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잇소리현상과 사이시옷표기에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잇소리현상과 사이시옷표기에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서론

본론

1. 개념 정의
1) 사잇소리
2) 사이시옷

2. 사잇소리 현상
1) 규칙적 사잇소리현상
2) 불규칙적 사잇소리현상

3. 사이시옷의 표기

4.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의 특징

5.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의 문제점

결론

본문내용

1) 사잇소리
2) 사이시옷
2. 사잇소리 현상
1) 규칙적 사잇소리현상
2) 불규칙적 사잇소리현상
3. 사이시옷의 표기
4.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의 특징
5.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의 문제점
결론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에 관하여
서론
현대에 들어오면서 많은 문화가 발달하였다. 그중 가장 빠르게 변하는 것이 바로 ‘채팅문화’가 아닌가 생각된다. 제일처음 인터넷이 등장하는 시기부터 지금까지 굉장히 많은 변화가 있었고, 그로인해 현재는 전화보다는 채팅이 더 편하게 느끼는 사람들도 많다. 글자를 적어가면서 대화를 하다 보니, 좀 더 축약해서 좀 더 빨리 글을 입력해야 하기에 한글의 맞춤법 또한 많이 변질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소리 나는 데로 단어를 쓴다던지, 받침을 새롭게 만들어 글자를 창조하기도 한다. 이러한 특징이 나타날 수 있는 것은 우리말이 다른 어떤 나라의 언어보다 소리 나는 데로 써서 새로운 단어를 언제든지 만들어 낼 수 있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한국어 맞춤법의 형태에 관한 것들 중 하나인 ‘사잇소리 현상’은 예전부터 현재까지 학자들 사이에서 많은 논란이 있고, 또한 그것에 대해 명확하지 않은 점이 많다. 이러한 사잇소리의 현상에 대해 정리를 하고, 이것을 표기하는 사이시옷의 표기에 알아보았다. 그리고 정리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의문점과 문제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론
1. 개념 정의
사잇소리: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합쳐져서 합성 명사를 이룰 때, 앞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소리가 안 울림 예사소리이면,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네이버 백과사전 ‘사잇소리’ 참조.
② 사이시옷: 합성명사의 결합 과정에서 뒤 명사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되거나 중간의 발음 변화를 표기를 위해 두 명사 사이에 ‘ㅅ’을 끼어 넣기로 한 것을 말한다.
처음 사잇소리에 대해 공부를 하고, 정리하기 시작할 때에 사이시옷과의 개념이 굉장히 혼란스러웠다. 정리를 하자면, 사잇소리는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현상을 말하는 ‘소리’에 관한 것이고, 사이시옷은 그러한 사잇소리 현상 중 ‘ㅅ’을 끼어 넣어 표기한 것을 말한 것으로 ‘표기’에 관한 것이다.
2. 사잇소리 현상
1) 규칙적 사잇소리현상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어울려 합성어를 이룰 때, 앞의 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뒤의 말의 첫소리가 안 울림 예사소리이면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음운의 변동을 말한다. 이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이시옷 ‘ㅅ’을 개재하고, 이미 앞말이 받침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사이시옷 ‘ㅅ’을 첨가하지 않는다. 임지룡 「학교문법과 문법 교육」 p.124-126참조
‘ㅅ’을 개재하는 경우
‘ㅅ’을 개재하지 않는 경우
바닷가 = 바다 + 가 → 〔바다까〕
시냇가 = 시내 + 가 → 〔시내까〕
뱃사공 = 배 + 사공 → 〔배싸공〕
조갯살 = 조개 + 살 → 〔조개쌀〕
밤길 = 밤 + 길 → 〔밤낄〕
촌사람 = 촌 + 사람 → 〔촌싸람〕
길가 = 길 + 가 → 〔길까〕
손등 = 손 + 등 → 〔손
  • 가격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11.17
  • 저작시기201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70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