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방통대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오언절구, 오언율시, 칠언절구, 칠언율시를 각 한 편씩 선택하여 한시 감상법에 의해 감상하시오.
<목 차>
Ⅰ. 한시감상법
1. 한시의 구분
2. 한시의 특징
3. 한시의 감상법
4. 시상의 전개방법
Ⅱ. 오언절구 감상
1. 음정중월(吟井中月) : 이규보(李奎報)
2. 한시감상
Ⅲ. 오언율시 감상
1. 심양기내남씨(審陽寄內南氏) : 오달제(吳達濟)
2. 한시감상
Ⅳ. 칠언절구 감상
1. 백두산도중(白頭山途中) : 신채호(申采浩)
2. 한시감상
Ⅴ. 칠언율시 감상
1. 백마강회고(白馬江懷古) : 처능(處能)
2. 한시감상
<참고문헌>
<목 차>
Ⅰ. 한시감상법
1. 한시의 구분
2. 한시의 특징
3. 한시의 감상법
4. 시상의 전개방법
Ⅱ. 오언절구 감상
1. 음정중월(吟井中月) : 이규보(李奎報)
2. 한시감상
Ⅲ. 오언율시 감상
1. 심양기내남씨(審陽寄內南氏) : 오달제(吳達濟)
2. 한시감상
Ⅳ. 칠언절구 감상
1. 백두산도중(白頭山途中) : 신채호(申采浩)
2. 한시감상
Ⅴ. 칠언율시 감상
1. 백마강회고(白馬江懷古) : 처능(處能)
2. 한시감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측성이 되는 것이니 세 번째 글자는 평성이어야 한다. 제 2, 4, 6, 8行은 평성으로 압운하기 때문에 세 번째 글자는 이와 반대되는 측성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恩重), (萬別), (書寄)는 各各 平聲과 仄聲으로 짜여져 있으나 (未卜)은 仄聲과 仄聲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1 3 5 不言, 2 4 不同이라는 허용사항에 속함으로 탓할 수 없다. (未 期), (百朞), (夢遲), (卜兒)는 모두 측성과 평성으로 짜여 있다.
6) 첫구 두 번째 글자 瑟이 質자 운이므로,
逢(○), 成(○), 負(×), 闊(×), 長(○), 生(○), 護(×)로 이어져 나간 점법이 정확하다.
7) 1 4行의 첫 글자 琴, 虛는 평성이고 7行의 세 번째 글자 未는 측성이다.
이는 각각 반대되는 측성과 평성으로 되는 것이 측기법의 정격이라고 할 수 있겠으나 그렇게 되지 않았다고 정격이 아니라고 말할 수는 없다. 이는 1 3 5 不言, 2 4 不同이라는 허용사항에 속하기 때문이다. 평측을 2 4의 각자는 명료하게 하여서 분명하게 운목을 지켜야 하나 1 3 5의 각자는 평성이 아닐 때에는 측성이 되고 측성이 아닌 자리는 평성이 되어도 그대로 강하여져서 허물이 없는 것이다.
이 시의 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오달제의 결혼 경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조혼이 성행하였던 그 시대에 28세의 나이로 결혼한 지 2년도 채 못 되었다는 말이 있기 때문이다. 그는 1633년 24세 때에 병약하였던 초취 고령 신씨와 사별하고 1635년 4월 이후 남씨와 재혼하였다. 남씨와의 실제 결혼생활은 그가 남한산성에 들어가 척화를 외치던 1636년 12월 10일까지 뿐이었으니 길었어야 1년 8개월 정도였을 것이다. 이 시를 쓴 것은 그가 심양으로 끌려간 1637년 2월부터 그가 죽은 1637년 4월 19일 사이었을 것이니 만난 지 2년도 채 못 된다는 것은 이를 말하는 것이며 이 기간 중에 생긴 ‘복중아’는 아들이었으나 일찍 죽어 양자를 들여 대를 이었다고 족보에 되어 있다. 결혼생활 2년 남짓이었니 만리 밖에 떨어진 젊은 부부들의 애틋한 마음이 과연 어떠했으랴! 볼모로 잡혀와 만리 밖 이국땅에 있게 되었으니 백년을 해로하자던 부부맹약도 헛것이 되었다고 탄식하고 있다. 머나먼 길이니 편지도 부칠 수 없고, 산이 겹쳐 꿈길도 더디다고 안타까워한다. 만리와 백년은 시공으로 대구를 이루고 지활과 산장은 높고 낮음, 갈 수 있는 길과 갈 수 없는 길로 짝을 이룬다. 미연에서 작자는 생사를 초월한 모습을 보이며 아내에게 유언이라고 해야 할 부탁을 하고 있다. 아마도 그의 아내는 그와 헤어지기 전에 임신 중이었던 모양이다. 그의 생사는 나라를 위한 것이고, 뱃속의 아이는 가문을 위한 것이니 충효를 바탕으로 의미적 대구를 이루고 있다. 장중하지는 않지만 긴박감이 있는 5언 율시 형식으로 이 시를 지은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보여 진다.
Ⅳ. 칠언절구 감상
1. 백두산도중(白頭山途中) : 신채호(申采浩)
人生四十太支離(인생사십태지리) : 인생 사십 년이 너무도 지리하여
貧病相隨暫不移(빈병상수잠불이) : 가난과 병 잠시도 날 떠나지 않는구나
最恨水窮山盡處(최한수궁산진처) : 한스러워라, 물 다하고 산 다한 곳
任情歌曲亦難爲(임정가곡역난위) : 내 마음대로 노래부르기도 어렵구나
2. 한시감상
독립 투사, 신채호(1880-1936)는 “적과 타협하지 않고, 행동하는 독립투쟁”을 주장하고, 이를 철저히 전개하면서 <독립이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쟁취하는 것이다>라는 명제를 이끌어냈다. 그는 이러한 사상에 근거하여 <민족주의 사관>을 수립하고, 한국 근대 사학의 선구가 되었다. 이 시는 이러한 투쟁과 과업을 직접 몸으로 실천한 과정에서 겪은 작가의 고통스러운 심경의 일단을 보여주고 있다.
기구를 보자
人生四十太支離(인생사십태지리) : 인생 사십 년이 너무도 지리하여
산문적 의미는, “사람으로 태어나(人生) 사십(四十) 년을 살아보니 그 삶이 너무도(太) 지리하다(支離).”이다.
기구에서는, 작가가 처해 있는 심리적 상황을 드러냄으로써 시적 배경을 형성하였다.
작가는 감정을 숨기지 않고, 단도직입적으로 자기의 “인생이 너무도 지리하다”는 갈등 상황을 드러낸다. 누구의 인생인들 지루하지 않을까. 그러나 작가는 “너무도(太)”는 표현으로 그 갈등이 심함을 강조하여 말하고 있다. 여기서, 독자는 “왜”라고 묻고 싶어진다. 여기서는, 다른 시와는 달리 자연 배경이 묘사되어 있지 않다. 다만 갈등상황에 놓여있는 40대 남자를 떠올리게 한다.
승구를 보자
貧病相隨暫不移(빈병상수잠불이) : 가난과 병 잠시도 날 떠나지 않는구나
산문적 의미는, “가난함과 병듦(貧病)이 서로 따라(相隨) 잠시도(暫) 내 몸에서 떠나지 않는다(不移).”이다
승구에서는, 기구를 이어 지리한 삶의 원인을 제시하고 있다. 작가는 그 지리한 삶의 원인이 <가난함과 병듦>이라고 말한다. 기구와 승구는 원인과 결과의 관계로 결합되어있다
그런데 살펴봐야 할 것은, 왜 가난하고 병이 들었는가이다. 작가는 한말의 국권 상실의 시대에 태어난 불우한 지식인이다. 그는 원래 천성이 영민한 학자였다. 그는 신기선(申箕善)의 추천으로 성균관(成均館)에 들어가 1905년 성균관 박사가 되었다. 그러나 을사보호 조약이 체결되자. 그는 야인으로 돌아가 독립 투쟁의 길에 들어선다. 초기에는 언론을 통한 독립운동을 벌이다가, 비밀 결사를 조직하고, 국채보상운동도 벌이는 등 여러 독립 단체에서 활동하였다. 그러나 그는 <신민회>등에서 당시의 법의 태두리 안에서 벌리는 합법주의와 문화주의 독립 운동이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고 강경 무력투쟁으로 노선을 변경하였다
이러한 그의 삶의 궤적을 고려할 때, 그의 삶이 가난하고 지리할 것은 명약관화하다. 당시의 막강한 실권자인 일본제국과 몇 사람의 개인이 맞선다는 것은 계란으로 바위치기에 불과하였다. 조직적이고 집요한 그들의 탄압은, 신채호와 같은 강경한 행동주의 독립 운동가를 가난과 병으로 몰기에 충분하였다. 사실의 본질을 아는 지식인이기에, 자신이 아무리 어려워도 현실과 타협하지 못한 것이다. 소외는 기본이고
(恩重), (萬別), (書寄)는 各各 平聲과 仄聲으로 짜여져 있으나 (未卜)은 仄聲과 仄聲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1 3 5 不言, 2 4 不同이라는 허용사항에 속함으로 탓할 수 없다. (未 期), (百朞), (夢遲), (卜兒)는 모두 측성과 평성으로 짜여 있다.
6) 첫구 두 번째 글자 瑟이 質자 운이므로,
逢(○), 成(○), 負(×), 闊(×), 長(○), 生(○), 護(×)로 이어져 나간 점법이 정확하다.
7) 1 4行의 첫 글자 琴, 虛는 평성이고 7行의 세 번째 글자 未는 측성이다.
이는 각각 반대되는 측성과 평성으로 되는 것이 측기법의 정격이라고 할 수 있겠으나 그렇게 되지 않았다고 정격이 아니라고 말할 수는 없다. 이는 1 3 5 不言, 2 4 不同이라는 허용사항에 속하기 때문이다. 평측을 2 4의 각자는 명료하게 하여서 분명하게 운목을 지켜야 하나 1 3 5의 각자는 평성이 아닐 때에는 측성이 되고 측성이 아닌 자리는 평성이 되어도 그대로 강하여져서 허물이 없는 것이다.
이 시의 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오달제의 결혼 경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조혼이 성행하였던 그 시대에 28세의 나이로 결혼한 지 2년도 채 못 되었다는 말이 있기 때문이다. 그는 1633년 24세 때에 병약하였던 초취 고령 신씨와 사별하고 1635년 4월 이후 남씨와 재혼하였다. 남씨와의 실제 결혼생활은 그가 남한산성에 들어가 척화를 외치던 1636년 12월 10일까지 뿐이었으니 길었어야 1년 8개월 정도였을 것이다. 이 시를 쓴 것은 그가 심양으로 끌려간 1637년 2월부터 그가 죽은 1637년 4월 19일 사이었을 것이니 만난 지 2년도 채 못 된다는 것은 이를 말하는 것이며 이 기간 중에 생긴 ‘복중아’는 아들이었으나 일찍 죽어 양자를 들여 대를 이었다고 족보에 되어 있다. 결혼생활 2년 남짓이었니 만리 밖에 떨어진 젊은 부부들의 애틋한 마음이 과연 어떠했으랴! 볼모로 잡혀와 만리 밖 이국땅에 있게 되었으니 백년을 해로하자던 부부맹약도 헛것이 되었다고 탄식하고 있다. 머나먼 길이니 편지도 부칠 수 없고, 산이 겹쳐 꿈길도 더디다고 안타까워한다. 만리와 백년은 시공으로 대구를 이루고 지활과 산장은 높고 낮음, 갈 수 있는 길과 갈 수 없는 길로 짝을 이룬다. 미연에서 작자는 생사를 초월한 모습을 보이며 아내에게 유언이라고 해야 할 부탁을 하고 있다. 아마도 그의 아내는 그와 헤어지기 전에 임신 중이었던 모양이다. 그의 생사는 나라를 위한 것이고, 뱃속의 아이는 가문을 위한 것이니 충효를 바탕으로 의미적 대구를 이루고 있다. 장중하지는 않지만 긴박감이 있는 5언 율시 형식으로 이 시를 지은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보여 진다.
Ⅳ. 칠언절구 감상
1. 백두산도중(白頭山途中) : 신채호(申采浩)
人生四十太支離(인생사십태지리) : 인생 사십 년이 너무도 지리하여
貧病相隨暫不移(빈병상수잠불이) : 가난과 병 잠시도 날 떠나지 않는구나
最恨水窮山盡處(최한수궁산진처) : 한스러워라, 물 다하고 산 다한 곳
任情歌曲亦難爲(임정가곡역난위) : 내 마음대로 노래부르기도 어렵구나
2. 한시감상
독립 투사, 신채호(1880-1936)는 “적과 타협하지 않고, 행동하는 독립투쟁”을 주장하고, 이를 철저히 전개하면서 <독립이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쟁취하는 것이다>라는 명제를 이끌어냈다. 그는 이러한 사상에 근거하여 <민족주의 사관>을 수립하고, 한국 근대 사학의 선구가 되었다. 이 시는 이러한 투쟁과 과업을 직접 몸으로 실천한 과정에서 겪은 작가의 고통스러운 심경의 일단을 보여주고 있다.
기구를 보자
人生四十太支離(인생사십태지리) : 인생 사십 년이 너무도 지리하여
산문적 의미는, “사람으로 태어나(人生) 사십(四十) 년을 살아보니 그 삶이 너무도(太) 지리하다(支離).”이다.
기구에서는, 작가가 처해 있는 심리적 상황을 드러냄으로써 시적 배경을 형성하였다.
작가는 감정을 숨기지 않고, 단도직입적으로 자기의 “인생이 너무도 지리하다”는 갈등 상황을 드러낸다. 누구의 인생인들 지루하지 않을까. 그러나 작가는 “너무도(太)”는 표현으로 그 갈등이 심함을 강조하여 말하고 있다. 여기서, 독자는 “왜”라고 묻고 싶어진다. 여기서는, 다른 시와는 달리 자연 배경이 묘사되어 있지 않다. 다만 갈등상황에 놓여있는 40대 남자를 떠올리게 한다.
승구를 보자
貧病相隨暫不移(빈병상수잠불이) : 가난과 병 잠시도 날 떠나지 않는구나
산문적 의미는, “가난함과 병듦(貧病)이 서로 따라(相隨) 잠시도(暫) 내 몸에서 떠나지 않는다(不移).”이다
승구에서는, 기구를 이어 지리한 삶의 원인을 제시하고 있다. 작가는 그 지리한 삶의 원인이 <가난함과 병듦>이라고 말한다. 기구와 승구는 원인과 결과의 관계로 결합되어있다
그런데 살펴봐야 할 것은, 왜 가난하고 병이 들었는가이다. 작가는 한말의 국권 상실의 시대에 태어난 불우한 지식인이다. 그는 원래 천성이 영민한 학자였다. 그는 신기선(申箕善)의 추천으로 성균관(成均館)에 들어가 1905년 성균관 박사가 되었다. 그러나 을사보호 조약이 체결되자. 그는 야인으로 돌아가 독립 투쟁의 길에 들어선다. 초기에는 언론을 통한 독립운동을 벌이다가, 비밀 결사를 조직하고, 국채보상운동도 벌이는 등 여러 독립 단체에서 활동하였다. 그러나 그는 <신민회>등에서 당시의 법의 태두리 안에서 벌리는 합법주의와 문화주의 독립 운동이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고 강경 무력투쟁으로 노선을 변경하였다
이러한 그의 삶의 궤적을 고려할 때, 그의 삶이 가난하고 지리할 것은 명약관화하다. 당시의 막강한 실권자인 일본제국과 몇 사람의 개인이 맞선다는 것은 계란으로 바위치기에 불과하였다. 조직적이고 집요한 그들의 탄압은, 신채호와 같은 강경한 행동주의 독립 운동가를 가난과 병으로 몰기에 충분하였다. 사실의 본질을 아는 지식인이기에, 자신이 아무리 어려워도 현실과 타협하지 못한 것이다. 소외는 기본이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