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절.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소개
1.한국콜마
2.코스맥스
3.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현황 비교
제 2 절.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해외진출
1.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해외진출 비교
2.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해외실적 전망 비교
3.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해외 CAPA 계획 비교
제 3 절. 한국콜마와 코스맥스의 중국시장 투자
1. 한국콜마와 코스맥스의 중국시장 투자 동기
2. 한국콜마의 중국투자 현황
3. 코스맥스의 중국투자 현황
제 4 절.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강점 및 약점
1. 한국콜마 강점
2. 한국콜마 약점
3. 코스맥스 강점
4. 코스맥스 약점
제 5 절. 시사점
1. OEM 경쟁력
2.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경영 방향
1.한국콜마
2.코스맥스
3.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현황 비교
제 2 절.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해외진출
1.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해외진출 비교
2.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해외실적 전망 비교
3.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해외 CAPA 계획 비교
제 3 절. 한국콜마와 코스맥스의 중국시장 투자
1. 한국콜마와 코스맥스의 중국시장 투자 동기
2. 한국콜마의 중국투자 현황
3. 코스맥스의 중국투자 현황
제 4 절.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강점 및 약점
1. 한국콜마 강점
2. 한국콜마 약점
3. 코스맥스 강점
4. 코스맥스 약점
제 5 절. 시사점
1. OEM 경쟁력
2.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경영 방향
본문내용
4.158
7.299
한국콜마는 2014년 북경콜마의 최대 생산량은 1.000CAPA이다. 2015년 신축 예정인 광저우
의 생산량은 500CAPA로 총 1.500CAPA를 계획하고 있다. 반면에 해외 매출액 비중이 높은
코스맥스는 현재 중국에서 만 최대 생산량이 3.588CAPA이다. 2015년에는 미국
공장 까지 가동 되면서 총 7.299CAPA를 계획하고 있다.
제 3 절. 한국콜마와 코스맥스의 중국시장 투자
1. 한국콜마와 코스맥스의 중국시장 투자 동기
첫째 2012년 기준 중국 화장품 시장규모는 1340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24.6% 성장하고, 연균 16.6%의 가파른 성장세를 유지하며 더 시장 수요가 커졌다. 또한 한류 영향으로 한국 브랜드에 대한 중국여성들의 충성도가 높아져 충분한 투자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강소국풍건설집단유한공사 자료실 news (2014.02.07)>
2. 한국콜마의 중국투자 현황
한국콜마는 늦어진 해외진출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 공격적인 투자를 보이고 있다. 중국 및
글로벌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생산량을 갖추기 위해 세종특별자치시에 아시아 최대 규모로
공장을 신축 중이며 북경콜마를 통해 베이징 현지 공장에 40억 원을 투자하여 생산설비 증
설을 진행 중이다. 또한 중국 광저우에 공장을 신축함으로 생산량 증대를 진행 중이다.
<한국경제 (2013.06.11)>
한국콜마의 중국투자 전략으로 첫 번째 베이징 공장이 고가 제품을 생산, 광저우 공장이 중
저가 제품 생산을 전속으로 담당한다. 두 번째 중국을 권역별로 나눠 생산 거점을 확보이다. 베이징과 광저우 공장에 이서 서쪽 시안, 동쪽 상하이, 북쪽 선양 또는 하얼빈 등에 추가로 생산 공장을 확보하는 추가 건립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경제 (2013.06.11)>
3. 코스맥스의 중국투자 현황
코스맥스는 뒤쫓아 오는 한국콜마를 상대로 중국 상하이 공장 증설로 방어에 나선다. 중국
제 1 생산기지인 상하이 공장은 230억 원 가량의 설비 투자가 이루어 졌고, 광저우 공장에
도 약 90억 원 가량이 투자된다.
<강소국풍건설집단유한공사 자료실 news (2014.02.07)>
코스맥스의 중국투자 전략으로는 첫 번째 이미 충분히 자리를 잡은 중국 법인을 통해 철저
한 내수시장 공략을 한다. 두 번째 성장하고 있는 중국 온라인 유통시장을 통해 사치세가 붙고 있는 색조 제품을 공략 할 계획이다. 현재 색조 공장 공사 증설 중 이다.
아래 <표7>은 한국콜마와 코스맥스의 중국시장 투자 비교를 정리한 표이다.
<표7>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중국투자 비교 분석
한국콜마
코스맥스
투자 형태
공격적
방어적
투자 현황
공장 생산 설비 증설
(베이징 공장 증설 40억 투자)
공장 생산 설비 증설
(상하이 230억 원 투자
광저우 90억원 투자)
투자 전략
공장 별 제품 특화 생한
권역별 생산 거점 확보
법인을 통한 내수시장 공략
사치세가 붙고 있는 색조 제품 공략
제 4 절.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강점 및 약점
1. 한국콜마 강점
첫 번째 한국 1위 ODM 업체서의 위상을 가지고 있다. 두 번째 글로벌 9개 업체가 공유하는 ‘콜마’ 브랜드 파워 덕분에 중국 진출 글로벌 업체 내 인지도가 급향 하고 있다.
<이정인, 이상은 (2013.05.27) p.2>
세 번째 기존 암웨이 추가 수주와 pfizer의 챕스틱 글로벌 생산 확대 및 록시땅 비비크림, 씨씨크림과 같이 새로운 품목 추가 등 글로벌 업체들 사이에서 처방권을 보유한 한국콜마의 기력 인지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이정인, 이상은 (2013.03.05) p.33>
네 번째 직원 30% 이상이 연구원이고 연 매출의 6% 이상을 신소재나 신기술 연구에 투자함으로써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
<조선비즈 (2014.10.02)>
2. 한국콜마 약점
한국 ODM 업체 1위였던 한국콜마는 한국에서 내실을 다진 이후 해외로 나가겠다는 보수적인 정책과 고가 가격 정책(2000년대 중반 글로벌 업체들은 주로 저마진 화장품 OEM 생산 의뢰)으로 해외진출이 늦어졌다.
<이정인, 이상은 (2013.03.05) p.32>
3. 코스맥스 강점
첫 번째 중국 현지화에 성공해 거래처도 상당히 확보, 중국시장만 놓고 보면 현재까지는 코스맥스의 시장 점유율이 높은 상황이다.
<강소국풍건설집단유한공사 자료실 news (2014.02.07)>
두 번째 화장품 산업 1위 로레알의 전략적 파트너
7.299
한국콜마는 2014년 북경콜마의 최대 생산량은 1.000CAPA이다. 2015년 신축 예정인 광저우
의 생산량은 500CAPA로 총 1.500CAPA를 계획하고 있다. 반면에 해외 매출액 비중이 높은
코스맥스는 현재 중국에서 만 최대 생산량이 3.588CAPA이다. 2015년에는 미국
공장 까지 가동 되면서 총 7.299CAPA를 계획하고 있다.
제 3 절. 한국콜마와 코스맥스의 중국시장 투자
1. 한국콜마와 코스맥스의 중국시장 투자 동기
첫째 2012년 기준 중국 화장품 시장규모는 1340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24.6% 성장하고, 연균 16.6%의 가파른 성장세를 유지하며 더 시장 수요가 커졌다. 또한 한류 영향으로 한국 브랜드에 대한 중국여성들의 충성도가 높아져 충분한 투자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강소국풍건설집단유한공사 자료실 news (2014.02.07)>
2. 한국콜마의 중국투자 현황
한국콜마는 늦어진 해외진출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 공격적인 투자를 보이고 있다. 중국 및
글로벌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생산량을 갖추기 위해 세종특별자치시에 아시아 최대 규모로
공장을 신축 중이며 북경콜마를 통해 베이징 현지 공장에 40억 원을 투자하여 생산설비 증
설을 진행 중이다. 또한 중국 광저우에 공장을 신축함으로 생산량 증대를 진행 중이다.
<한국경제 (2013.06.11)>
한국콜마의 중국투자 전략으로 첫 번째 베이징 공장이 고가 제품을 생산, 광저우 공장이 중
저가 제품 생산을 전속으로 담당한다. 두 번째 중국을 권역별로 나눠 생산 거점을 확보이다. 베이징과 광저우 공장에 이서 서쪽 시안, 동쪽 상하이, 북쪽 선양 또는 하얼빈 등에 추가로 생산 공장을 확보하는 추가 건립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경제 (2013.06.11)>
3. 코스맥스의 중국투자 현황
코스맥스는 뒤쫓아 오는 한국콜마를 상대로 중국 상하이 공장 증설로 방어에 나선다. 중국
제 1 생산기지인 상하이 공장은 230억 원 가량의 설비 투자가 이루어 졌고, 광저우 공장에
도 약 90억 원 가량이 투자된다.
<강소국풍건설집단유한공사 자료실 news (2014.02.07)>
코스맥스의 중국투자 전략으로는 첫 번째 이미 충분히 자리를 잡은 중국 법인을 통해 철저
한 내수시장 공략을 한다. 두 번째 성장하고 있는 중국 온라인 유통시장을 통해 사치세가 붙고 있는 색조 제품을 공략 할 계획이다. 현재 색조 공장 공사 증설 중 이다.
아래 <표7>은 한국콜마와 코스맥스의 중국시장 투자 비교를 정리한 표이다.
<표7>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중국투자 비교 분석
한국콜마
코스맥스
투자 형태
공격적
방어적
투자 현황
공장 생산 설비 증설
(베이징 공장 증설 40억 투자)
공장 생산 설비 증설
(상하이 230억 원 투자
광저우 90억원 투자)
투자 전략
공장 별 제품 특화 생한
권역별 생산 거점 확보
법인을 통한 내수시장 공략
사치세가 붙고 있는 색조 제품 공략
제 4 절.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강점 및 약점
1. 한국콜마 강점
첫 번째 한국 1위 ODM 업체서의 위상을 가지고 있다. 두 번째 글로벌 9개 업체가 공유하는 ‘콜마’ 브랜드 파워 덕분에 중국 진출 글로벌 업체 내 인지도가 급향 하고 있다.
<이정인, 이상은 (2013.05.27) p.2>
세 번째 기존 암웨이 추가 수주와 pfizer의 챕스틱 글로벌 생산 확대 및 록시땅 비비크림, 씨씨크림과 같이 새로운 품목 추가 등 글로벌 업체들 사이에서 처방권을 보유한 한국콜마의 기력 인지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이정인, 이상은 (2013.03.05) p.33>
네 번째 직원 30% 이상이 연구원이고 연 매출의 6% 이상을 신소재나 신기술 연구에 투자함으로써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
<조선비즈 (2014.10.02)>
2. 한국콜마 약점
한국 ODM 업체 1위였던 한국콜마는 한국에서 내실을 다진 이후 해외로 나가겠다는 보수적인 정책과 고가 가격 정책(2000년대 중반 글로벌 업체들은 주로 저마진 화장품 OEM 생산 의뢰)으로 해외진출이 늦어졌다.
<이정인, 이상은 (2013.03.05) p.32>
3. 코스맥스 강점
첫 번째 중국 현지화에 성공해 거래처도 상당히 확보, 중국시장만 놓고 보면 현재까지는 코스맥스의 시장 점유율이 높은 상황이다.
<강소국풍건설집단유한공사 자료실 news (2014.02.07)>
두 번째 화장품 산업 1위 로레알의 전략적 파트너
키워드
추천자료
해외시장 진입전략_해외직접투자
[중소기업의 해외투자전략] 해외직접투자의 의의와 동기 및 효과, 중소기업의 해외진출방법
해외직접투자와 소유형태(단독투자, 합작투자)
[해외직접투자 의의] 해외직접투자의 개념과 특성, 동기, 유형 분류
[해외투자론]LG 전자의 해외직접투자
[해외직접투자의 개념과 특징] 해외직접투자의 정의, 유형, 동기, 효과
[해외직접투자이론] 해외직접투자 - 내부화이론 (수직적 통합, 수평적 통합, 다각적 통합)
[해외직접투자전략] 다국적기업(국제기업)의 해외직접투자의 특성과 유형
[해외직접투자 프로젝트 결정과정] 해외직접투자 프로젝트의 심사, 평가 및 결정과정
[해외직접투자의 개념] 해외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의 의의와 동기
[해외직접투자이론] 해외직접투자의 주요 이론 (자본이동적, 산업조직적, 국민경제적, 내부시...
[해외직접투자요인]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제요인 (기업특유우위요인, 내부화우위요인, 입지우...
기업이 해외직접투자를 하는 이유 (직접투자와 경영지배, 우위성의 명제, 우위성의 원천)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새로운 평가 - 투자수용국의 태도변화, 투자국과 국제기구의 태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