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경화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경화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 간경화증(Liver cirrhosis)
1. 정의
2. 원인과 위험요인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 관리
7. 간호중재
8. 합병증
9. 예후

Ⅱ. CASE STUDY
1. 사정
2. 진단검사
3. 투약
4. 간호과정

본문내용

문맥-전신성 뇌질환 : 간성 혼수(Portal-system encephalopathy, hepatic coma)
간기능의 저하로 단백질 대사산물인 암모니아를 요소로 전환시켜 소변으로 배출시키는 능력이 저하되어 혈중 암모니아가 중추신경계 억압하여 발생한다.
증상은 의식상태, 지적 기능, 행동과 인격, 신경근육 기능 등에 변화를 초래한다. 의식수준의 변화는 과민증(hypersomnia)에서 느린 반응 그리고 무의식 순으로 진행된다. 주의집중력이 짧아지거나 자아인식이 상실되는 등 지적 기능의 변화를 볼 수 있다. 인격과 행동의 변화는 과장된 행동에서부터 분노까지 다양하다. 대사성 진전, 강직과 같은 신경 근육의 장애가 나타난다.
또 다른 증상으로 간성 악취(fetor hepaticus)인 특이한 냄새가 호흡시 주로 발견된다. 문맥-전신성 뇌질환의 후기에는 과다호흡, 체온 상승, 맥박수 증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⑤ 간성 신증후군(Hepatorenal syndrome)
간경화증의 합병증으로 오는 간성 신증후군은 그 기전이 명백하지 않다. 간부전이 악화되는 대상자에게 갑작스럽게 신부전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간성 신부전의 원인은 불확실하나 신장 내 혈관수축으로 인한 신피질 혈류의 현저한 감소를 한 요인으로 본다.
간성 신부전 대상자는 피뇨와 질소혈증(azotemia)이 나타나며, 혈압은 증가되거나 낮아진다. 대상자는 식욕부진, 피로, 허약을 호소하며 수분 정체로 인해 저나트륨혈증과 요삼투압 감소가 나타난다. 계속적인 노폐물 축적과 수분 전해질의 변화는 신경학적 변화를 일으킨다. 이는 문맥-전신성 뇌질환과 유사하다.
9. 예후
간경화는 일반적으로 불치이며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반드시 불치는 아니며 진행을 멈출 수도 있다. 합병증이 없는 간경화 초기라면 감염과 산소 결핍증 및 간세포 신진대사 장애로 간세포 재생에 장애가 일어나지 않도록 안정을 취해야 한다. 간경화는 치료할 수 없다. 그러나 조절함으로서 합병증을 줄일 수는 있다
Ⅱ. CASE STUDY
1. 사정
① 일반정보
성명 : 김 ○ ○ 연령 : 51세 성별 : 남
입원일 : 2007/05/11 입원횟수(본병원) : 2 병실 : 6771
결혼상태: 유 직업 : 무직 종교: 기독교
진단명: LC(HBV related) & ascites & general weakness
② 입원과 관련된 정보
입원 경로 : 응급실
입원 방법 : 도보
입원 동기 및 주증상
내원 10년전 세브란스 병원에서 LC(HBV related) Dx받았고 외래 f/u해옴. 2007년 4월이후 ascites있었으나 para.안돼 이뇨제 투약해오다 내원 6일전부터 dizziness, pitting edema, DOE, general weakness있어 본원 ER로 와 further evaluation, management위해 입원함.
과거 병력 : 있음(LC 10년전 세브란스 병원에서 진단받음)
최근 투약 : 있음(LMC 약 po medi함)
가족 병력 : 없음
알레르기 : 없음
③ 신체사정
전반적 상태 : 양호
신장 : 172㎝ 체중: 82.45㎏ 활력증상: T 36.5℃ P 77 R 19 BP 109/56
이전 Bwt
5/12
5/14
5/16
5/18
5/20
78㎏
85.45㎏
80.0㎏
84.5㎏
86.5㎏
84.6㎏
체중변화
호흡기 문제, 의치, 마비, 명백한 기형, 시력 장애 : 없음
피부상태 : 비정상(황달)
Chest : symmetric
Lung : not clear (with rale at the LLLh)
Abdomen : soft/distended(mild)
Bowel sound : audible(decreased)
④ 의식 및 정서 상태
지남력 : 사람, 장소, 시간 - 있음
의식 상태 : 명료 의사 소통 : 원만 정서 상태 : 안정
⑤ 습관
배변, 소변 : 없음
음주, 흡연 : 없음
2. 진단검사
HBsAg
HBsAb
HBcAb
(IgG)
HBcAb
(IgM)
HBeAg
HBeAb
HBV
DNA
HCVAb
HCV
RNA
HAV
(IgM)
+
<2
-
-
+
_
_
① 면역학(간염) 검사 : 5/11
검사
정상치
5/11
5/16
5/20
임상적 의의
WBC
4800~10800/㎣
10240
10520
8090
Hb
남:13~18g/㎗
여:12~16g/㎗
11.2▽
9.9▽
9.9▽
감소: 각종 원인의 빈혈, 임신, 중증 및 장기실혈, 과잉수분섭취
Hct
남:40~54%
여:38~47%
32.0▽
27.6▽
27.8▽
감소: 심한 빈혈, 임신 중 빈혈, 급성다량출혈
Platelet
130~400K/㎕
86K▽
62K▽
71K▽
감소: 감염 ,폐렴, 알러지, 급성백혈병, 재생불량성빈혈,암화학요법중,대형수술후
Tp
6.7~8.3g/㎗
6.2▽
5.4▽
6▽
감소: 간장애(급성간염, 간경변), 영양실조, 악액질, 장흡수 부전증
Alb
3.2~4.8g/㎗
2.2▽
2.2▽
2.4▽
감소: 간 손상, 신증후군, 단백손실
TB
0.01~1.1㎎/㎗
25.5▲
25.4▲
36.5▲
증가: 후천성 황달, 간전성 황달, 포합빌리루빈의 배설 장애
DB
0.01~0.3㎎/㎗
12.7▲
12.9▲
28.9▲
증가: 황달간염의 진단적 검사, 급만성간염
AST
37 U/L
345▲
158▲
81▲
증가: 급성 간염, 담도협착성 황달, 근골격계질환, 간질환, 심근경색증
ALT
41 U/L
81▲
77▲
63▲
ALP
35~129 IU/L
212▲
185▲
131▲
증가: 간질환, 골질환
GGT
8~61 U/L
21
14
27
Na
136~146mmol/L
113▽
115▽
118▽
감소: Addison\'s disease, 점액수종
K
3.3~5.1mmol/L
7.4▲
5.6▲
4.8
증가: Addison\'s disease. 핍뇨, 무뇨, 용혈, 조직파괴
BUN
6~20㎎/㎗
23.9▲
24.5▲
28.8▲
증가: 요독증, 질소혈증, 사구체신염, 신장기능 부전, 당뇨병
Crea
남:0.9~1.5㎎/㎗
여:0.6~1.3㎎/㎗
1.7▲
1.31
1.0
증가: 신혈류량 감소, 신사
  • 가격1,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6.01.31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37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