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물류 - 드론 산업과 물류 서비스의 연동 (학사학위 논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물류 - 드론 산업과 물류 서비스의 연동 (학사학위 논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 론 ···························································································1
Ⅱ. 드론의 개요 ·····················································································2
1. 드론의 어원 ···················································································2
2. 드론의 역사 ···················································································2
3. 드론의 분류 ···················································································3
4. 드론 시장의 현황 ···········································································6

Ⅲ. 드론 기반 물류서비스 동향 ····································································7
1. 무인항공기의 활용분야 ······································································7
2. 국외에서의 드론을 활용한 물류서비스······················································8
3. 국내에서의 드론을 활용한 물류서비스····················································11

Ⅳ. 드론 기반 물류서비스 요소기술 ·····························································12
1. 물류서비스를 위한 드론 시스템 구성·····················································12
2. 드론 시스템 핵심 요소 기술 ·····························································13

Ⅴ. 드론 기반 물류서비스 관련 법․규정 ························································15
1. 국외 드론 관련 법․규정 현황 ·····························································15
2. 국내 드론 관련 법․규정 현황 및 문제점·················································17
3. 국내 드론 관련 법․규정 개선점····························································18

Ⅵ. 드론 기반 물류서비스 모델···································································19
1. 물류 사각지대 우체국택배 배송서비스····················································19
2. 우체국택배 드론 융합 프리미엄 서비스··················································19
3. 드론기반 물류서비스 기대효과·····························································20

Ⅶ.결론 및 나의의견··············································································20

<참고문헌>···························································································21

본문내용

,800여개의 규제를 점수화해 관리한 뒤 2017년까지 규제 총점을 30%가량 줄 일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2014년에만 12%가량의 규제를 완화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하였다.
3. 국내 드론 관련 법규정 개선점
드론 상용화를 위해 현실적 여건을 반영한 안전성 인증 및 운영관리체계 등 법제도 개선점 은 다음과 같다.
법령 개선을 통해 드론의 성능, 기술 수준별로 구분하여 규제하여야 한다. 법령개선을 통한 무허가 비행에 대한 처벌기준 현실화가 이뤄져야 한다.
제도개선을 통한 드론의 안전성 인증제도 개발공표가 필요하다. 드론의 안전관리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구분
① 취미용
② 상업용
③ 군사용
규제
신고
인가
허가
Ⅵ.드론 기반 물류서비스 모델
본 절에서는 전국에 보유하고 있는 우편물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1) 택배 물량은 적으나 운송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도서, 산간 등에서 적시적기에 우체국택배 서비스를 이용하여 물 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2) 새로운 개념의 퀵 서비스인, 도심지역에서의 빠르고 안전한 물품 배송을 위한 우체국택배 드론 융합 프리미엄 서비스 제공으로 신규 수익원을 창출할 수 있는 우체국택배 드론 체계 구축을 위한 서비스 모델을 제시한다.
1. 물류 사각지대 우체국택배 배송서비스
운송 네트워크가 잘 갖춰있지 않고 택배 물량이 적어 운송비용이 많이 소요되지만 보편적 서 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배송 취
약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물류 사각지대 우체국택배 배송서비스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① 고객이 배송 취약지역 택배를 우체국 또는 집중국에 접수
② 우정사업본부 운송망을 활용하여 집중국 또는 우체국으로 이송 및 드론 서비스 분류
③ 특정 반경 내의 취약지역 내 우체국으로 드론을 이용하여 택배 배송
④ 취약지역 우체국 집배원이 수령인에게 택배 배달(또는 최종 배달지로 드론 배송 및 고객 직접 수령)
⑤ 우체국택배 드론 관제시스템에서 배송 상황 모니터링
2. 우체국택배 드론 융합 프리미엄 서비스
현재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퀵 서비스를 대체할 수 있는 도심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우체국 택배 드론 융합 프리미엄 서비스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① 고객이 도심지역에서 긴급 배송이 필요한 택배를 인근 우체국에 접수
② 접수우체국에서 배달우체국으로 드론을 이용하여 택배 배송
③ 우체국 집배원이 수령인에게 택배 배송
④ 우체국택배 드론 관제시스템에서 배송 상황 모니터링
3. 드론기반 물류서비스 기대효과
물류사각지대인 농어촌과 산간벽지 지역에 드론을 통한 우체국택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대국민 편익 증진과 우정사업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으며, 시급성을 요구하는 긴급 의약품, 생필품 등을 적시적기에 배송하여 물류 소외계층에 대한 대국민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존의 퀵 서비스를 대체하는 신규사업의 발굴로 우편사업의 매출 증대를 통해 우편사업의 수지를 개선할 수 있으며, 환경변화에 대응한 혁신 기술 개발로 우편서비스 질 향상 및 국산 장비의 개발을 통한 우편사업 비용 절감으로 우편사업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 을 것이다.
Ⅶ.결론
드론과 물류를 동시에 조사하면서 무인항공기(드론)와 같은 새로운 택배 배송장비가 국내에서 보편화되기는 쉽지 않지만, 대국 민 보편적 서비스 제공자인 우체국의 화물운송 효율성, 신속성 및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는 드론을 활용한 신규 물류 서비스 도입을 고려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드론 기반의 물류서비스는 배송시 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도서산간 지역에 적시에 의약품, 생필품 등을 배송할 수 있어 지역과 상관없이 국민 누구나 보편적 배송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체계를 이룰 수 있으며, 새로운 우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이 든다. 또한 국내의 드론 관련 법제도 개선, 안전 문제 해결, 기술적 한계 극복 등이 이루어질 경우 향후 드론 활용 분야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물류운송 분야에서도 비용 절감과 수익 창출이 가능한 시장이 급속도록 확대될 전망이어서 급격하게 변화되고 있는 물류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우정사업본부에서는 드론 기반 물류서비스 추진이 본격 검토되어야 한다 생각하고 그 성과 확산을 위해서 드론 기반의 신사업 모델을 면밀히 검토하고 관련되는 처리 업무 지침을 정비할 필요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참고 문헌>
무인기 세계시장 조사분석 연구, Frost & Sullivan, 2015
드론핵심기술 및 향후과제, 윤광준, 2015. 5, KISA 이슈&트렌드
무인이동체 기술개발 및 산업성장 전략, 관계부처 합동, 2015
이창운, 화물운송을 위한 무인항공,기 소개 및 동향 물류브리프, 한국교통연구원, 2014
오수훈 지상기반 무인기 충돌회,피 기술개발 동향, 한공우주산업기술동향, 2012
장지은이상종유 혁 ,무인항공기 자율제어수준 기술 동향, 한공우주산업기술동향, 2012
송복섭,무인항공기시스템(UAS)의 운용주파수 및 통신,기술 동향 2014.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조보근, 군용 무인항공기 비행안전성 증진을 위한 발전방안 연구 2014.항공전략연구원
김병정 , 특허기반 무인항공기 기술경쟁력 분석201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보분석연구소, 한국인터넷진흥원, “KISA Report Power Review”, 2015.5.
중앙공무원교육원, “2022년 세계 시장 10% 점유를 위한 무인항공기(드론)산업 활성화 방안”, 2014.6.
한국정보산업연합회, “임베디드산업 5대 비즈니스 및 기술 동향”, 2015.3.
구글 위키백과 홈페이지,
https://ko.wikipedia.org/wiki/%EB%AC%B4%EC%9D%B8_%ED%95%AD%EA%B3%B5%EA%B8%B0 5. Tech Chosun 홈페이지, http://tech.chosun.com /archives/11838
Tech Chosun 홈페이지, http://tech.chosun.com /archives/5848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7210925& ctg=
8.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드론산업 생태계 구성현황과 시장 활성화를 위한 규제 요건”, 2015.5.
  • 가격1,9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5.12.14
  • 저작시기201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00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