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급자수 증가는 예상에 크게 못 미치는 등 빈민의 수급권은 실질적 측면에서 제약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능력이 있는 빈민의 근로비유인과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는 방안, 빈곤의 사각지대 발생을 완화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또 한가지 아쉬운 점은 부양의무자 기준을 명확하게 설정하지 않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조사결과, 부양의무자 기준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 정면으로 다루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시행령 차원에서 수정만으로 그친 것은 빈곤함에도 불구하고 부양의무자 기준으로 인해 기초보장 급여를 못 받는 사각지대가 생기는 원인이 됨으로 이는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최저 생계비의 수준이나 급여의 보장 결정 측면에서 열등처우의 원칙과 기본욕구 기준 간의 갈등 표출 부분도 여전히 논의점으로 남아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쟁점과 개선방안
[사회과학]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대하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개념 및 문제점과 최근 동향에 대해서 알아본 글 입니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 차상의 계층에 대한 부분급여 지급 정당성
[사회과학]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도입의 시대적 배경 및 의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허(虛)와 실(實)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 급여의 기본원칙 6가지와 급여의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최저생계비 쟁점 분석-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종류 유형 분류
[사회과학]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