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시언해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두시언해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소개

2. 두시의 언해 사업

3. 중간본의 초간본과의 차이

4. 두시언해의 가치

5. 시인 두보

6. 작품분석

1) 옥화궁(玉華宮)

2) 九成宮(구성궁)

3) 조조대명궁정양성료우 (早朝大明宮 呈兩省寮友)
-가지(賈至)

4) 和賈至舍人早朝大明宮 화가지사인조조대명궁

본문내용

두시언해(杜詩諺解)
<목차>
1. 소개
2. 두시의 언해 사업
3. 중간본의 초간본과의 차이
4. 두시언해의 가치
5. 시인 두보
6. 작품분석
1) 옥화궁(玉華宮)
2) 九成宮(구성궁)
3) 조조대명궁정양성료우 (早朝大明宮 呈兩省寮友)
-가지(賈至)
4) 和賈至舍人早朝大明宮 화가지사인조조대명궁
1. 소개
‘두시언해’는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시 전편을 내용별 52부로 분류하여 우리말로 번 역한 시집으로 원명은 ‘분류두공부시언해’이다. 초간본으로 활자본 전25권이 간행되었으나, 임란으로 1~4권과, 11~14권 등이 소실되어 현재 전하지 않고 있으며, 권5는 아직 공개되 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교재에 실린 부분은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권6의 영인본 중, 1장부터 13장까지의 시이다.
2. 두시의 언해 사업
두시의 유교적이고 우국적인 성향은 조선의 국시와도 합치되어 과거의 과제로 자주 출제 되었으며, 또한 한시의 모범도 되었기 때문에 한문학의 대중화를 위해 번역을 하게 됨.
1)초간본은 세종(1443년) 때 착수하여 38년 만인 성종12년(1481년)에 비로소 간행된 한 국의 첫 역(譯)시집이다. 왕명으로 이루어진 이 대대적인 번역 사업에는 승려 의침과 조 위, 유윤겸 등은 물론 당시 두시에 통달한 사람이면 모두가 신분을 초월해 참여할 수 있 었다고 함.
2)중간본: 초간본 간행 이후 150여 년 뒤인 인조 10년(1632)에 경상감사 오숙이와 대구부 사 김상복을 시켜 관하의 각 읍에서 목판본 전25권으로 분간(分刊)하게 하였다. 이는 초 간본을 그대로 복각한 것이 아니라 17세기 국어를 반영하여 교정한 것이어서, 초간본과 의 비교를 통한 국어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준다. 이 중간본은 각지에 산재하 여 모두 현전하고 있다.
3. 중간본의 초간본과의 차이
-ㆁ의 종성화가 정착됨.
- 방점이 소실됨, 연철과 분철의 혼용, 구개음화 나타남, 모음조화 혼란.
- 관형사형 어미 ‘ㄹ’ 아래에서 ‘ㆆ’은 물론 각자병서도 쓰이지 않음.
(예: 각자병서 폐지에 따라 된소리 ‘ㅆ’마저 ‘ㅅ’로 적음-‘글스기와, 사호’)
4. 두시언해의 가치
- 불경 언해가 주종을 이루던 당시에 나온 최초의 시가언해서.
- 초, 중간본의 비교를 통해 중세와 근대국어의 언어변화를 짐작케 해주는 국어학적 가치. - 현재는 사라져 버린 순수 고유어의 풍부한 구사와, 운문의 성격을 최대한 살리고 있는 문체는 국문학적 가치를 더해줌.
5. 시인 두보(杜甫, 712~770)
이백과 더불어 중국 역대의 최고 시인으로, 시성(詩聖)이라 불린다. 그의 시는 엄격한 정 신을 표현한 격조 높은 것이었으며, 긴밀하고 치밀한 구성은 생명력을 갖고 있다. 또한 그의 시에서는, 언제나 자신과 남을 속이지 않는 성실성, 국가에 대한 근심과 전란에 시 달리는 민중의 고통, 그리고 사회 부정에 대한 분노 등 인간에 대한 깊은 애정과 신뢰가 돋보인다. 그러나 만년에는 자신의 생애에 대한 자각으로 절망과 우수에 잠기게 된다.
6. 작품분석
1) 옥화궁(玉華宮)
중국 산시성(陝西省) 이쥔현(宜君縣)에 있는 당태종의 이궁(離宮)으로, 646년에 건립되었다. ‘이궁’이란 임금이 국도(國都)의 왕궁 밖에서 머물던 별궁을 말하는데, 피서나 피한, 또는 요양을 위해 주로 경승지에 지어졌다고 한다. 당태종의 이 별궁은 고종 영휘 2(651)년에 폐하여 ‘옥화사’가 되었는데, 피란길을 떠돌던 두보가 황폐한 이 옛 궁터를 지나가다가 영화롭던 옛날을 생각하며 ‘옥화궁’이란 제목의 시를 지었다고 한다. 오언율시로 된 이 시에는, 인생의 무상함과 세상의 변천을 슬퍼하는 감회가 들어 있다.
溪回松風長 계회송풍장 蒼鼠竄古瓦 창서찬고와
[言溪(언계)ㅣ 回遠故(회원고)로 松風(송풍)이 不歇也(불헐야)ㅣ라]
시내 횟돈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5.12.03
  • 저작시기201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91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