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으로 떠나는 베트남 문화기행 강의안 및 시험문제 정리(한글파일)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상으로 떠나는 베트남 문화기행 강의안 및 시험문제 정리(한글파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주 - 베트남은 어떤 나라인가?
2주 – 프랑스 식민지배 역사
6주 – 베트남의 관혼상제
9주 - 제 2차 베트남 전쟁에 대한 원인
10주 – 베트남의 종교: 불교
13주 – 베트남의 한류
14주 – 베트남 사람들의 성의 변경

본문내용

우 발생 유명무실
2주 3차시
학습목표 프랑스 식민 지배 역사3
학습내용
1. 디엔 비엔 푸 전투
1) 디엔비엔푸: 하노이 서북쪽, 라오스 국경 16km, 프랑스 군 비행장
군사요새.
(보병 17개 대대, 10개 독립중대, 포병 3개 대대, 공병 1개 중대, 전차 1개 중대, 1개 비행중대.
2) 프랑스군 작전: 호찌민군을 유인 섬멸
3) 호찌민군 작전: 평야지대에서 승산이 없어 군수지원 거리가 먼 디엔비엔푸에서 결전하기로 결정
4) 작전 개시: 1954.3.13 호찌민군 총공격
1954.4.5 프랑스군 진지 4개 제외 모두 점령 1954.5.7. 호찌민군 승리
2. 프랑스군의 디엔 비엔 푸 확보 전략적 이유
1) 베트남군의 근거지인 북부 산악지대와 홍하 삼각주지역을 분리.
2) 북부 라오스 지역에 대한 베트남군의 침입을 봉쇄한다.
3) 차후 공세적 기동전략을 구사할 때 작전기지로 활용한다.
4) 난공불락의 요새.
3. 베트남군의 전력적 판단
1) 총 지휘관: 보 응우옌 지압 장군
2) 전략적 판단
- 홍하강 평야지대에 프랑스 군과 전투 시 승산 없음(병력, 무기, 군수, 지원 등)
- 산악지대는 프랑스군 군수 지원 불리
- 베트남군 공군력 전무
4. 디엔 비엔 푸 전투 결과
1) 인명피해
베트남군: 50,000명 참전(전사: 8000명, 부상: 15000명)
프랑스군: 16,000명(전사: 2293명, 부상: 5134명, 포로: 11000명(부상자 포함))
2) 호찌민 군의 승리: 역사상 최대의 전승
3) 제네바 협정 타결
가. 남북 베트남 북위 17도선을 경계로 분할
남부: 바오다이 체재(친 프랑스 정부)
북부: 호찌민 정부
나. 2년 후 남북 총선거 실시 - 통일정부 수립
다. 민간인은 자유 의사에 남북 베트남으로 각각 이동
4) 결과
가. 호찌민 군은 수도 하노이 수복(1954.10)
나. 프랑스 군 북부에서 17도선 이남으로 철군(1955.5)
6주 베트남의 관혼상제
6주 1주차
학습목표 베트남의 혼례
학습내용
1. 베트남 의례의 기본 서적
- 기본서적: 주례, 의례, 예기
- 영향: 중국의 유교
- 북속시대: 중국의 식민시대
한무제가 남비엣을 멸망시킨후 응오 꾸엔이 남한군을 바익당 강에서 물리치고 베트남 최초의
독립 왕조를 수립할 때까지의 기간
2. 베트남의 가례 진행
- 고대 베트남: 수혼 및 다부일처의 혼인 풍습
- 북속시대: 주문공의 가례
- 쩐 왕조 시대: 호 시 즈엉 가례집
- 레 왕조 시대: 레 뀌 돈 가례집
3. 납타이
1) 의미 : 혼인 의사 타진
2) 기러기(거위) 및 1차 혼서 전달
3) 기러기(거위) 사용 이유(설)
- 기러기는 음양을 따라서 남북으로 왕래: 음양에 순응 습성
- 기러기는 두 번 짝을 짓지 않는 습성
- 소식을 전하는 전령조
4. 번자인
1) 의미: 택일, 신부와 어머니 생년월일 문의 - 2차 혼서
2) 선물: 쩌우 까우 및 술
3) 어머니 생년월일 문의 이유 - 어머니의 자녀 교육 수준 파악
5. 납깟
1) 의미: 조상에 혼인 예정 보고
2) 절차: 조상(영정/제대상) 또는 사당에 고함
신부 측에 통지 및 예물 전달
6. 팅끼
1) 의미: 성혼 날짜 요청 - 3차 혼서 전달
2) 이유: 신부 측의 신체 상태 확인
7. 납떼
1) 의미: 혼수함 전달 - 혼인의 증명
2) 예물: 쩌우까우, 차, 술, 떡, 장신구, 붉은 양초와 약간의 현금
8. 턴잉
1) 의미: 혼례식 거행
2) 장소: 신부 집
3) 절차: 신랑이 신부집에 가서 혼례를 치르고 신부를 맞이하여 오는 예
- 오늘날의 결혼식 해당
가. 레잠 - 청혼
(1) 의미: 신부 집에 혼인 의사 전달 - 청혼
(2) 육례중 납타이에 해당
부모가 미리 정혼한 경우 - 맞선에 해당
나. 레호이 - 약혼식
(1) 의미: 육례중 번자인, 납깟, 팅끼와 납떼가 혼합된 예
(2) 예물: 신랑집에서 신부집에 보냄
쩌우까우, 차, 술, 떡과 약간의 돈과 귀걸이, 장신구와 붉은 양초
(3) 예물 필수품: 쩌우까우, 차, 술, 떡
(4) 예물 의미
쩌우까우, 차: 백년해로, 술 : 축하, 양초: 조상 모신 제대상에 점화용
다. 레 르읔 저우 - 결혼식
(1) 의미: 신랑집에서 신부를 맞이하는 예
육례 가운데 턴잉에 해당하며 혼례의 마지막 예
(2) 절차: 신랑은 예물을 신부 집에 가지고 가서 신부 조상 제대상에 예를 올리고 신부를 데리고 옴
(3) 예물: 의복, 보석, 술, 차, 쩌우까우, 떡 등
마. 레 르읔 저우 - 결혼식(신랑 집) 풍습
(1) 신부는 시댁에 들어 올때 문지방 앞 화로를 밟고 지나감
- 악령, 악담 태우고 새로운 출발
(2) 신랑 조상 제대상에 예를 올림 - 조상에 고함
(3) 신랑 어머니 며느리에 보이 단지 인계
- 며느리에 살림 권한 이양 의미
(4) 현구례: 시부모에 인사(폐백에 해당)
이웃 친척에 인사 - 각 친척 조상 제대상에 고
(5) 레 판 바이 : 한국의 근친에 해당
2~4일 후 친정집 방문 인사
6주 2차시
학습목표 베트남의 장례
학습내용
1. 죽음에 대한 인식
시작 - 끝
삶 - 죽음 (통과의례 중 마지막)
2. 사고사 또는 객사 : 액운, 불행한 운명으로 간주
룩끅 : 동서남북 + 천지를 합한 6극
세상의 6가지 크게 불길한 일 - 요절, 질병, 번민, 가난, 못생김(또는 흉포한 마음), 허약함
1. 럼 쭝
1) 럼쭝 준비
천거정침: 죽음이 임박하여 안방이나 본채의 중앙으로 환자를 옮겨 눕히는 것.
소집 통고: 객지에 나가있는 자식들과 가까운 가족들에게 사정을 알려서 급히 모이게 함.
2) 럼쭝: 자식들이 환자의 손발을 잡고 숨이 넘어가는 것을 지켜보는 것.
3) 지 응언, 지쭉 : 환자가 남기는 말, 족보, 가례, 가훈에 기록.
4) 뗀 투이, 뗀헴, 뗀 꿍껌 : 50일간 상식을 올릴 때 부르는 이름. 생전에 확인.
환자의 상태가 위중하여 뗀 투이를 말할 수 없을 때
- 자손들이 찾거나 작명하여 의식을 회복할 때 본인에게 확인시킴.
5) 의복 교체
과거: 환자가 의식이 희미할 때 자식들이 새 옷으로 갈아입힘.
현재: 사망 후 갈아입히고 알코올로 닦음 - 위생문제
2. 장례준비과정
1) 투이 히에우
2) 쭉 코앙
3) 키엣 씨
4) 하
  • 가격4,000
  • 페이지수54페이지
  • 등록일2015.12.16
  • 저작시기201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02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