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QLO 유니클로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유니클로 마케팅전략 분석과 핵심역량연구와 유니클로 한국진출 성공요인과 향후개선방향제안 레포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UNIQLO 유니클로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유니클로 마케팅전략 분석과 핵심역량연구와 유니클로 한국진출 성공요인과 향후개선방향제안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유니클로 기업소개
(1) 유니클로 브랜드소개
(2) 유니클로 기업특징

2. 유니클로 SWOT분석

3. 유니클로 가치사슬 분석

4. 국내 SPA 시장상황분석

5. 유니클로 기업핵심역량

6. 유니클로 마케팅전략
(1) STP 분석
(2) 마케팅믹스 4P전략
1) 제품전략 (Product)
2) 가격전략 (Price)
3) 유통전략 (Place)
4) 촉진전략 (Promotion)

7. 유니클로 한국시장 성공요인 분석

8. 유니클로 vs 자라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9. 유니클로 향후전략과 개선방향제안
(1) 유니클로의 향후과제
(2) 유니클로 향후개선방향

본문내용

적으로 꾸준히 사랑받으며 제품이 글로벌화 되있는 특징을 보인다.
2) 가격전략 (Price)
타 스파브랜드에 비해 유니클로의 제품은 뛰어난 품질을 갖고 있다. 제품의 생산을 대부분 중국에 아웃소싱 하고 있지만 본사의 마스터 팀을 파견하여 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다. 이 때문에 타 스파브랜드에 비해 다소 비싼 가격을 보인다. 하지만 상품의 매출은 여전히 다른 브랜드에 비해 높다. 또한 판매되는 제품의 종류와 양, 발생하는 재고정보를 실시간으로 본사를 통해 생산 현지로 전달하여 재고를 통한 손실을 최소화 하고 있다.
3) 유통전략 (Place)
-SCM과 TCM을 이용한 효율적인 생산 시스템
SCM(Supply Chain Management)는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적량 적시에 매장에 갖추기 위해 판매와 생산을 연동시키는 것으로, 생산, 도, 소매업 간에 정보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소재와 상품의 수주, 발주, 재고관리, 물류, 판매를 일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그러나 SCM만 활용할 경우 상품의 재고가 발생할 수 있어, SCM의 리스크를 극복하기 위해 TCM도 구축하였다.
TCM은 본사를 기점으로 점포와 공장을 온라인 시스템으로 연결하여 실시간 정보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때 디자인과 계획은 일본에서 기획하고 생산은 중국에서 하게 되는데, 매장에서의 재고, 팔린 의류량 등을 중국 현지 공장에 실시간으로 보고함으로써 또 다시 발주를 하는 낭비를 최소화하는 생산 시스템이다. TCM과 SCM의 활용으로 유니클로는 QR(Quick Response)가 가능해졌으며 재고도 막을 수 있어 효율적인 유통 시스템을 가지게 되었다.
-SPA형 시스템
유니클로는 SPA형 시스템을 추구함으로써 자사에서 개발한 오리지널 상품과 생산과 소매를 모두 소화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상품 공급을 적절한 시기에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여러 아웃소싱 업체를 하나의 컨셉 아래 기획, 제조, 판매를 완벽하게 이룰 수 있다.
매장운영의 표준화
패스트푸드의 특징인 ‘언제든지, 어디서든지, 누구든지’와 같은 장점을 매장에 반영한 유니클로는 전국 어느 매장이라도 동일한 상품을 동일 가격에, 동일 레이아웃에 판매하는 시스템이다.
4) 촉진전략 (Promotion)
-공격적인 광고전략
유니클로는 도심에 출점을 진행하면서 1999년 나이키의 ‘JUST DO IT’ CF로 유명한 미국 광고대행사 와이덴&케네디(W&K)와 제휴를 맺고, 대대적인 TV광고와 함께 전단지 광고, 신문의 전면광고도 함께 병행하였다. 유니클로는 저비용으로 효율성있게 광고를 하기 위해서 자신있는 단품으로 상품을 압축하고, 상품의 구매층을 전망한 후, 그 구매층에 맞는 광고전략을 세워 나간다. 실제 유니클로가 지금의 자리에 올 수 있었던 히트 상품인 스트레치 팬츠와 폴라폴리스는 W&K사의 이미지 광고를 통해 ‘싸구려’의 이미지를 벗고 ‘저렴하지만 좋은 제품을 공급하는 회사’라는 이미지를 만들고, 지면광고를 통해 미디어 세대가 아닌 60~80대에게 2900엔과 1900엔의 가격을 확실히 어필하였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SNS를 활용한 광고
유니클로는 미국 시장으로 진출한 후 TV나 신문을 통한 광고의 한계가 있음을 알고, 전세계에 24시간 내내 광고할 수 있는 인터넷을 활용하기로 한다. 하지만 인기사이트에 광고를 올리게 되면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블로그를 개설한다. 여성들이 무표정하게 춤을 추는 영상으로 5초마다 시간과 춤을 추는 여성을 번갈아 가며 보여주는 ‘유니클락’을 만든다. 이는 전세계 네티즌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고 약 3만 4천여명이 이용하였다.
이후 2010년 5월 일본 유니클로 1호점 오픈 26주년을 맞아 ‘UNIQLO Lucky Line’을 트위터를 통해 개설한다. 이것은 네티즌들이 럭키라인에 가상으로 줄을 서는 것으로, 매 26번째마다 줄을 서는 사람에게 만 엔 상품권을 지급하는 간단한 방식이었다. 이 프로모션에는 6만여명이 참여하여 성공적인 마케팅 사례로 꼽힌다.
7. 유니클로 한국시장 성공요인 분석
① 고품질과 저가격
실제 대부분의 생산을 담당하는 거점은 중국이지만 본사의 전문인력을 파견하여 기술을 전수하고 매주 품질을 점검하는 등 지속적인 품질관리 노력을 하는 동시에, 지속적인 소재개발로 보온성과 발한성 등의 기능으로 일정수준 이상의 품질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유니클로는 SPA의 일괄생산 체제를 통해 모든 공정에서 원가를 하락시켰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화려한 디자인을 자제하고 브랜드 로고를 삭제시켰다. 이러한 디자인과 로고가 모두 원가를 높이는 요인이라는 판단에서 과감히 제거한 것이다. 또한 유니클로는 백화점 등 대형유통업체의 직영점을 거부하였다. 입점비가 비싸기 때문이다. 의류 브랜드라면 당연히 대형유통매장에 입점해야 한다는 관행을 깬 것이다. 예상과 달리 유니클로 상품이 불티나게 팔리자 대형유통업체는 거꾸로 입점을 요청했고 유니클로는 가장 큰 매장에 입점했다.
② 소품종 대량생산
한국에 공급되는 제품은 글로벌 제품믹스와 거의 동일하고 기본적인 스타일을 강조한다. 이러한 캐주얼웨어의 특성상 유행을 크게 타지 않아 매 시즌마다 비슷한 콘셉트의 상품을 안정적으로 팔 수 있다. 따라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유행에 따른 위험부담도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다.
그러나 대량생산에 따른 재고부담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 이에 대해 유니클로는 철저한 재고관리와 영업을 통해 예방하고 있으며, 비교적 저렴한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할인이나 기획행사를 자주함으로써 연간 재고 소진율이 매우 높다.
8. 유니클로 vs 자라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자라는 유행에 민감한 젊은층인 20~30대 고객들을 타켓으로 트렌디한 디자인 위주의 신상품을 신속히 선보인다. 매장을 방문하면 새로운 스타일과 최신 트렌드에 맞는 제품을 접할 수 있는 즐거움을 소비자들을 만끽할 수 있다.
유니클로는 니트, 청바지 등의 기본적인 베이직한 디자인 제품 위주이다. 디자인을 부각시키지 않는 기본스타일이라서 10대~50대 까지 고객층이 두터운 장점을 가진다.
유니클로는 자라나 탑샵, 미국의 포에버 21처럼 유행을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5.12.10
  • 저작시기201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97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