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인 소개
시의 특징
언어의 경계
경계 밖으로
삶에 대한 강렬한 시선
시의 특징
언어의 경계
경계 밖으로
삶에 대한 강렬한 시선
본문내용
상황을 바람으로 비유하여 그리고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주목해야할 점은 시인이 외국인의 입장으로 한 발자국 떨어져서 상황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고향의 봄」에서 시인은 김현식의 노래를 들으면서 ‘이제 이해했어요/ 이 노래를 그리고/ 실향민이란 말이 있는 까닭을’ 이라고 말한다. 시인에게 한국을 다룬 시들은 대상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과 동시에 대상과 자신과의 경계를 허무는 일이기도 하다.
닫혀 있을 때 문에는 그림자가 없다. 이른바 문은 잠재적으로 그림자의 알리바이이다. 전혀 없는 것처럼 보이는 문을 알고 있다. 완전히 투명하기 때문에 아무도 거기를 경계로 삼아 내부와 외부가 있다는 것을 깨닫지 않는다. <……> 문의 입장은 중립적이다. 출구이기도 하고 입구이기도 하다. 도망가는 이에게도
닫혀 있을 때 문에는 그림자가 없다. 이른바 문은 잠재적으로 그림자의 알리바이이다. 전혀 없는 것처럼 보이는 문을 알고 있다. 완전히 투명하기 때문에 아무도 거기를 경계로 삼아 내부와 외부가 있다는 것을 깨닫지 않는다. <……> 문의 입장은 중립적이다. 출구이기도 하고 입구이기도 하다. 도망가는 이에게도
소개글