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과 심리치료] 행동치료에 대한 비평(행동치료의 장점, 한계, 약점) 과 미래 전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담과 심리치료] 행동치료에 대한 비평(행동치료의 장점, 한계, 약점) 과 미래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행동치료에 대한 비평
1) 행동치료의 장점
2) 행동치료의 한계와 약점

2. 행동치료에 대한 미래 전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nks 1992,169). 미국에 있는 주요 행동연구조직인 국제행동분석협회(The Association for Behavior Analysis International/www.abainternational.org)는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접근 방식의 적용에 초점을 두고, 인지행동치료를 지향하는 행동치료의 시도를 저항한다는 것은 주목되어야 한다(www.abainternational.org)(Fishman & Franks, 1992, 169).
월슨(2008)은 21세기의 행동치료의 2가지 주요 과제를 설명했다. 첫 번째 과제는 다양한 일반적인 임상장애 치료를 위해 임상적으로 지지를 받는 행동개입 방법과 치료 기술의 시용을 더 널리, 효과적으로 확산하는 것으로 이와 더불어 더 많은 정신건강전문가들이 쉽게 사용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행동치료기술을 더 단순하게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두 번째 과제는 임상치료기법이 왜 효과적으로 작용하는지를 밝히는 것에 초점을 두고 넓은 영역의 임상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행동치료 기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월슨은 생물학, 특히 유전학과 신경과학 분야 뿐만 아니라 실험심리학의 분야에서 최신 발전을 잘 반영하고 있는 행동치료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행동치료사는 뇌의 메커니즘과 임상장애자에 대한 뇌의 메커니즘의 영향력을 더욱 잘 이해해야 하며(Boxter et al 1992), 그 결과 치료사들은 행동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더욱 정교한 이론과 더 효과적인 행동치료 기법을 개발할 수 있다.
프로체스카와 노크로스(皿0)는 행동치료가 주요한 현대적 치료 기법의 하나로서 향후 몇 년 동안 여러 방향으로 계속해서 증가되고 확장될 것으로 예상해왔다. 그들은 앞으로 계속될 행동치료의 2가지 미래적 방향을 예상하고 있다. 첫 번째는 정신건강문제뿐만 아니라 소아과나 심장질환 둥의 의학적 문제에도 초점을 맞추어 건강돌봄실천이나 건강돌봄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행동치료와 그 요법의 효과적인 치료기법을 통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는 행동치료의 제3물결인 수용기반 기법(acceptance-based version)의 광범위한 사용을 포함한다(Hayes, Follette & Linehan, 2004; Roemer & Orsmo,2009). 행동치료사와 그들의 내담자는 무엇이 변할 수 있고 무엇이 변할 수 없는지, 그리고 무엇이 개방적이고 관대하게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해 보다 현실적인 관점을 가져야 한다. 행동치료에서 일반적으로 명상과 수용에 대한 강조점의 증가는 역설적으로 증가되는 치료적 결과를 이끌 수도 있다. 행동치료의 제 3 물결은 앞으로 다가오는 세대에 중요하고 흥미로운 방식으로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참고문헌
양명숙, 김동일 외 저,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3
히스 램버트 저, 성경적 상담의 핵심 개념, 국제제자훈련원 2015
에릭 존슨 저, 심리학과 기독교 어떤 관계인가, 부흥과개혁사 2012
윤가현, 권석만 외 저,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12
에릭 L. 존슨 저, 기독교심리학, CLC 2012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12.03
  • 저작시기201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92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