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례
Ⅰ. 들어가는 말
Ⅱ. 원(元)나라-몽골족의 왕국
Ⅲ. 원나라의 대표적인 유학자들
Ⅳ. 산곡(散曲)과 잡극(雜劇)
Ⅴ. 맺음말
참고자료
Ⅰ. 들어가는 말
Ⅱ. 원(元)나라-몽골족의 왕국
Ⅲ. 원나라의 대표적인 유학자들
Ⅳ. 산곡(散曲)과 잡극(雜劇)
Ⅴ. 맺음말
참고자료
본문내용
말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주자는 도문학의 공이 많고 육자는 존덕성을 주로 하지만, 문학과 덕성에 두루 근본을 두지 않으면 언어문자를 훈고 해석하는 지엽적인 일에 머물게 된다.\' 주희와 육구연의 가르침을 절충시키려는 오징의 태도를 원대 유학의 특색으로 간주하기도 하는데, 이는 결국 정주학의 전성 시대를 지나 양명학이 일어나는 서막에 해당한다고 볼 수도 있다.
Ⅳ. 산곡과 잡극
1.산곡과 잡극의 등장배경
“산곡(散曲)”은 청곡(淸曲)이라고도 부르며 민간에서 유행하던 소곡(小曲)에서 온 것이다. 즉 산곡의 바탕은 민간문학이라는 얘기인데 이런 민간문학이 하나의 커다란 장르로 자리잡게 되는데는 사회적인 이유가 있었다. 당시 원나라에 지배를 받고 있었던 한족 당시 몽고인을 가장 높게 보고 그 다음이 색목인, 한인, 그리고 마지막이 남인이였다. 여기서 남인이란 남송사람들을 말하는 것임.
의 지식인들은 원나라의 차별대우에 발붙일 곳조차 없었으며 유생(儒生)은 10등급으로 나눈 백성들 중에 9등급에 속할 정도로 형편없는 존재였다. 이런 사회 안에서 지식층이 자신들의 재능을 발휘할 곳이 없어지자 당시 민간에서 유행하기 시작한(북에서 내려온) 새로운 장르에 눈을 돌리며 그들의 감개를 풀게 되었고 결국 이들의 주도하에 민간에서 유행하던 한 곡(曲)에 불과하던 장르는 지식인들 사이로 퍼지기 시작한 것이다. 잡극도 크게 다르지 않아, 송대에 정식희곡으로 완성된 남곡인 희문도 원대에 들어오면서 북곡인 “잡극(雜劇)”으로 바뀌어서 발전하게 된다.
그리고 산곡과 잡극은 원나라가 중국을 완전히 통일하는 1279년을 경계로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전기에서 후기로 넘어가면서 그 성격도 크게 달라지게 된다.
2. 산곡
1)전기산곡
1. 전기산곡의 특징
전기 산곡은 몽고의 민간문학의 특징을 그대로 지니고 있었다. 그 이유는 아직 산곡이라는 장르가 민간문학에서 벗어나지 못하였고, 당대의 여러 지식층에게 충분히 흡수되지 못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산곡에는 사람들의 질박하고 솔직한 표현들이 들어있으며 활발하고 백화적인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삶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듯한 자연스러움이 전기 산곡의 특징이다.
2. 대표 작가와 작품
전기 산곡의 작가들은 보통 뜻을 잃은 문인들이나 지식인들이 자신의 울분을 토해내는 수단으로 산곡이나 잡극을 주로 지었다. 그래서 작가미상의 곡들이 많고 작가를 아는 경우에도 그 작가의 자세한 생평은 알 수 없는 현황이다. 산곡의 대표적인 작가는 ‘원곡사대가’ 중에서 관한경, 백박, 마치원이 손꼽힌다. 여기서는 관한경의 작품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관한경 중국 원(元)나라 때의 잡극작가(雜劇作家). 13세기 후반에 대도(大都:현 베이징)에서 활약하였으며, 작품 수는 60여 종으로, 현재 알려져 있는 원나라 잡극의 모든 연목(演目) 중 10 %가 넘는다. 시정(市井)의 이름없는 사람들, 특히 학대받는 지위에 있던 여성들을 주인공으로 하는 작품이 많다. 그 중에서도 선량한 과부가 무고한 형(刑)을 받고 죽어 가는 이야기를 만신의 분노와 동정으로 읊어, 사회의 암흑과 모순에 감연히 도전한 비극 《두아원(竇娥寃)》은 잡극의 최고 걸작이다. 그 밖에 희극 《구풍진(救風塵)》 《망강정(望江亭)》, 연애극 《조풍월(調風月)》 《배월정(拜月亭)》 등이 있는데, 각각 개성적인 주인공이 등장한다. 또한 지자(智者) 포증(包拯)의 재판극인 《호접몽(蝴蝶夢)》, 영웅 관우(關羽)를 그린 《단도회(單刀會)》 등도 있어서, 제재(題材)의 폭도 넓다. 동배작가나 배우들과도 널리 사귀고, 무대에도 섰다. 현실을 깊이 파헤쳐 보는 눈으로 서민의 마음을 통찰하고, 그들을 대신하여 꾸밈없는 말로 이를 표현했으며, 교묘한 연극적 구성을 갖춘 작품을 많이 내어놓아 잡극의 융성을 이룩한 최대 공로자가 되었다. 후세에 그를 잡극의 창시자로 받들고 있다.
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나 그가 온갖 예능에 통달했고, 주색과 가무로 인생을 즐겼던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민가적인 백화(白話)체 중국의 구어체 언어. 현재의 중국어.
로 남녀의 유정을 노래한 것이 많은데 이는 그의 생활환경에 의해 이렇게 된 것이라고 추측이 된다. 그의 작품 하나를 보기로 든다.
사괴옥(四塊玉)
임 떠나 보낸 뒤로도,
마음은 버리지 못하니,
한 줄기 그리움 언제나 끊이려나?
난간에 기대어 소매 터니 버들 솜만 날리네.
시냇물 비껴 흐르고,
산 또한 가로막고 있으니,
그리는 아주 가버렸나보다!
自送別, 心難捨,
一點想思幾時絶?
欄拂袖楊花雪.
溪又斜, 山又遮, 人去也!
2) 후기산곡
1. 후기산곡의 특징
전기에는 민간등에서 자연스럽게 불려지고 지식층에게 전파되던 산곡이 후기에는 하나의 장르로 명확하게 자리를 잡게된다. 이는 고전문학 등의 교양을 잘 갖춘 고관들이 산곡을 지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이들에 의해서 이전에 야속한 내용을 거침없는 구어체로 표현할 때와는 달리 고상하고 우아한 방향으로 흐르게 되었다. 즉, 미를 추구하는 쪽으로 흐르게 되었다. 그리고 가장 큰 변화는 산곡이 시와 같이 다른 사람과 주거니 받거니 하면서 자신의 재주를 자랑하는 하나의 도구화가 되어 버렸다는 것이다. 이는 전기에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고 참되게 노래하던 경향에서 완전히 벗어나 버린 것이다.
후기에 가장 특이한 점은 주덕청(1314 전후)에 의해서 곡률연구서인 중원음운(中原音韻)이라는 책이 나왔다는 것이다. 이 책에는 산곡을 짓는 법이나 그에 대한 비평까지 수록이 되어 있었으니 이는 곧 산곡이 정형화되어 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2. 대표 작가와 작품
대표적인 인물로는 장가구, 교길 등이 있다. 이번에는 장가구의 작품을 감상한다. 장가구는 1317년 전후에 활약한 사람인데 낮은 벼슬을 하다가 버리고는 강남 일대의 산수를 돌아보며 즐겼다. 그래서인지 자연에 대한 노래가 많으며 그가 잡극을 지었다는 자료가 없는 것으로 보아 평생 산곡만 지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의 작품중에서 봄을 노래한 산곡 한 수를 보기로 든다
홍수혜(紅水鞋)
제비가 찾아오는 무렵인데 술병이 났고,
모란
Ⅳ. 산곡과 잡극
1.산곡과 잡극의 등장배경
“산곡(散曲)”은 청곡(淸曲)이라고도 부르며 민간에서 유행하던 소곡(小曲)에서 온 것이다. 즉 산곡의 바탕은 민간문학이라는 얘기인데 이런 민간문학이 하나의 커다란 장르로 자리잡게 되는데는 사회적인 이유가 있었다. 당시 원나라에 지배를 받고 있었던 한족 당시 몽고인을 가장 높게 보고 그 다음이 색목인, 한인, 그리고 마지막이 남인이였다. 여기서 남인이란 남송사람들을 말하는 것임.
의 지식인들은 원나라의 차별대우에 발붙일 곳조차 없었으며 유생(儒生)은 10등급으로 나눈 백성들 중에 9등급에 속할 정도로 형편없는 존재였다. 이런 사회 안에서 지식층이 자신들의 재능을 발휘할 곳이 없어지자 당시 민간에서 유행하기 시작한(북에서 내려온) 새로운 장르에 눈을 돌리며 그들의 감개를 풀게 되었고 결국 이들의 주도하에 민간에서 유행하던 한 곡(曲)에 불과하던 장르는 지식인들 사이로 퍼지기 시작한 것이다. 잡극도 크게 다르지 않아, 송대에 정식희곡으로 완성된 남곡인 희문도 원대에 들어오면서 북곡인 “잡극(雜劇)”으로 바뀌어서 발전하게 된다.
그리고 산곡과 잡극은 원나라가 중국을 완전히 통일하는 1279년을 경계로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전기에서 후기로 넘어가면서 그 성격도 크게 달라지게 된다.
2. 산곡
1)전기산곡
1. 전기산곡의 특징
전기 산곡은 몽고의 민간문학의 특징을 그대로 지니고 있었다. 그 이유는 아직 산곡이라는 장르가 민간문학에서 벗어나지 못하였고, 당대의 여러 지식층에게 충분히 흡수되지 못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산곡에는 사람들의 질박하고 솔직한 표현들이 들어있으며 활발하고 백화적인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삶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듯한 자연스러움이 전기 산곡의 특징이다.
2. 대표 작가와 작품
전기 산곡의 작가들은 보통 뜻을 잃은 문인들이나 지식인들이 자신의 울분을 토해내는 수단으로 산곡이나 잡극을 주로 지었다. 그래서 작가미상의 곡들이 많고 작가를 아는 경우에도 그 작가의 자세한 생평은 알 수 없는 현황이다. 산곡의 대표적인 작가는 ‘원곡사대가’ 중에서 관한경, 백박, 마치원이 손꼽힌다. 여기서는 관한경의 작품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관한경 중국 원(元)나라 때의 잡극작가(雜劇作家). 13세기 후반에 대도(大都:현 베이징)에서 활약하였으며, 작품 수는 60여 종으로, 현재 알려져 있는 원나라 잡극의 모든 연목(演目) 중 10 %가 넘는다. 시정(市井)의 이름없는 사람들, 특히 학대받는 지위에 있던 여성들을 주인공으로 하는 작품이 많다. 그 중에서도 선량한 과부가 무고한 형(刑)을 받고 죽어 가는 이야기를 만신의 분노와 동정으로 읊어, 사회의 암흑과 모순에 감연히 도전한 비극 《두아원(竇娥寃)》은 잡극의 최고 걸작이다. 그 밖에 희극 《구풍진(救風塵)》 《망강정(望江亭)》, 연애극 《조풍월(調風月)》 《배월정(拜月亭)》 등이 있는데, 각각 개성적인 주인공이 등장한다. 또한 지자(智者) 포증(包拯)의 재판극인 《호접몽(蝴蝶夢)》, 영웅 관우(關羽)를 그린 《단도회(單刀會)》 등도 있어서, 제재(題材)의 폭도 넓다. 동배작가나 배우들과도 널리 사귀고, 무대에도 섰다. 현실을 깊이 파헤쳐 보는 눈으로 서민의 마음을 통찰하고, 그들을 대신하여 꾸밈없는 말로 이를 표현했으며, 교묘한 연극적 구성을 갖춘 작품을 많이 내어놓아 잡극의 융성을 이룩한 최대 공로자가 되었다. 후세에 그를 잡극의 창시자로 받들고 있다.
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나 그가 온갖 예능에 통달했고, 주색과 가무로 인생을 즐겼던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민가적인 백화(白話)체 중국의 구어체 언어. 현재의 중국어.
로 남녀의 유정을 노래한 것이 많은데 이는 그의 생활환경에 의해 이렇게 된 것이라고 추측이 된다. 그의 작품 하나를 보기로 든다.
사괴옥(四塊玉)
임 떠나 보낸 뒤로도,
마음은 버리지 못하니,
한 줄기 그리움 언제나 끊이려나?
난간에 기대어 소매 터니 버들 솜만 날리네.
시냇물 비껴 흐르고,
산 또한 가로막고 있으니,
그리는 아주 가버렸나보다!
自送別, 心難捨,
一點想思幾時絶?
欄拂袖楊花雪.
溪又斜, 山又遮, 人去也!
2) 후기산곡
1. 후기산곡의 특징
전기에는 민간등에서 자연스럽게 불려지고 지식층에게 전파되던 산곡이 후기에는 하나의 장르로 명확하게 자리를 잡게된다. 이는 고전문학 등의 교양을 잘 갖춘 고관들이 산곡을 지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이들에 의해서 이전에 야속한 내용을 거침없는 구어체로 표현할 때와는 달리 고상하고 우아한 방향으로 흐르게 되었다. 즉, 미를 추구하는 쪽으로 흐르게 되었다. 그리고 가장 큰 변화는 산곡이 시와 같이 다른 사람과 주거니 받거니 하면서 자신의 재주를 자랑하는 하나의 도구화가 되어 버렸다는 것이다. 이는 전기에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고 참되게 노래하던 경향에서 완전히 벗어나 버린 것이다.
후기에 가장 특이한 점은 주덕청(1314 전후)에 의해서 곡률연구서인 중원음운(中原音韻)이라는 책이 나왔다는 것이다. 이 책에는 산곡을 짓는 법이나 그에 대한 비평까지 수록이 되어 있었으니 이는 곧 산곡이 정형화되어 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2. 대표 작가와 작품
대표적인 인물로는 장가구, 교길 등이 있다. 이번에는 장가구의 작품을 감상한다. 장가구는 1317년 전후에 활약한 사람인데 낮은 벼슬을 하다가 버리고는 강남 일대의 산수를 돌아보며 즐겼다. 그래서인지 자연에 대한 노래가 많으며 그가 잡극을 지었다는 자료가 없는 것으로 보아 평생 산곡만 지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의 작품중에서 봄을 노래한 산곡 한 수를 보기로 든다
홍수혜(紅水鞋)
제비가 찾아오는 무렵인데 술병이 났고,
모란
추천자료
[현대문학사] 1930년대 근대 문학의 발전 양상
[친일문학][친일행각][친일파 분류][친일파 청산][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 환수]친일문학, 친...
[친일파][친일문학][친일파 청산][친일인명사전 편찬]친일파의 형성과 친일문학 및 친일파 청...
(북한문학의이해)1960년대에서 1990년대까지 북한 문학에서 주체문예이론의 형성과 변화과정
[프랑스문학][17세기 프랑스문학][19세기 프랑스문학][낭만주의][상징주의][리얼리즘][프랑스...
[국가인권위원회]국가인권위원회의 형태, 국가인권위원회의 특징, 국가인권위원의 독립성, 국...
고조선과 국가형성
제4판 한국문학통사 2 (조동일) 요약, 정리
한국발전국가
[건국신화(창조신화), 동북아 한국]동북아 한국(대한민국)의 건국신화(창조신화), 동북아 티...
[국제정치][정치][지구화][제국주의정책]국제정치의 정의, 국제정치의 발전, 국제정치의 이념...
몽골(몽고)의 기본정보, 몽골(몽고)의 역사, 몽골(몽고)의 발전과정, 몽골(몽고)의 경제, 몽...
[남북문화통합 南北文化統合] 남북한 문화통합의 방향(남북문화 공동체형성을 위한 문화인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