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 case study [ 대장암 컨퍼런스 - 문헌고찰 진단 약물 간호과정까지 완벽 자료 !! ]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장암 case study [ 대장암 컨퍼런스 - 문헌고찰 진단 약물 간호과정까지 완벽 자료 !!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케이스 외 환자의 상태와 간호중재(3가지)
대상자환자의 진단검사
1)중환자의 전반적 건강상태 사정
3)대상자의 진단적 검사 결과
4)대상자의 약물치료
5)대상자의 기타치료 현황이나 계획파악(식이, 운동, 특수치료)
-문헌고찰

본문내용

한다.
(전동이유, 감염상태, 이동시 이용도구, 사용하고 있는 의료기구, 낙상위험성, 의식상태,알러지 유무, 투여하고 있는 수액의 종류와 line의 개수, 부위)
체온조절
O
환자가 고체온일시 아이스백을 대주고, 저체온일시 따뜻한바람을 쐬어주거나 두꺼운 담요를 덮어준다.
목욕
O
침상목욕시 물에젖은 수건으로 얼굴,팔,다리를 닦고 머리도 대상자의 앙와위상태에서 감겨준다.
눈간호
O
얼굴을 닦아줄시 눈 부위를 함께 닦아주고 눈꼽을 떼어준다.
구강간호
O
입술이 건조할시 바세린으로 입술을 촉촉하게 해주고 가글을 원하는 경우 컵을 2개 가져다 줘서 한컵으로 가글 할 물을 하라고 설명하고 다른 한컵으로는 가글을 한 후 버리라고 교육한다.
회음 간호
X
회음부위를 멸균된 cotton ball을 이용하여 닦아준다.
관장
O
방수포를 아래에 깔고 카테터를 이용하여 관장액을 항문을 통하여 넣어준다. 조금 참으라고 설명한뒤 기저귀를 채워준다.
체위 변경
O
환자의 포지션변경이 가능하다면 환자를 옆으로 돌려 베개나 두꺼운 담요로 측위자세를 지지해주고
head-up 자세일시 기계를 통하여 머리를 상승시키거나 다리를 내려준다.
등마사지
O
일회용장갑을 끼고 자리를 정리하면서 환자의 등을 부드럽게 마사지해준다.
욕창 관리
O
기저귀 착용 전 욕창부위에 연고를 바르고 매일 2회씩 상처전문간호사가 욕창상태를 확인한 후 욕창부위에 무균적으로 드레싱을 한다.(duoderm 사용)
억제대
O
환자가 라인을 뽑을 위험성이 있기에 움직일 수 없도록 양팔과 다리 혹은 가슴부위에 억제대를 이용하여 지지한다.
안전관리
O
환자가 갑자기 일어나 나가려고 할 때 설명을 하면서 제지하고, 반입하지 못하는 소지품을 소지했을시 교육 후 회수한다.
수혈이나 마약사용과 같은 주의가 필요한 간호수행시 여러명이서 확인을 하며 수행한다.
환기장애
ABGA
O
의사가 puncture을 하거나 이미 잡혀진 A-line을 이용하여 주사기로 5cc정도를 뽑은후 처음 뽑은 피는 버리고 두 번째로 채취한 혈액을 검사실로 보낸다.
기도유지
O
자가호흡이 불가능한 환자를 위해 intubation을 하여 기계의 힘을 빌려 기도유지를 한 후 호흡이 가능하도록 한다.
Intubation
준비 및 관리
O
Laryngoscope(blade, handle), stylet, endotracheal tube, 10ml syringe, 청진기, silk plaster, air way, puspan, saline, ambu bag, ambu mask, o2 tank, 설압자, 수용성 젤리 준비
Tracheostomy
준비 및 관리
X
Suction
O
무균적으로 장갑을 착용한 후 카테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비강이나 구강으로 객담을 빼낸다. 모든과정이 무균적이여야 하며 압력도 130mmHg가 넘지 않도록 한다.
Ambu bagging
O
환자가 자발적으로 호흡이 불가능한 경우 기계를 연결하기전 암부백으로 산소를 넣어주어 환자의 호흡을 도와준다.
기계적
환기
setting
O
알맞은 산소의 수를 설정하여 환자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산소를 공습하여 준다.
사용중관리
O
자주 환자의 산소 모니터를 체크한후 이상징후를 미리 예측한다.
weaning
O
extubation. 환자의 폐검사와 ABGA검사후 자가호흡이 가능하다 진단될 때 시행한다.
spirometry
O
환자의 폐활량을 늘려줄수 있도록 도와준다.
산소공급
저유량
nasal prong, o2 mask
고유량
기계에 의한 호흡
배흉관 관리
O
수술부위에 hemo-백을 연결하여
배액관을 감염되지 않도록 관리하고 관찰하며 교환시 무균적으로 교환한다.
호흡개선, 약물관리
O
뮤코미스트, 아트로핀, 풀미칸을 네뷸라이져를 통하여 호흡치료를 시행한다.
순환장애
Subclavian cath 관리
X
Arterial line 관리
O
ABGA검사 시 이용한다.
적절한 압력이 있는 생리식염수를 넣어준다.
Oximetry 관리
O
환자의 귀나 손가락에 부착한 후, 환자의 맥박과 산소포화도를 측정한다.
EKG 모니터링
O
환자의 가슴 상부측에2곳, 하부측에1곳에 패드를 부착한후 환자의 부정맥증상을 파악한다.
혈류역학
모니터
CVP
X
MAP
X
CO
X
PAP
X
PCWP
X
SV02
X
IABP관리
X
대동맥내 풍선펌프
Pacemaker관리
심장박동기
수혈
O
수혈전 2명의 간호사가 교대로 대상자의 이름, 혈액형, 수혈번호 등을 확인하고 페니라민을 투여한다. 수혈직후의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15분 동안은 천천히 주입한다. 또한 15분이 지난 후 활력징후를 재측정한다. 수혈하는 혈액이 차가울 경우 따뜻하게 보온하여 투여한다.
순환조절약물
O
고혈압일시 이뇨제와 혈압강하제사용. 응고 작용시 헤파린 사용.
수분전해질 장애
I/O 측정
O
1시간마다 환자에게 들어가는 약품들의 용량과 TPN량, 섭취한 양을 확인하고 또한 소변량과 대변량 같은 배설랑도 측정하여 차이를 확인한다.
유치도뇨
O
환자가 스스로 배뇨를 할 수 없거나 기능이 떨어져 있는 경우, 움직일 수 없는 경우 생식기를 통하여 카테터를 주입후 소변백에 열견해둔다.
방광세척
O
생리식염수가 들어있는 50cc주사기를 이용하여 카테터속으로 NS를 집어넣은 후 바로 빼낸다.
변비, 배뇨보조
도구 관리
O
유치도뇨를 사용하지 않는 환자의 경우 요의가 느껴질시 커텐을 친후 소변을 볼 수 있는 기구를 가져다주고 대변이 마렵다고 하면 침상변기를 가져다준다. 대부분의 기동력이 없는 환자는 기저귀를 채운 후 자주 확인한다.
전해질검사
O
환자의 진단검사로 전해질 수치를 매일 확인하다.
수액요법
정질액
O
주성분이 물, 물에 각종 이온이 섞여 있음.
생리식염수, 포도당용액, lactated ringer용액, plasma용액
교질액
O
물에 고분자량 물질이 섞여있음.
(Hydroxyethyl starch, 인간혈청알부민)
고장액
x
전해질교정
O
환자가 부족한 전해질이 있는지 진단된 검사로 확인한 후 부족한 전해질을 투여한다.
복막투석
x
영양대사장애
영양계측
O
환자의 DIET상태를 확인 후 환자에게 설명하고 금식인 경우 정맥으로 영양을 보충하여 준다.
흡인예방
O
환자가 과도하게 옆으로 돌아
  • 가격1,3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6.01.27
  • 저작시기2015.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34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