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조사] 고혈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석/조사] 고혈압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본 론
결 론

본문내용

식이요법
우리들은 식사에 의해 영양과 칼로리를 보급하고 있는데, 이 영양의 밸런스가 깨지면 건강이 해쳐진다. 또 칼로리의 과잉섭취가 비만의 원인이 되어 비만이 심장의 부담을 크게 한다는 것이나 지방이 동맥경화를 촉진하기도 한다. 따라서 식생활과 고혈압의 관계는 매우 중요한 관계를 가진다.
(2) 운동
운동이 피로를 가져오고 또한 혈압을 일시적으로 올리기는 한다. 하지만 운동이 건강의 유지, 증진에 도움이 되는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고혈압 대상자에게는 적절한 운동을 해야하는데 일반적으로 너무 피로하지 않을 정도로 운동을 해야 하며, 과격한 운동을 삼가야 한다.
또한 비만이 고혈압에 영향을 끼치므로 남아 도는 불필요한 칼로리가 쌓이는 것을 피하고 비만에서 벗어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운동 때 분비된 아드레날린이 근육 혈관에 작용해 근육혈관을 확장시키게 된다. 결국 적절한 운동은 고혈압에 매우 도움이 된다.
고혈압에 적절한 운동
산책
가벼운 보건체조
미용체조
아령 등을 이용하는 운동
기상전 자리에서 사지 굴신, 몸의 염전을 중심으로한 운동
(3) 정신상태
우리들의 몸은 신경이 빈틈 없이 분포되어 있어 외부의 자극에 대해 반응을 나타낸다. 특히 자율신경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되어있으며 자극에 대하여 매우 민감하다.
예를 들어 정신긴장의 상태에 있을 때는 혈압이 오르는데, 이는 대뇌의 영향으로 자율신경이 흥분하여 교감신경을 거쳐 혈관벽근이 수축하는 것을 뜻한다. 즉, 고혈압 대상자에게 정신적 자극은 혈압의 상승을 촉진할 수 있으므로 편안한 마음을 가지게 하고, 자극을 가하지 않는 것이 좋다.
(4) 기온
고혈압 대상자에게 한랭은 매우 해롭다. 한랭상태에서는 체온을 빼앗길 염려가 있으므로 자율신경이 작용해 체표면의 세동맥을 수축시켜 그 부분으로 가는 혈액의 양을 줄인다. 그 때문에 따뜻한 혈액이 피부 표층으로 흐르지 못해 열을 빼앗기지 않는데, 이를 볼 때 고혈압대상자에게는 혈압을 더욱 올리는 요인이 되므로 위험한 것이다.
따라서, 추운 바람을 쏘이는 것은 금물이며 실내에서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세수는 찬물을 피하고 따뜻한 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5) 배변
고혈압으로 심장이나 신장이 약해져 있는 사람은 밤에 배뇨횟수가 잦아지기 쉽다. 밤중에 소변을 보려고 갑자기 일어난다던지 따뜻해진 몸에 갑자기 차가운 공기를 마시게 되면 갑자기 혈압이 올라가기도 한다. 또한 화장실에서 뇌출혈이나 협심증을 일으킬수 있는데, 특히 웅크리고 앉아 배변하는 재래식 변소에서 위험이 크므로 좌변기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좌변기를 쓸때는 피부가 닿는 곳을 덮어주는 덮개를 해주는 것이 좋다.
또한 힘을 주면 혈압이 오르므로 변비는 반드시 치료해야한다.
(6) 절주, 금연
술은 혈압을 내리는 작용을 하기도 한다. 그래서 이 혈압강하작용을 이용해 반주로 적당량의 술을 마시는 것은 고혈압에 악영향이 없다는 설이 대부분이다. 다만 문제는 적정량이다. 즉 혈중농도가 0.05%를 넘지 않을 정도의 알코올을 섭취해야하며 해로운 음주는 피해야 한다.
흡연은 여러 화학물질이 들어있는데 대표적 물질로는 니코틴이 있다, 이 니코틴을 흡수하면 교감신경을 자극해 혈압이 갑자기 오르고 혈관이수축된다. 따라서 고혈압환자에게 흡연은 때로 중대한 영향을 끼치므로 금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7) 성생활
성교 때에는 혈압이 오른다. 흔히 복상사라 하여 성교중에 사망하는 일이 있는데 성교 때의 흥분기에는 자극에 관계없이 긴장의 고조에 수반되여 혈압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고혈압증 그 자체가 특별히 악성이 아니고 또 일상생활에 별 지장이 없는 사람에게는 성생활이 해롭지 않다. 성교때 혈압이 오르는 것은 흥분이 감소됨에 따라 곧 평상혈압으로 돌아오므로 성교에 의한 혈압상승이 그대로 위험 상태로 이어지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결 론
이상에서 고혈압의 정의를 시작으로 분류, 원인 및 증상 그리고 치료와 간호에 대해 알아 보았다. 위에서 알아본 것을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고혈압은 유전적인 소인보다는 우리 생활습관을 통해 얻게 되는 경우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혈압은 단독 질병이 아닌, 많은 질병들의 유발 요인이 되고 위험요인이 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많은 합병증을 유발하기에, 관리가 필요한 질병인데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우리들은 심각성을 잘 인지하고 있지 못하는 듯 하다. 다른 어떤 질병보다도 우리들의 삶의 양식이 중요한 기준이 되고, 또 많은 것들을 앗아갈 수 있는 무서운 질병이라는 것이다.
고혈압은 현재 많은 연구를 통하여 예방과 치료법이 많이 개발되었다. 고혈압이 발생 했을 시에는 약물을 사용함으로써 증상을 완화시키고 치료할 수 있다. 하지만, 질병이 발생한 뒤에 치료보다는 평소 규칙적인 운동, 균형있는 식습관 및 올바른 자세를 가지고 금연과 금주를 통해 예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앞서 말했듯, 의학의 눈부신 발전으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단순한 삶이 아니라, 가치 높은 그리고 행복한, 건강한 삶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앞으로 우리가 살아가는 삶 동안, 내가 먼저 알고 예방하는 태도를 지니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앞으로의 나의 남은 많은 삶을 위해, 또 앞으로 내가 만나게될 수 많은 고혈압 대상자들을 위해 고혈압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이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낸다면, 훗날 가치 높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고, 또 질적으로도 높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
참 고 문 헌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 2(7판) (2012), 아카데미아, P32-33 , 39-56
신영기 , 주치의와 환자가 함께보는 교양서 고혈압 , (2000) , 계축 문화사 P254-267
도노도시오 , 고혈압과 치료 (2000) 아침나라 P43-49
Professor D.G. Beevers , 고혈압 (2005) , 아카데미아 , P32-34
황성수 , 고혈압 약을 버리고 밥을 바꿔라 (2011) , 페가수스 , P 48-52
김한수 , 알기쉬운 고혈압 심장병 이야기 (2013) , 군자출판사, P 13-19 , 42-43 , 82-84
  • 가격1,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5.12.12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98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