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목차
1. 테이스팅(Tasting)과 드링킹(Drinking)의 구분
2. 가격별 세계 와인 소비 동향
3. 한국와인의 대중화(2005~2011년 자료)
와인을 둘러싼 6가지 논란
1. 와인이 건강에 좋다는건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
2. 와인은 꼭 코르크 마개로 닫아야 하나?
3. 와인의 완성은 산소 차단(환원숙성)
2. 가격별 세계 와인 소비 동향
3. 한국와인의 대중화(2005~2011년 자료)
와인을 둘러싼 6가지 논란
1. 와인이 건강에 좋다는건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
2. 와인은 꼭 코르크 마개로 닫아야 하나?
3. 와인의 완성은 산소 차단(환원숙성)
본문내용
와 복합적인 향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7-1레스토랑에서 주문하고 마시기
#1. 순한 와인부터 점점 강하게 마시면 더 맛있다. (개인의 성향에 따라 거꾸로 가능)
1. 샴페인 - 뱅 무스 - 아스티 - 카바 등 발포성 스파클링 와인
2. 깔끔한 화이트 와인
3. 숙성기간은 짧지만 신선하고 가벼운 레드와인
4. 숙성이 오래된 중후한 레드와인
5. 아이스와인, 레이트 하비스트, 소테른 등의 달콤한 디저트 와인
; 스파클링 -> 화이트 -> 가벼운 레드 -> 중후한 레드 -> 디저트 와인
; 알콜도수가 낮은 것부터 높은 것으로 시음
; 저가에서 고가로.... ( 모두 상황에 따라 다름)
#2. 전문 식당에서 음식을 시키고 와인을 골라도 충분 !
* 와인바다 와인 레스토랑 등 와인으로 유명한 곳은 보통 와인을 주문하고 음식으로 유명한 곳은 음식 먼저 주문하고 와인 선택
* 와인 리스트에서 와인을 고를 때 저렴한 와인을 고른다
* 호텔이나 와인바에서는 소믈리에가 테이스팅을 거친 후 이므로 저렴한 것이 좋다
#3. 소믈리에의 도움
* 소물리에의 도움을 청한다
* 경정 후 이름과 빈티지를 숙지하여 주문
* 나왔을 때 소믈리에가 라벨을 보여주면 병 확인하고 코르크 마개 오픈 후 냄새를 맡음
* 코르크 마개 확인 후 시음할 수 있게 해주면 마셔보고 오케이하거나 바꾸면 된다
#4. 와인 따르는 방법과 순서에 너무 집착하지 말기
* 와인병의 전면 라벨이 보이게 아래쪽 몸통 부분을 잡고 흘러내리지 않게 천천히 따르되, 와인 병목 입구 부분이 와인잔에 닿지 않게 주의
* 적당히 채워지면 병을 시계 방향으로 천천히 돌려주면서 올린다(흐르지 않게 하기 위해)
* 와인잔 절반보다 약간 적게 따르되 상대방이 요구하면 더 따라도 됨
* 와인 서빙시 자리 오른쪽에서 서빙
* 와인잔을 받을 때는 테이블에 둔 채로 두는 게 좋다. 윗사람이 따른다면 베이스에 손을 올리는 정도
* 여러사람에게 와인을 따를 때 가장 나이 많은 여성에게 따르고 시계 방향으로
* 친구나 직장동료를 초대할 때는 첫잔을 따르고 다음 잔 부터는 와인병을 테이블 위에 둠
* 고가의 와인을 따를 때는 정교한 양적 배분이 필요
7-2 와인 마시는 방법
1. 와인 마시는 방법 개요
상식 : 마시는 방법은 일반 상식을 기초로 함
변화 : 풍습, 전통, 유행은 변화하게 됨
장소와 상황 : 장소와 상황에 따라 다르게 행동
2. 와인마시는 방법 종류
* 테이스팅(p.230) : 전문적 와인 시음/와인의 품질을 알고자 그 특징을 찾아내기 위해 일정한 방법과 절차에 따라 사람의 감각기관을 통해 와인을 인지하고 분석,평가하여 해당 부류에 맞는 와인을 선택코자 함 (목적), 와인을 시각적, 후각적, 미각적으로 검사하고 분석하여 느낀 점을 명확한 언어로 표현하고 판단하는 것
시각적 : 와인의 색깔과 투명도 확인 /
후각적 : 와인의 향 평가
아로마(1차: 포도자체의 향,잔을 흔들지 않음,2차: 발효 과정에서 얻어진 향과 포도 품종의 특징이 결합, 3차: 와인 숙성과정에서 얻어지는 복합적인 향)
부케(오크통이나 병 속에서 와인이 숙성되면서 복합적인 작용을 통해 모든 아로마들이 동질화 되고 결합되어 새로운 조화와 복합적인 향 형성(1차 +2차 +3차 아로마))
향에 영향을 주는 요소 : 포도품종(향에 개성과 특징), 토양(향의 강도), 기후와 태양열(포도송이의 성숙에 영향, 스위트와인의 경우 귀부현상), 포도재배조건(비료사용, 포도나무 크기와 밀도에 따라 와인 구조의 강약), 연중기후조건(포도 품종의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거나 곰팡이와 석유냄새), 양조기술(다양하고 새로운 향을 찾고 개선시켜줌), 숙성(스테인리스 또는 오크통의 숙성에 따라 나무향, 과일향등이 표현됨), 와인보관상태(병입된 와인보관 상태에 따라 산화과정의 변화가 달라짐), 결점있는 향!(코르크 냄새, 곰팡이, 유황(썩은계란)냄새, 상한치즈, 약초냄새)
와인 향과 관련된 주된 향기: 과실(레드:포도, 체리)(화이트:레몬,복숭아), 허브/ 야채, 흙 / 꽃, 잔디 / 타바코(담배냄새), 토스트 / 커피, 모카, 초콜렛
미각적 : 맛에 대한 평가
레드와인의 균형과 조화 : 타닌, 산도, 단맛(파워)의 균형
화이트와인의 균형과 조화 : 산도, 단맛(파워)의 균형
조건 : 온도 (레드와인 15-18도 / 화이트와인 10-15도), 장소(소음, 향수, 색채가 없는 곳/흰 식탁보 또는 백지. 서늘한 곳), 시간 (식사전: 오전11시,오후4시)
블라인드 테이스팅: 와인의 정보를 모르는 상태에서 시,후,미각 판단
수평적 테이스팅 : 동일 수확년도 다양한 여러 지역 와인들 비교 시음
수직적 테이스팅 : 다른 수확년도 동일한 와인들 비교 시음
* 드링킹 : 와인을 즐기며 마시는 것
마실 때 :레드와인(와인잔볼), 화이트/스파클링(와인잔의 다리)
3. 테이블 매너 : 테이블 세팅
와인잔 오른쪽에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와인잔을 배치
좌빵우물(좌측빵, 우측물)
4. 축배 : 사람들을 집중시킴( 자리에서 일어나거나 말을 반복, 지배인 또는 다른사람에게 부탁 가능)
* 1일어나서 2성실하게 진심을 담아서 3짧고 명료하게 연설말고 4앉는다
------------------------------------------------------
주정강화 와인( 알코올 첨가한 것)
스페인의 쉐리 ( Sherry )
포르투갈 포트 ( Port ), 마데이라 ( Maderia )
이탈리아 마르살라 ( Marsala )
프랑스 랑그독루시옹의 VDN ( 뱅두 나투렐 ), VdL ( 뱅드 리퀘르 )
주정이 강화되지 않은 것은 주정강화 와인이 아님
8강
8 1 와인 오픈 방법
와인오픈 실패 사례
와인 오프너 사용이 익숙치 않아 코르크 조각들이 병 안으로
와인 오프너가 젓가락 송곳등을 이용하다가 코르크 조각남
신발등을 이용해 와인 오픈하는 것은 위험
와인 오픈 실패사례 극복 방법
와인 오프너 사용을 사전에 연습해서 숙달되도록 하고 오프너를 코르크에 관통할 때는 너무 힘을 주지 않고 천천히 오픈할 수 있도록 한다.
와인 오프너가 없는 경우 억지로 날카로운 기구로 코르크를 상처내지 말고 그대로 코르크를 병안에 넣은채 마셔도 상관 없다
코
7-1레스토랑에서 주문하고 마시기
#1. 순한 와인부터 점점 강하게 마시면 더 맛있다. (개인의 성향에 따라 거꾸로 가능)
1. 샴페인 - 뱅 무스 - 아스티 - 카바 등 발포성 스파클링 와인
2. 깔끔한 화이트 와인
3. 숙성기간은 짧지만 신선하고 가벼운 레드와인
4. 숙성이 오래된 중후한 레드와인
5. 아이스와인, 레이트 하비스트, 소테른 등의 달콤한 디저트 와인
; 스파클링 -> 화이트 -> 가벼운 레드 -> 중후한 레드 -> 디저트 와인
; 알콜도수가 낮은 것부터 높은 것으로 시음
; 저가에서 고가로.... ( 모두 상황에 따라 다름)
#2. 전문 식당에서 음식을 시키고 와인을 골라도 충분 !
* 와인바다 와인 레스토랑 등 와인으로 유명한 곳은 보통 와인을 주문하고 음식으로 유명한 곳은 음식 먼저 주문하고 와인 선택
* 와인 리스트에서 와인을 고를 때 저렴한 와인을 고른다
* 호텔이나 와인바에서는 소믈리에가 테이스팅을 거친 후 이므로 저렴한 것이 좋다
#3. 소믈리에의 도움
* 소물리에의 도움을 청한다
* 경정 후 이름과 빈티지를 숙지하여 주문
* 나왔을 때 소믈리에가 라벨을 보여주면 병 확인하고 코르크 마개 오픈 후 냄새를 맡음
* 코르크 마개 확인 후 시음할 수 있게 해주면 마셔보고 오케이하거나 바꾸면 된다
#4. 와인 따르는 방법과 순서에 너무 집착하지 말기
* 와인병의 전면 라벨이 보이게 아래쪽 몸통 부분을 잡고 흘러내리지 않게 천천히 따르되, 와인 병목 입구 부분이 와인잔에 닿지 않게 주의
* 적당히 채워지면 병을 시계 방향으로 천천히 돌려주면서 올린다(흐르지 않게 하기 위해)
* 와인잔 절반보다 약간 적게 따르되 상대방이 요구하면 더 따라도 됨
* 와인 서빙시 자리 오른쪽에서 서빙
* 와인잔을 받을 때는 테이블에 둔 채로 두는 게 좋다. 윗사람이 따른다면 베이스에 손을 올리는 정도
* 여러사람에게 와인을 따를 때 가장 나이 많은 여성에게 따르고 시계 방향으로
* 친구나 직장동료를 초대할 때는 첫잔을 따르고 다음 잔 부터는 와인병을 테이블 위에 둠
* 고가의 와인을 따를 때는 정교한 양적 배분이 필요
7-2 와인 마시는 방법
1. 와인 마시는 방법 개요
상식 : 마시는 방법은 일반 상식을 기초로 함
변화 : 풍습, 전통, 유행은 변화하게 됨
장소와 상황 : 장소와 상황에 따라 다르게 행동
2. 와인마시는 방법 종류
* 테이스팅(p.230) : 전문적 와인 시음/와인의 품질을 알고자 그 특징을 찾아내기 위해 일정한 방법과 절차에 따라 사람의 감각기관을 통해 와인을 인지하고 분석,평가하여 해당 부류에 맞는 와인을 선택코자 함 (목적), 와인을 시각적, 후각적, 미각적으로 검사하고 분석하여 느낀 점을 명확한 언어로 표현하고 판단하는 것
시각적 : 와인의 색깔과 투명도 확인 /
후각적 : 와인의 향 평가
아로마(1차: 포도자체의 향,잔을 흔들지 않음,2차: 발효 과정에서 얻어진 향과 포도 품종의 특징이 결합, 3차: 와인 숙성과정에서 얻어지는 복합적인 향)
부케(오크통이나 병 속에서 와인이 숙성되면서 복합적인 작용을 통해 모든 아로마들이 동질화 되고 결합되어 새로운 조화와 복합적인 향 형성(1차 +2차 +3차 아로마))
향에 영향을 주는 요소 : 포도품종(향에 개성과 특징), 토양(향의 강도), 기후와 태양열(포도송이의 성숙에 영향, 스위트와인의 경우 귀부현상), 포도재배조건(비료사용, 포도나무 크기와 밀도에 따라 와인 구조의 강약), 연중기후조건(포도 품종의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거나 곰팡이와 석유냄새), 양조기술(다양하고 새로운 향을 찾고 개선시켜줌), 숙성(스테인리스 또는 오크통의 숙성에 따라 나무향, 과일향등이 표현됨), 와인보관상태(병입된 와인보관 상태에 따라 산화과정의 변화가 달라짐), 결점있는 향!(코르크 냄새, 곰팡이, 유황(썩은계란)냄새, 상한치즈, 약초냄새)
와인 향과 관련된 주된 향기: 과실(레드:포도, 체리)(화이트:레몬,복숭아), 허브/ 야채, 흙 / 꽃, 잔디 / 타바코(담배냄새), 토스트 / 커피, 모카, 초콜렛
미각적 : 맛에 대한 평가
레드와인의 균형과 조화 : 타닌, 산도, 단맛(파워)의 균형
화이트와인의 균형과 조화 : 산도, 단맛(파워)의 균형
조건 : 온도 (레드와인 15-18도 / 화이트와인 10-15도), 장소(소음, 향수, 색채가 없는 곳/흰 식탁보 또는 백지. 서늘한 곳), 시간 (식사전: 오전11시,오후4시)
블라인드 테이스팅: 와인의 정보를 모르는 상태에서 시,후,미각 판단
수평적 테이스팅 : 동일 수확년도 다양한 여러 지역 와인들 비교 시음
수직적 테이스팅 : 다른 수확년도 동일한 와인들 비교 시음
* 드링킹 : 와인을 즐기며 마시는 것
마실 때 :레드와인(와인잔볼), 화이트/스파클링(와인잔의 다리)
3. 테이블 매너 : 테이블 세팅
와인잔 오른쪽에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와인잔을 배치
좌빵우물(좌측빵, 우측물)
4. 축배 : 사람들을 집중시킴( 자리에서 일어나거나 말을 반복, 지배인 또는 다른사람에게 부탁 가능)
* 1일어나서 2성실하게 진심을 담아서 3짧고 명료하게 연설말고 4앉는다
------------------------------------------------------
주정강화 와인( 알코올 첨가한 것)
스페인의 쉐리 ( Sherry )
포르투갈 포트 ( Port ), 마데이라 ( Maderia )
이탈리아 마르살라 ( Marsala )
프랑스 랑그독루시옹의 VDN ( 뱅두 나투렐 ), VdL ( 뱅드 리퀘르 )
주정이 강화되지 않은 것은 주정강화 와인이 아님
8강
8 1 와인 오픈 방법
와인오픈 실패 사례
와인 오프너 사용이 익숙치 않아 코르크 조각들이 병 안으로
와인 오프너가 젓가락 송곳등을 이용하다가 코르크 조각남
신발등을 이용해 와인 오픈하는 것은 위험
와인 오픈 실패사례 극복 방법
와인 오프너 사용을 사전에 연습해서 숙달되도록 하고 오프너를 코르크에 관통할 때는 너무 힘을 주지 않고 천천히 오픈할 수 있도록 한다.
와인 오프너가 없는 경우 억지로 날카로운 기구로 코르크를 상처내지 말고 그대로 코르크를 병안에 넣은채 마셔도 상관 없다
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