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보상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석보상절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석보상절

(1) 편찬동기
(2) 완성
(3) 표기
(4) 전본 및 소장처
(5) 가치

釋셕譜봉詳썅節졇第똉九구 (석보상절 제 구)

본문내용

석보상절
(1) 편찬동기
세종이 소헌 왕후의 별세를 슬퍼하여, 그 명복을 빌기 위해 수양대군에게 명하여 엮은 석가 세존의 일대기이다. 서명의 ‘석보’는 석가의 일대기, ‘상절’은 요긴한 것은 상세히, 요긴하지 않은 것은 생략한다는 뜻이고, 편찬동기는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고 대중을 불교에 귀의하게 하기 위한 데 있다.
(2) 완성
석가 세존의 일생의 일을 가려 뽑아 기록한 것이라는 뜻인데, 당나라의 도선등이 역었다는 석가보와 법화경 등의 불경에 나타나는 석가 세존에 관한 기록에서 뽑아 엮은 것이다. 세종 29년(1447년)에 완성했다.
(3) 표기
한자를 먼저 적고 그 다음에 작은 글자의 한글 한자음을 적었다.
동국 정운식 한자음 표기다.
한문을 그대로 번역한 것이 아니라 쉽고 아름다운 우리말 문장으로 다시 쓴 것이다.
(4) 전본 및 소장처
이 책의 분량은 현전하는 권24의 내용으로 미루어 모두 24권이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자는 갑인자로 된 활자본이다. 당시의 활자인쇄술로 미루어 많은 부수가 간행되지 못하였을 것이며, 더구나 임진왜란·병자호란의 두 난리로 인해서 그나마 전해지던 책도 없어져서 현재 초간본은 권6·권9·권13·권19·권23·권24가 각 1책씩 전할 뿐이다. 복각된 중간본도 권3·권11의 2책만 전한다. 권3은 16세기 중엽의 중간목판본으로 천병식(千柄植)이 소장하고 있다.
보물 제523호로 지정된 석보상절은 7책으로 각권의 소장처와 영인상황은 다음과 같다. ① 권6·권9·권13·권19는 초간활자본으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있으며, 한글학회에서 영인(1955)하였다. ② 권11은 16세기 중엽의 중간목판본으로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어문학회에서 영인(1959)하였다. ③ 권23·권24는 초간활자본으로 동국대학교에 소장되어 있으며, 동악어문학회에서 영인(1967)하였다.
(5) 가치
① 불교학적인 면에서 당시의 불교를 조직화한 것으로 조선 초기의 불교학 수준을 말하는 것이며, 최초의 번역불경이라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② 문학적인 면에서 국문으로 된 최초의 산문작품이지만, 문장이 유창하고 세련되어 후대의 고전소설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③ 국어학적으로는 그 풍부한 어휘와 이에 따른 어법·음운·표기법 등 15세기 중엽의 국어연구 및 한자음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④ 서지학적으로는 ≪월인천강지곡≫과 함께 최초의 국문활자본이란 점에서 값진 문화재로서 가치가 인정된다.
釋셕譜봉詳썅節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10.30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59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