative)이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 무엇 때문에, 구술이 되어지고 있느냐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김성례 1991). 따라서 구술성의 포착은 구술자의 언어 자체와 언어 행위가 이루어지는 상황을 재현하는 것이 된다.
Ⅵ. 구술과 사고구술
사고 구술의 결과를 포트폴리오를 자료 중 한 부류로 기술하고 있음을 이미 위에서 살핀 바 있거니와 이 ‘사고 구술’이란 술어는 독자가 텍스트 중 지정된 부분을 읽고 독자 스스로 의미를 구성하고 사고(思考)한 바를 구두 언어로 표출한 것을 가리킨다. 학생들은 계속 글을 읽어나가면서 거듭 사고 구술을 하게 되는데, 사고를 구두로 표출한 결과는 곧 학생들이 읽기의 과정 속에서 생각하는 행동(reading-thinking behaviors)을 표출해 보인 것이며, 그 결과는 독해 수업의 양부(良否) 등을 판단,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국어 <읽기> 2-2, 제10 단원의 동화 ‘숲 속의 꽃씨 가게’ 중의 한 단락을 읽게 하고, 그 글읽기를 통하여 이루어진 2 학년 학생의 사고 구술 예를 교사가 갖추어진 글로 고친 것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읽은 문장> “이 소식을 듣고, 제일 먼저 새들이 찾아왔습니다.”
<사고 구술> “그 소식은 물론 다람쥐 부부가 꽃씨 가게를 냈다는 소식이지.”
<읽은 문장> “새침데기 콩새는 민들레씨와 나팔꽃씨를 사고, 채송화씨 두 알을 덤으로 얻어갔습니다.”
<사고 구술> “콩새가 어떤 새인지 나는 모르는데.”
<읽은 문장> “부엉이 아저씨는 고개 너머에 있는 밤나무 세 그루가 지난 장마 때 쓰러졌다면서, 싹이 돋은 밤 다섯 톨을 사 가지고 가셨습니다.”
<사고 구술> “그렇지. 미리 싹이 돋게 해 씨앗을 심으면 더 빨리 자라지.”
<읽은 문장> “개미들은 맨드라미씨나 겨자씨 같은 작은 씨를 사고, 오리나 꿩, 비둘기들은 분꽃씨와 완두콩씨를 사 가지고 갔습니다.”
<사고 구술> “개미들은 자기 몸 보다 더 큰 것도 물고 다니던데? 혹시 개미 두 마리가 협동해도 분꽃씨를 못 옮길까?”
<읽은 문장> “이제 가게에는 지난 가을 온 숲을 헤매며 모은 나무 열매와 풀씨만 남았습니다.”
<사고 구술> “과일도 아닌 열매, 아름다운 꽃이 피지도 아니하는 풀씨를 사 갈 동물도 있을까?”
사고 구술 결과의 기술(記述)은 물론 위 예시에서처럼 텍스트와 사고 구술 내용만으로 완결되는 것은 아니다. 교사와 학생이 더불어 사고 구술을 할 경우 위 내용 외에도 필요할 경우 사고 구술을 하는 사이에 이루어진 교사와 학생 사이의 대담 기타의 반응도 정리, 기술되어야 한다.
Ⅶ. 구술과 청취구술교수법
1. 청취 구술 교수법이란
귀에 의한 청취와 입에 의한 발표를 기본으로 하는 외국어 습득의 교수법 또는 학습방법이다.
Audio-lingual method의 주장에는 여러 가지 차이가 있으면서도 직접 교수법의 계열에 속한다고 볼 수 있으며, 구술접근도 여기에 속한다.
2. 청취, 구술 교수법의 목표와 원칙
1) 언어형식, 또는 문형을 중요시한다.
2) 각 언어는 다르며 모국어는 교수법의 목표에 간섭이 된다.
3) 교사의 발음을 포함한 구술은 전부가 모범이어야 하며 따라서 모국어 화자이어야 한다.
4) 언어 학습은 습관형성의 과정이며 반복할수록 습관이 보다 강화되며 학습이 보다 증대된다.
5) 오류 방지가 중요하다.
6) 언어의 실제 사용을 위한 학습이 목표다.
7) 학습자는 구술 또는 비구술의 자극에 반응하도록 학습한다.
8) 학습자에게 미리 생각하는 시간적 여유를 주지 않고 자동적으로 응답하도록 과잉학습을 시킨다.
9) 모국어 습득과정처럼 목표언어 학습을 하며, 따라서 문법규칙을 귀납적이고 무의식으로 익히게 한다.
10) 적극적인 보강은 정확한 습관 발달에 도움이 된다.
11) 학습자의 모국어 습관의 극복이 외국어 교수, 학습의 주요 과제이다.
12) 음성언어가 문자형식보다 기본적이며 우선하다.(듣기-말하기-읽기-쓰기)
3. 청취, 구술 교수법의 주요 수업 절차
1) 새 소재로 문형을 도입하고 제시한다.
2) 외국어만의 사용과 실연, 그림과 실물을 적극적으로 이용한다.
3) 교사는 항시 모형을 적절하게 제시하며 다양성 있는 훈련으로 수업을 즉각 조정한다.
4) 학습자는 제시된 모형 또는 문형을 반복, 학습한다.
5) 어렵고 길거나 복합적인 문형은 역방향 완성, 훈련으로 오류를 즉각 교정한다.
6) 다양한 훈련 양식을 적절하고 신속하게 이용한다.
7) 교사의 구술 단서와 그림 단서 또는 실물을 적절하게 이용한다.
8) 학습자는 일정한 문형을 익히면 그에게 질문을 하여 즉시 응답케 한다.
9) 문법적인 사항은 예문과 훈련을 통해서 귀납적으로 가르친다.
10) 즉각적인 보상이 주어진다.
11) 일정한 문형을 청취와 구술을 통해서 제시하여 훈련하고 숙달시킨 다음에 비로소 문자언어를 도입한다.
참고문헌
김정경(2009) / 자기 서사의 구술시학적 연구 : 여성생애담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류해춘(2003) / 21세기 구술문화에 나타난 웃음의 담론, 성결대학교
임효준(1998) / 초등영어 교수방법 고찰 :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정현규(2010) / 구술과 질적 연구방법론 그리고 재매개,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최홍원(2011) / 사고와 연행의 시각에서 바라본 구술성의 교육적 구도,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함한희(2010) / 구술사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한국구술사학회
Ⅵ. 구술과 사고구술
사고 구술의 결과를 포트폴리오를 자료 중 한 부류로 기술하고 있음을 이미 위에서 살핀 바 있거니와 이 ‘사고 구술’이란 술어는 독자가 텍스트 중 지정된 부분을 읽고 독자 스스로 의미를 구성하고 사고(思考)한 바를 구두 언어로 표출한 것을 가리킨다. 학생들은 계속 글을 읽어나가면서 거듭 사고 구술을 하게 되는데, 사고를 구두로 표출한 결과는 곧 학생들이 읽기의 과정 속에서 생각하는 행동(reading-thinking behaviors)을 표출해 보인 것이며, 그 결과는 독해 수업의 양부(良否) 등을 판단,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국어 <읽기> 2-2, 제10 단원의 동화 ‘숲 속의 꽃씨 가게’ 중의 한 단락을 읽게 하고, 그 글읽기를 통하여 이루어진 2 학년 학생의 사고 구술 예를 교사가 갖추어진 글로 고친 것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읽은 문장> “이 소식을 듣고, 제일 먼저 새들이 찾아왔습니다.”
<사고 구술> “그 소식은 물론 다람쥐 부부가 꽃씨 가게를 냈다는 소식이지.”
<읽은 문장> “새침데기 콩새는 민들레씨와 나팔꽃씨를 사고, 채송화씨 두 알을 덤으로 얻어갔습니다.”
<사고 구술> “콩새가 어떤 새인지 나는 모르는데.”
<읽은 문장> “부엉이 아저씨는 고개 너머에 있는 밤나무 세 그루가 지난 장마 때 쓰러졌다면서, 싹이 돋은 밤 다섯 톨을 사 가지고 가셨습니다.”
<사고 구술> “그렇지. 미리 싹이 돋게 해 씨앗을 심으면 더 빨리 자라지.”
<읽은 문장> “개미들은 맨드라미씨나 겨자씨 같은 작은 씨를 사고, 오리나 꿩, 비둘기들은 분꽃씨와 완두콩씨를 사 가지고 갔습니다.”
<사고 구술> “개미들은 자기 몸 보다 더 큰 것도 물고 다니던데? 혹시 개미 두 마리가 협동해도 분꽃씨를 못 옮길까?”
<읽은 문장> “이제 가게에는 지난 가을 온 숲을 헤매며 모은 나무 열매와 풀씨만 남았습니다.”
<사고 구술> “과일도 아닌 열매, 아름다운 꽃이 피지도 아니하는 풀씨를 사 갈 동물도 있을까?”
사고 구술 결과의 기술(記述)은 물론 위 예시에서처럼 텍스트와 사고 구술 내용만으로 완결되는 것은 아니다. 교사와 학생이 더불어 사고 구술을 할 경우 위 내용 외에도 필요할 경우 사고 구술을 하는 사이에 이루어진 교사와 학생 사이의 대담 기타의 반응도 정리, 기술되어야 한다.
Ⅶ. 구술과 청취구술교수법
1. 청취 구술 교수법이란
귀에 의한 청취와 입에 의한 발표를 기본으로 하는 외국어 습득의 교수법 또는 학습방법이다.
Audio-lingual method의 주장에는 여러 가지 차이가 있으면서도 직접 교수법의 계열에 속한다고 볼 수 있으며, 구술접근도 여기에 속한다.
2. 청취, 구술 교수법의 목표와 원칙
1) 언어형식, 또는 문형을 중요시한다.
2) 각 언어는 다르며 모국어는 교수법의 목표에 간섭이 된다.
3) 교사의 발음을 포함한 구술은 전부가 모범이어야 하며 따라서 모국어 화자이어야 한다.
4) 언어 학습은 습관형성의 과정이며 반복할수록 습관이 보다 강화되며 학습이 보다 증대된다.
5) 오류 방지가 중요하다.
6) 언어의 실제 사용을 위한 학습이 목표다.
7) 학습자는 구술 또는 비구술의 자극에 반응하도록 학습한다.
8) 학습자에게 미리 생각하는 시간적 여유를 주지 않고 자동적으로 응답하도록 과잉학습을 시킨다.
9) 모국어 습득과정처럼 목표언어 학습을 하며, 따라서 문법규칙을 귀납적이고 무의식으로 익히게 한다.
10) 적극적인 보강은 정확한 습관 발달에 도움이 된다.
11) 학습자의 모국어 습관의 극복이 외국어 교수, 학습의 주요 과제이다.
12) 음성언어가 문자형식보다 기본적이며 우선하다.(듣기-말하기-읽기-쓰기)
3. 청취, 구술 교수법의 주요 수업 절차
1) 새 소재로 문형을 도입하고 제시한다.
2) 외국어만의 사용과 실연, 그림과 실물을 적극적으로 이용한다.
3) 교사는 항시 모형을 적절하게 제시하며 다양성 있는 훈련으로 수업을 즉각 조정한다.
4) 학습자는 제시된 모형 또는 문형을 반복, 학습한다.
5) 어렵고 길거나 복합적인 문형은 역방향 완성, 훈련으로 오류를 즉각 교정한다.
6) 다양한 훈련 양식을 적절하고 신속하게 이용한다.
7) 교사의 구술 단서와 그림 단서 또는 실물을 적절하게 이용한다.
8) 학습자는 일정한 문형을 익히면 그에게 질문을 하여 즉시 응답케 한다.
9) 문법적인 사항은 예문과 훈련을 통해서 귀납적으로 가르친다.
10) 즉각적인 보상이 주어진다.
11) 일정한 문형을 청취와 구술을 통해서 제시하여 훈련하고 숙달시킨 다음에 비로소 문자언어를 도입한다.
참고문헌
김정경(2009) / 자기 서사의 구술시학적 연구 : 여성생애담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류해춘(2003) / 21세기 구술문화에 나타난 웃음의 담론, 성결대학교
임효준(1998) / 초등영어 교수방법 고찰 :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정현규(2010) / 구술과 질적 연구방법론 그리고 재매개,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최홍원(2011) / 사고와 연행의 시각에서 바라본 구술성의 교육적 구도,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함한희(2010) / 구술사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한국구술사학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